• 제목/요약/키워드: bronchial inflammation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7초

A study on the effects of herbal acupuncture with Liriopis Tuber extract on airway inflammation in the mouse induced with bronchial asthma

  • Park, Young-Whan;Park, Hee-Soo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05-121
    • /
    • 2001
  • Objectives: Herbal acupuncture has been administered with Liriopis Tuber extract on the point of BL 13 (Pyesu) to treat bronchial asthma and a certain degree of clinical benefits have been observed but lacking scientific substantiation. Methods: The present report describes on Th1 cytokine (Interleukin-2, Interferon-gamma), Th2 cytokine, (Interleukin-4, Interleukin-5), and IL-12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ELISA). Five groups were devised to study the effects of herbal acupuncture with Liriopis Tuber extract at BL 13 (Pyesu) for airway inflammation in the mouse model with bronchial asthma. Results shows that herbal acupuncture with Liriopis Tuber extract at BL 13 increased Th1 cytokine (Interleukin-2) in allergic sensitization and allergic challenge, and decreased Th2 cytokine (Interleukin-2, Interleukin-5) in allergic sensitization.

Effect of Zedoariae rhizoma on Bronchial Inflammation and Allergic Asthma in Mice

  • Ahn, Jong-Chan;Ban, Chang-Gyu;Park, Won-Hwan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1636-1648
    • /
    • 2006
  • There are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clinical experiences and prescriptions of asthma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Zedoariae rhizoma is one of the Korean herbal medicines used to treat bronchial asthma and allergic rhinitis for centuries. However, the therapeutic mechanisms of this medication are still far from clear, In this study, a house-dust-mite (Dermatophagoides pteronyssinus [Der p])-sensitized murine model of asthma was used to evaluate the immunomodulatory effect of Zedoariae rhizoma on the allergen-induced airway inflammation in asthma. Three different protocols were designed to evaluate the treatment and/or long-term prophylacitic effect of Zedoariae rhizoma in Der p-sensitized mice. Cellular infiltration and T-cell subsets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of allergen-challenged mice were analyzed. Intrapulmonary lymphocytes were also isolated to evaluate their response to allergen stimulation. When Zedoariae rhizoma was administered to the sensitized mice before AC (groups A and C), it suppressed airway inflammation by decreasing the number of total cells and eosinophil infiltration in the BALF, and downregulated the allergen- or mitogen-induced intrapulmonary lymphocyte response of sensitized mice a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s. This immunomodulatory effect of Zedoariae rhizoma may be exerted through the regulation of T-cell subsets by elevation or activation of the CD8+ and double-negative T-cell population in the lung. However, the administration of Zedoariae rhizoma to sensitized mice 24 h after AC (group B) did not have the same inhibitory effect on the airway inflammation as Zedoariae rhizoma given before AC. Thus, the administration of Zedoariae rhizoma before AC has the immunomodulatory effect of reducing bronchial inflammation in the allergen-sensitized mice. On the other hand, to determine the potentiality of prophylactic and/or therapeutic approaches using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Zedoariae rhizoma, for the control of allergic disease, we examined the effects of oral administration of Zedoariae rhizoma on a murine model of asthma allergic responses. When oral administration of Zedoariae rhizoma was begun at the induction phase immediately after OVA sensitization, eosinophilia and Th2-type cytokine production in the airway were reduced in OVA-sensitized mice following OVA inha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ral administration of Zedoariae rhizoma dichotomously modulates allergic inflammation in murine model for asthma, thus offering a different approach for the treatment of allergic disorders.

기관지질환 진단을 위한 가상내시경 (Virtual Bronchoscopy for Diagnosis of Tracheo-Bronchial Disease)

  • 김도연;박종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5호
    • /
    • pp.509-514
    • /
    • 2003
  • 본 논문은 흉부를 촬영한 CT(Computed Tomography) 영상을 이용하여 기관지 내부를 시각화(visualization)하기 위해 가상기관지경(virtual bronchoscopy)을 구현하였다. 실제 광학내시경은 침습(invasive)검사로 환자가 불편함을 감수해야하며 검사 전에 사전 준비 작업이 필요하고 절개, 감염, 출혈 등의 부작용을 수반하는데 비해 가상내시경은 CT 나 MRI 등과 같은 스캐너의 단면 영상을 사용하여 구현한다. 가상기관지경의 항해경로 결정을 위해 CT 단면 원천영상에서 기관지(trachea wall)만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기관지 영상을 이용하여 중앙축 변환(MAT : .Medial Axis Transformation)을 통해 구해진 좌표값을 가상 카메라의 운행 경로로 사용하였다. 원근투영(perspective projection) 및 볼륨 데이터의 표면을 렌더링하기 위해 마칭큐브(marching cube)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기관지질환은 기관지 내부의 염증(inflammation) 이나 폐암(lung cancer)으로 기인하여 기관지 통로가 좁아지는 기관지 협착증, 기관지 확장증 및 기관지암으로 분류된다. 가상기관지경은 기관지 내부의 질환 위치와 질환 정도를 정성적으로 파악 할 수 있으며 기관지질환의 진단과 교육에 사용될 수 있다.

