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bronchial tissues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2초

인삼윤폐산가감방(人蔘潤肺散加減方)이 Histamine으로 유발(誘發)된 기관지수축(氣管支收縮)과 질식(窒息)에 대(對)한 보호효과(保護效果) (Protection Againse Histamine-Induced Bronchial constriction and Asphyxia by In-Sam-Yun-Pai-San-Ga-Gam-Bang)

  • 최윤정;김장현;문준전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57-68
    • /
    • 1993
  • In humans, an immediate allergic response to an allergen snay appear as either bronchial asthma unaccompanied by anaphylaxis or a severe bronchial constriction and spasm accompanied by anaphylaxis. Much experimental evidence with isolated asthmatic tissues has shown that histamine is released during the allergic reaction. Paradoxically, antihistamine treatment is ineffective in reversing bronchial asthma or anapllylaxis in a man. The present study objective is to search for protective agents(In-Sam-Yun-Pai-San-Ga-Gam-Bang) against bronchial constriction in treating a anaphylaxis. The result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A single dose of In-Sam-Yun-Pai-San-Ga-Gam-Bang extract(3ml/kg body weight) 2 hrs prior to histamine-induced bronchial constriction test demonstrated significant protec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In-Sam-Yun-Pai-San-Ga-Gam-Bang can be used in bronchial asthma.

  • PDF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Chihyo-san to Protect Respiratory Tissues from Asthmatic Damage

  • Cho, Ju-Hyung;NamGung, Uk;Kim, Dong-Hee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710-718
    • /
    • 2006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hyo-san (CHS) administration on asthma induced by Alum/OVA treatment in the mice. In CHS-treated animal group, lung weight, which was increased after asthma induc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otal number of cells in the lung, peripheral lymph node (PLN) and spleen tissu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HS-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asthma control group. The number of immune cells including natural killer (NK) cells in asthmatic animals was largely regulated by CHS treatment, showing a similar pattern as that of CsA-treated positive control group. Levels of mRNAs encoding inflammatory cytokines IL-5, IL-13, $TNF-{\alpha}$, and eotaxin were determined by RT-PCR in the lung tissue and showed decreases in CHS-treated group to the similar levels of CsA-treated control group, Histamine level in the serum was significantly lower in CHS-treated group than asthma-induced control group. Both ha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and Masson's trichrome staining results showed decreased number of inflammatory cells, reduced immune cell infiltration, and normalized epithelial cell layering in the bronchial tissue of CHS-treated mouse group. Thus,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CHS may be useful for protecting bronchial tissues from consistent inflammatory damages that occur in asthma patients.

천식환자의 기도내 Cytokines 표현에 대한 연구 (The Expression of Cytokines in the Airways from Patients with Bronchial Asthma)

  • 어수택;정성환;이상무;김현태;김용훈;박춘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1호
    • /
    • pp.1-10
    • /
    • 1995
  • 연구배경: 기관지 천식은 기도의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기관지 천식의 병인에 림프구의 "활성화"가 주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들 림프구중 TH1 림프구보다 TH2 림프구의 활성화가 아토피 천식환자의 기도에서 증명된 바 있다. 하지만, 아토피 정상인과 아토피 천식환자 사이의 cytokine 발현 차이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방법: 아토피 혹은 비아토피 천식환자 각각 6명, 아토피성 정상인, 비아토피성 정상인 각각 6명을 대상으로 기관지 조직을 획득하여 동결절편으로 in situ hybridization을 시행하였다. 사용된 cytokine은 IL-4, IL-5, INF-$\gamma$와 IL-2 였으며, probe의 제조는 random priming을 이용하여 digoxigenin을 부착시켜 사용하였다. 결과: 기관지 천식 환자의 기관지 조직은 상피세포의 탈락이 관찰되고 림프구를 포함한 다양한 염증 세포의 침윤이 기저막 하부에서 관찰되었다. 기관지 조직에서의 음성 대조군으로 RNase를 처리한 경우는 갈색의 음영이 관찰되지 않으나, RNase를 처리하지 않는 조직은 기저막 하부의 염증세포에서 갈색의 음영이 관찰되었다. 정상 대조군 6예 중 IL-2는 2예, INF-$\gamma$; 1예, IL-4;2예, IL-5는 2예에서 각각 관찰되었고, 아토피 대조군은 IL-2 1예, INF-$\gamma$;1예, IL-4와 IL-5는 한 예에서도 관찰되지 않았다. 아토피성 기관지 천식군 6예에서 IL-2는 4예, IFN-$\gamma$; 2예, IL-4; 4예, IL-5는 4예에서 관찰되었으며, 비아토피성 기관지 천식군에서는 IL-2 4예, IFN-$\gamma$;1예, IL-4; 3예, IL-5; 3예가 관찰되었다. 결론: 기관지 천식환자의 기관지내의 림프구는 활성화되어 있고, 아토피성 기관지 천식환자의 병인에 TH2-like 림프구가 관여할 것으로 추측되지만, 일부 아토피성 정상인에서의 기관지에서도 TH2-like 림프구가 활성화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추후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이용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기관지협착환자에서 기관지내 팽창성 급속 스텐트 삽입후 재발한 기관지협착 치험 2례 (Surgical Treatment of Bronchial Restenosis Occuring After Insertion of Self-Expandable Metalic Stent in Patients with Bronchial Stenosis -2 Cases Reports-)