기관지천식에서 기관지폐포세척액내 IL-10과 기도염증정도의 연관성 (Relation of Interleukin-10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and Airway Inflammation in Bronchial Asthma)

  • 이숙영;윤형규;신윤;이상학;김석찬;김관형;문화식;송정섭;박성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1호
    • /
    • pp.44-52
    • /
    • 1999
  • 연구배경: 기관지천식은 호산구성 기도내 염증반응을 특징으로 하는데 호산구의 침윤에 관여하는 cytokine으로 T 림프구에서 분비되는 IL-3, IL-5, GM-CSF 등이 잘 알려져 있다. 한편 IL-10은 항염증성 cytokine으로 이러한 cytokine 분비를 억제할뿐만아니라, 호산구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자사(apoptosis)를 유도하고 조직내 첨착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관지천식 환자에서의 기관지폐포세척액과 말초 혈액단핵세포에서 분비되는 IL-10을 정상대조군과 비교하고 기도내 염증반응정도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기관지천식에서의 IL-10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기관지천식환자 23명, 정상대조군 11명을 대상으로 기관지폐포세척액내와 말초혈액단핵구에서 분비되는 IL-10을 ELISA 방법으로 측정하고, 기도의 염증반응정도는 기관지세포세척액내 총세포수 및 호산구분율과 기관지 생검조직내 호산구 침윤정도, methacholine 기관지유발 검사에서 $PC_{20}$값으로 평가하였다. 결 과: 기관지폐포세척액내 IL-10과 말초혈액단핵구에서 분비되는 IL-10은 기관지천식 환자군과 정상대조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기관지천식환자군에서 기관지폐포세척액내 IL-10은 기관지폐포세척액내 호산구분율 및 기관지 조직내 침윤된 호산구수와는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고, 메타콜린에 대한 PC20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말초혈액단핵구에서 분비되는 IL-10은 기관지폐포세척액내 IL-10과 상관 관계가 없었으며, 말초혈액내 호산구수나 eosinophilic cationic protein과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기관지천식 환자군의 기관지폐포세척액내 IL-10은 기관지폐포세척액이나 기관지 조직내 호산구 침윤과 역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정상대조군과 비교해서 IL-10 감소가 관찰되지 않았기 때문에 기관지천식에서는 항염증 효과가 있는 IL-10이 중요하게 작용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기관지천식에서의 신경적 기전 (Neural Mechanism in Bronchial Asthma)

  • 최병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2호
    • /
    • pp.73-86
    • /
    • 1994
  • In addition to classic cholinergic and adrenergic pathways, the existence of a third division of autonomic control in the human airways has been proved. It is called a nonadrenergic noncholinergic(NANC) nervous system, and difficult to study in the absence of specific blockers. Neuropeptides are certainly suggested to be transmitters of this NANC nervous system. It is very frustrating to understand the pathophysiologic role of these peptides in the absence of any specific antagonists. However, further studies of neuropeptides might eventually lead to novel forms of treatment for bronchial asthma. Another study of the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components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either in ganglionic neurotransmission or by presynaptic modulation of neurotransmitters at the end-organ will elute neural control in airway disease, particularly in asthma. Studies of how autonomic control may be disordered in airway disease should lead to improvements in clinical management. Epithelial damage due to airway inflammation in asthma may induce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Axon reflex mechanism is one of possible mechanisms in bronchial hyperresponsiveness. Epithelial damage may expose sensory nerve terminals and C-fiber nrve endings are stimulated by inflammatory mediators.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nerves and mast cells may have important roles in allergic process. The psychological factors and conditioning of allergic reactions is suggested that mast cell activation might be partly regulated by the central nervous system via the peripheral nerves. Studies in animal models, in huamn airways in vitro and in patients with airway disease will uncover the interaction between allergic disease processes and psychologic factors or neural mechainsms.

  • PDF

괴사성 기관지 국균증 -1예 보고- (Necrotizing Bronchial Aspergillosis - A case report-)

  • 이인호;김대현;김수철;김범식;조규석;박주철;김윤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1호
    • /
    • pp.874-877
    • /
    • 2003
  • 괴사성 기관지 국균증은 대부분 면역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 발생하며 국균이 기관지 상피를 침범하여 기관지 내에 종괴나 협착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당뇨병이 있는 78세 남자가 호흡곤란과 기침을 주소로 내원하여 시행한 단순 흉부 X-선 촬영과 흉부 전산화 단층 촬영 결과 좌상엽 기관지를 완전히 막고 있는 종괴와 좌상엽의 허탈이 발견되었고, 기관지 내시경을 통한 생검 결과 만성 염증 소견을 보였다. 확진과 치료를 위해 시험적 개흉술을 통해 좌상엽 소매 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치종 조직검사 상 괴사성 기관지 국균증으로 진단되었다. 저자들은 당뇨병이 있는 고령의 환자에서 발생한 괴사성 기관지 국균증 1예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기관지 천식 환자에서 기관지 특이항원 유발검사후 RANTES농도의 변화 (Change of Soluble RANTES Levels in Serum from Pateints with Atopic Bronchial Asthma)

  • 이양근;김재헌;이용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2호
    • /
    • pp.182-189
    • /
    • 1996
  • 연구목적 : 기관지 천식은 기도의 염증반응, 기관지 과민 반응의 증가및 가역적인 기도의 수축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기관지 염증반응의 단계중에서도 호산구등의 염증세포들이 혈관벽을 통과한후 염증 부위로의 이동 및 활성화에 관여하는 RANTES의 농도를 특이 항원으로 유발후 측정하여 기관지 천식의 병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4년 3월부터 1995년 3월까지 전북대학교 병원 내과에 내원한 환자중 알레르기 피부시험과 비특이적 기관지유발 시험에서 양성반응을 보인 아토피성 기관지 천식 환자 16명과 정상 대조군 8명을 대상으로 RANTES를 측정하였다. 결과 : 1) 특이 항원 기관지 유발 검사 전 혈청내 RANTES농도는, 조기 천식반응군이 57740pg/ml, 이중 천식반응환자군이 54430pg/ml으로 정상 대조군의 31087pg/ml에 비해 기관지 천식 환자군에서 유의있게 증가하였으나(P<0.05), 조기 천식환자군에 비해 이중 천식환자군에서 유의한 증가는 볼수 없었다. 2) 기관지 천식환자에서 특이 항원 유발후 30분, 2시간 8시간후에 측정한 RANTES농도는 조기 천식반응군이 각각 51508, 51288, 그리고 52264pg/ml으로 유발전에 비해 유의있는 관찰할수 없었으며, 이중 천식환자군역시 각각 51723, 50110, 그리고 55674pg/ml으로 유발전에 비해 유의있는 변화는 관찰할수 없었다. 결론 : 아토피성 기관지 천식 환자의 병인에 RANTES 농도의 증가가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천식의 만성 염증성 변화에 깊히 관여한다고 생각된다.

  • PDF

중증 및 중등증 기관지천식 환자에서 기도과민성과 기관지확장제 반응성 및 혈청 Eosinophil Cationic Protein(ECP)와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Bronchodilator Response, Airway Hyperresponsiveness and Serum Eosinophil Cationic Protein (ECP) Level in Moderate to Severe Asthmatics)