  • 김우찬;진웅;나석주;조건현;이선희;곽문섭;김세화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8권5호
    • /
    • pp.499-503
    • /
    • 1995
  • Since the insertion of self expandable metalic stent[SEMS has became popular method for hollow organ stenosis, many attempts for further apply the stent to airway stenosis as an simple procedure has been made, but intrabronchial migration of stent or occurrence of inflammatory granuloma around stent develop occasionally and sometimes it worsen bronchial stenosis further more. This report describes 2 case of surgically treated bronchial restenosis in whom intrabronchial stent were applied for release of bronchial stenosis. Our surgical option was pneumonectomy and bronchoplasty with sleeve right middle and upper lobectomy respectively. During the operation we found the SEMSs were tightly impacted in restenotic bronchial lumen with overgrowth of granulation tissues. The bronchial obstructions occupied more than 90% of lumens in both cases, and needed much complicated procedure to be relieved. Therefore, even though the insertion of SEMS remains as a prcedure determined by the physician`s preference, it has to be considered prudently that the use of SEMS can cause severe restenosis and the surgeon has more difficulties in performing segmental resection of restenotic bronchus in patient with SEMS previously inserted. Throughout these experiences we can conclude that the insertion of SEMS must be performed only in very selected cases of bronchial stenosis.

  • PDF

고양이의 기관지 동맥의 결찰이 폐조직내 열단백질 70의 생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occlusion of the left bronchial artery on the production of HSP70 in cat lung)

  • 윤상원;유남수;조동일;남현정;성백길;나흥식;홍승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1호
    • /
    • pp.175-182
    • /
    • 1997
  • Several stresses are known to induce synthesis of heat shock protein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see whether pulmonary ischemia, induced by the bronchial artery occlusion, produced HSP70 in cat lung. To This aim, we compared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of cats with respect to the HSP70 production in the lung. Experimental animals were subjected to 10-min bronchial artery occlusion followed by reperfusion. The interval between the end of the occlusion and the end of the reperfusion was 1 hour, 4 hours and 8 hours, whereas control animal was not subjected 10 any manipulation except anesthesia. According to the interval differences, experimental animals were divided into 1HR, 4HRs and 8HRs groups. To determine The induction of HSP70 in each group, total proteins of lung tissues were extracted and separated by PAGE electrophoresis. Immunoblotting with a mouse monoclonal anti -HSP70 IgG antibody revealed that HSP70 was not detected in the pulmonary tissues resected from control, 1HR or 4HRs groups. In contrast. HSP70 expression in 8HRs group was mark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pulmonary ischemia by the bronchial artery occlusion produces HSP70 in a delayed manner.

  • PDF

기관지 유두종 1예 (A Case of Bronchial Papilloma)

  • 김형종;박무석;정재호;이태희;정재희;김영삼;장준;조상호;곽승민;김세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2호
    • /
    • pp.227-233
    • /
    • 2002
  • 저자들은 객혈을 주소로 내원한 62세 여자환자에서 굴곡성 기관지내시경 조직검사상 확진된 기관지 유두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Identifica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y TCDD in Human Bronchial Cells: Toxicogenomic Markers for Dioxin Exposure

  • Park, Chung-Mu;Jin, Kyong-Suk;Lee, Yong-Wo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9
    • /
    • 2012
  •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y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were identified in order to evaluate them as dioxin-sensitive markers and crucial signaling molecules to understand dioxin-induced toxic mechanisms in human bronchial cells. Gene expression profiling was analyzed by cDNA microarray and ten genes were selected for further study. They were cytochrome P450, family 1, subfamily B, polypeptide 1 (CYP1B1), S100 calcium binding protein A8 (calgranulin A), S100 calcium binding protein A9 (calgranulin B), aldehyde dehydrogenase 1 family, member A3 (ALDH6) and peroxiredoxin 5 (PRDX5) in up-regulated group. Among them, CYP1B1 was used as a hallmark for dioxin and sharply increased by TCDD exposure. Down-regulated genes were IK cytokine, interferon-induced protein with tetratricopeptide repeats 1 (IFIT1), nuclease sensitive element binding protein 1 (NSEP1), protein tyrosine phosphatase type VI A, member 1 (PTP4A1), ras oncogene family 32 (RAB32). Although up-regulated 4 genes in microarray were coincided with northern hybridization, down-regulated 5 genes showed U-shaped expression pattern which is sharply decreased at lower doses and gradually increased at higher doses. These results introduce some of TCDD-responsive genes can be sensitive markers against TCDD exposure and used as signaling cues to understand toxicity initiated by TCDD inhalation in pulmonary tissues.