  • 박성진;강순복;권정혜;이상훈;정도영;유지훈;김상훈;김재열;박인원;최병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2호
    • /
    • pp.196-204
    • /
    • 2001
  • 기관지 천식은 가역적인 기도수축과 기도과민성 및 기도 염증을 특정으로 하는 만성염증성 질환으로 이중 호산구는 기관지천식의 병태생리 기전 중에서 기관지점막 상피세포의 손상을 초래하여 궁국적으로 기도과민성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천식환자의 혈액, 기관지 폐포세척액 및 기관지 점막내의 호산구 증가는 기관지 폐쇄정도 및 기도과민성과 연관성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활성화된 호산구 수와 혈중 ECP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다고 보고하고 있고, 기관지천식의 경과 판정에 유용한 지표로 제시되었으나, 정확한 임상적 유용성이 확립된 바는 없다. 이에 혈중 ECP 농도를 측정하여, 즉시형의 가역적인 기도확장반응과 기도과민성($PC_{20}$)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말초혈액 호산구수와 비교하여 혈중 ECP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기관지천식으로 진단되었던 환자 중 일초간 호기량의 에측치($FEV_1$ % p)가 80% 이하이었던 중등증 및 중증 천식환자 71명을 대상으로 하여, 말초혈액을 채취하여 호산구수와 총 IgE농도, ECP를 측정하였고, 기관지확장제에 대한 반응과 메타콜린 기관지 유발검사를 시행하였다. 기관지확장제에 대한 반응군과 비반응군간에 나이, 성별에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며, 총 IgE, $FEV_1$/FVC(%), $FEV_1$(% to predictive value) 등에도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며 호산구수도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ECP농도는 통계적으로 반응군에서 유의하게 반응군에서 높았으며 $PC_{20}$은 반응군에서 의미있게 낮았다. 그리고 기관지 확장제의 반응 정도와 혈중 ECP농도 및 기도과민성과의 관계에서 혈중 ECP 농도는 순 상관관계를 보였고 기도과민성($PC_{20}$)과는 역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혈중 ECP농도와 기도과민성과도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혈중 ECP농도는 중등증 및 중증 기관지천식환자에서 급성 기도수축 정도와 기도과민성을 잘 반영하며, 천식의 치료와 임상경과 및 예후에 의미있는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기관지 확장제의 반응성은 기관지의 염증과 연관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추후로 환자의 임상상과 천식의 정도 및 약물치료에 따른 ECP의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Inhibitory Effect of Ore Minerals on the Allergic Inflammation in Mouse

  • Park, Seul-Ki;Lee, Chang-Won;Lee, Mi-Young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4호
    • /
    • pp.269-275
    • /
    • 2008
  • The ore minerals, mainly composed of sericite, talc, and halloysite, were investigated for their inhibitory effect on the allergic inflammation in mice by measuring the serum IgE level, 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and histamine and ${\beta}$-hexosaminidase releases. When the mice were ovalbumin (OVA)-challenged prior to the ore mineral treatment, the IgE level in the serum decreased significantly. The ore minerals significantly reduced the productions of IL-4 and the tumor necrosis factor-${\alpha}$ in the bronchial alveolar lavage fluid challenged with OVA. The inflammatory infiltrates, found in the lung of the OVA-challenged mouse, were also notably decreased following the ore mineral treatment. The ore minerals significantly reduced the release of histamine and ${\beta}$-hexosaminidase from the RBL-2H3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re minerals may be useful as potent inhibitors of the allergic inflammation in mice.

Bronchoscopic Findings of Pulmonary Paragonimiasis

  • Jeon, Kyeongman;Song, Jae-Uk;Um, Sang-Won;Koh, Won-Jung;Suh, Gee Young;Chung, Man Pyo;Kwon, O Jung;Han, Joungho;Kim, Hojoo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7권6호
    • /
    • pp.512-516
    • /
    • 2009
  • Background: Pulmonary paragonimiasis is a subacute to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of the lung caused by lung flukes that result in prolonged inflammation and mechanical injury to the bronchi. However, there are few reports on the bronchoscopic findings of pulmonary paragonimiasis. This report describes the bronchoscopic findings of pulmonary paragonimiasis. Methods: The bronchosocpic findings of 30 patients (20 males, median age 50 years) with pulmonary paragonimiasis between May 1995 and December 2007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The diagnoses were based on a positive serologic test results for Paragonimus-specific antibodies in 13 patients (43%), or the detection of Paragonimus eggs in the sputum, bronchial washing fluid, or lung biopsy specimens in 17 patients (57%). The bronchoscopic examinations revealed endobronchial lesions in 17 patients (57%), which were located within the segmental bronchi in 10 patients (59%), lobar bronchi in 6 patients (35%) and main bronchi in 1 patient (6%). The bronchoscopic characteristics of endobronchial lesions were edematous swelling of the mucosa (16/17, 94%) and mucosal nodularity (4/17, 24%), accompanied by bronchial stenosis in 16 patients (94%). Paragonimus eggs were detected in the bronchial washing fluid of 9 out of the 17 patients with endobronchial lesions. The bronchial mucosal biopsy specimens showed evidence of chronic inflammation with eosinophilic infiltration in 6 out of 11 patients (55%). However, no adult fluke or ova were found in the bronchial tissue. Conclusion: Bronchial stenosis with mucosal changes including edematous swelling and mucosal nodularity is the most common bronchoscopic finding of pulmonary paragonimia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