반복적인 결절조직 배출 후 호전된 기관지 결핵 1예 (A Case of Endobronchial Tuberculosis with Repeated Expectoration of Nodular Tissues)

  • 김수웅;이병훈;안영수;김남인;엄우연;우정주;김상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2호
    • /
    • pp.204-208
    • /
    • 2005
  • 기관지 결핵은 치료 기간이 길고 후유증이 나타날 수 있어 적극적인 치료와 세심한 추적관찰을 요하는 질환이다. 저자들은 항결핵 화학요법 중 무기폐가 진행되었다가 특별한 시술 없이 물리치료와 체위배농만으로 결절 조직이 자연 배출된 후 임상 증상 및 방사선 소견이 호전된 기관지 결핵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기관지표면상피의 미세침윤성 편평세포암과 동반된 혼합성 소세포암종 -1례 보고- (Combined Small Cell Carcinoma Associated with Microinvasive Squamous Cell Carcinoma of Bronchial Surface Epithelium - A case report -)

  • 김윤정;심정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9호
    • /
    • pp.1031-1035
    • /
    • 1996
  • 폐의 편평상피암종에서 기관지표면상피의 화생에 대해서는 많은 이들에 의해서 밝혀진 바 있지만 그 외의 다른 종류의 폐암과 연관된 기관지 표면상피의 변화에 대해서는 그 예가 많지 않고 소세포폐암종에 대해서는 더욱 그러하다. 한편 소세포암종의 조직학적 분류와그아형에 대해서 지난수십년 간많은 관심이 모아져 왔다. 이 종량의 아형을분류하는기본적인 근거는 그 형태학적 판정 기준에 있다. 1967년 WHO폐암종 분류법이 제긍된 이후 3여러 기관에서 SCLC의 임상경과나 치료에 대한 반응, 그 아형을 연구하였다. 1988년 IASLC에서는 소세포암종을 그 형태학적 구분으로 세가지 아형 : Small cell carcinoma (2) Mixed small cel1/1arge ceil carcinoma (3) Combined small cell carcinoma로 분류하고 예후와 치료에 대한 반응의 차이에 대해서 언급하였다. 최근 저자들은 68세 남자환자에서 소세포암종에서 국소적으로 편평양분화를 보이는 세포가 함께 혼합되어 있는 주종괴와 분리되 어서 존재하는 기관지 상피세포에 편평상피암종이 동반된 예를 전폐 절제 술을 하고 조직 검사상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편평상피 폐암 및 주위 정상조직에서 p53 및 c-erbB2 발현의 의의 (p53 and c-erbB2 as the Immunohistochemical Markers in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ung)

  • 송창석;옥철호;정용석;장태원;정만홍;이재성;정혜진;허방;허만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4호
    • /
    • pp.523-532
    • /
    • 1999
  • 연구배경: 폐암은 조기진단이 어려운 대표적인 종양이다. 최근 정상세포에서 악성조직으로 진행되는 각각의 과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 지면서 폐암의 발병과 진행에 관계하는 여러 유전자와 염색체의 이상들이 발견되고 있다. 이에 근거하여 폐암 중에서도 객담 세포진검사나 기관지내시경 검사 등으로 진단이 용이하고, 조기진단의 의의가 높은 편평상피 폐암을 대상으로 종양세포와 인접 정상 세포에서의 p53 및 c-erbB2의 발현율과 그 의의를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5월부터 1996년 11월까지 15개월 동안 편평상피 폐암으로 진단되어 폐절제술을 받은 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종양부위 및 그 인접 정상세포에서의 p53과 c-erbB2의 발현 여부를 면역조직화학적 검사법을 이용하여 조사하고 폐암의 병리적 병기 및 환자의 생존기간에 따른 발현율의 차이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25명의 환자 중에서 병리적 병기 I, II가 각각 5명, IIIA가 8명, IIIB가 4명 및 IV가 3명이었다. 종양조직에서의 p53은 12명(48%), erb-B2는 3명(12%)에서 발현되었다. 인접 정상 기관지세포에서는 erb-B2는 3명(12%)에서 발현되었으나 p53은 한 예에서도 발현되지 않았다. 종양세포에서, 병기 II기 이하인 군 10명과 IIIA기 8명 및 IIIB와 IV기의 7명으로 나눠서 비교한 결과 p53이 발현된 경우는 각각 2예, 4예 및 6예로 병기가 진행될수록 발현율은 유의하게 높아졌다(p=0.009 by test of trend). 그러나 종양세포에서 이들의 발현여부에 따른 생존기간은 차이가 없었다. 결 론: p53은 정상 기관지세포에서는 전례에서 발현되지 않았으나 페종양조직에서는 발현율이 48%로 나왔으며, 발현율은 병기가 진행할수록 높아졌다. 따라서 기관지 생검조직에 p53을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검사를 병행할 경우 편평상피세포 폐암의 경우 조기진단이나 병기판정에 도움이 될 것으로 추정되나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