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m crest crack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Assessment of the crest cracks of the Pubugou rockfill dam based on parameters back analysis

  • Zhou, Wei;Li, Shao-Lin;Ma, Gang;Chang, Xiao-Lin;Cheng, Yong-Gang;Ma, Xing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1권4호
    • /
    • pp.571-585
    • /
    • 2016
  • The crest of the Pubugou central core rockfill dam (CCRD) cracked in the first and second impounding periods. To evaluate the safety of the Pubugou CCRD, an inversion analysis of the constitutive model parameters for rockfill materials is performed based on the in situ deformation monitoring data. The aim of this work is to truly reflect the deformation state of the Pubugou CCRD and determine the causes of the dam crest cracks. A novel real-coded genetic algorithm based upon the differences in gene fragments (DGFX) is proposed. It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radial based function neural network (RBFNN) to perform the parameters back analysis. The simulated settlements show good agreements with the monitoring data, illustrating that the back analysis is reasonable and accurate. Furthermore, the deformation gradient of the dam crest has been analysed. The dam crest has a great possibility of cracking due to the uncoordinated deformation, which agrees well with the field investigation. The deformation gradient decreases to the value lower than the critical one and reaches a stable state after the second full reservoir.

수위변동에 따른 Earth-Rockfill 댐의 거동 및 균열원인에 대한 평가 (An Evaluation of Stress-Strain Behaviour of Earth-Rockfill Dam and Causes of Crack due to Water Table Fluctuation)

  • 김상규;한성길;이민형;안상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149-162
    • /
    • 2001
  • 삼랑진에 위치한 삼랑진양수발전 상.하부댐의 댐마루에 시공 후 종방향 균열이 발생하였다. 이 댐들은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양수발전댐으로 상부댐과 하부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일 10m이상의 수위변화를 받아왔다. 본 논문은 이들 댐중 상부댐에 발생한 종방향 균열의 원인을 찾는데 있다. 균열의 주요 원인은 수위변동으로 인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를 검토하기 위해 hyperbolic model을 이용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을 위한 입력자료를 얻기 위해 심벽재료와 사석재료에 대해 일련의 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수위변동으로 인한 주기적인 응력변화를 검토하기 위한 입력자료를 얻기 위해 진동삼축압축시험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결과 반복하중이 작용했을 경우 댐마루에서 깊이 4m까지 구속압력이 음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종방향균열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종방향균열의 깊이는 댐 마루에서 수행한 시험굴에서 확인하였으며, 현장 조사결과와 잘 부합하였다.

  • PDF

고분해능 탄성파 반사법을 이용한 댐체 내부구조 모니터링 연구 (A study on monitoring the inner structure of dam body using high resolution seismic reflection method)

  • 김중열;김형수;오석훈;김유성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5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20
    • /
    • 2005
  • 댐체 안정성 문제는 무엇보다 투수 내지 누수 과정에서 유발될 수 있는 댐체 내부 결함(예: 균열)에 귀결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댐체 내부 결함은 댐 붕괴를 조장할 수 있기 때문에 우선 적절한 탐사 기법을 이용하여 그에 대한 위치 및 규모가 파악되어야 하며 그 결과에 따라 그라우팅에 의한 보수 작업 및 그에 대한 성과 검증 작업이 철저히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이 된 댐은 중심 코어형 흙 댐으로 댐 소단 사면에는 누수로 인한 여러 형태의 결함이 관찰되고 있어 그에 대한 진단 및 보수 보강이 필요한 상태였다. 본 연구에서는 댐체 진단 및 그라우팅 성과 판단을 위해 그라우팅 이전(2001년 8월) 및 이후(2004년 11월)에 댐 마루 측선 상에서 고분해능 탄성파 반사법 탐사를 수행하였다. 탐사 자료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파를 약화시키고 P파 반사파 에너지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발생원 에너지 방사형 변조 기법(P빔 발생원)도 응용되었다. 그라우팅 이전 탐사 결과(탄성파 중합단면도)에서는 댐체 내부 균열로 판단되는 강한 반사파가 일부 구간에서 인식되었으며, 그라우팅 이후 탐사 결과에서는 상기 강한 반사파가 인식되지 않음으로써 3년의 시차를 둔 두 개의 탄성파 탐사 결과는 댐체 진단 및 그라우팅 성과 판단을 위한 기본 자료로 반영될 수 있었다. 따라서 고분해능 탄성파 반사법 탐사는 댐 모니터링을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탐사 기법으로 크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고분해능 탄성파 반사법을 이용한 댐체 내부구조 모니터링 연구 (A study on Monitoring the Inner Structure of Dam Body Using High Resolution Seismic Reflection Method)

  • 김중열;김형수;오석훈;김유성
    • 지구물리
    • /
    • 제8권1호
    • /
    • pp.1-6
    • /
    • 2005
  • 댐체 안정성 문제는 무엇보다 투수 내지 누수 과정에서 유발될 수 있는 댐체 내부 결함(예: 균열)에 귀결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댐체 내부 결함은 댐 붕괴를 조장할 수 있기 때문에 우선 적절한 탐사 기법을 이용하여 그에 대한 위치 및 규모가 파악되어야 하며 그 결과에 따라 그라우팅에 의한 보수 작업 및 그에 대한 성과 검증 작업이 철저히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이 된 댐은 중심 코어형 흙 댐으로 댐 소단 사면에는 누수로 인한 여러 형태의 결함이 관찰되고 있어 그에 대한 진단 및 보수 보강이 필요한 상태였다. 본 연구에서는 댐체 진단 및 그라우팅 성과 판단을 위해 그라우팅 이전(2001년 8월) 및 이후(2004년 11월)에 댐 마루 측선 상에서 고분해능 탄성파 반사법 탐사를 수행하였다. 탐사 자료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파를 약화시키고 P파 반사파 에너지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발생원 에너지 방사형 변조 기법(P빔발생원)도 응용되었다. 그라우팅 이전 탐사 결과(탄성파 중합단면도)에서는 댐체 내부 균열로 판단되는 강한 반사파가 일 부 구간에서 인식되었으며, 그라우팅 이후 탐사 결과에서는 상기 강한 반사파가 인식되지 않음으로써 3년의 시차를 둔 두개의 탄성파 탐사 결과는 댐체 진단 및 그라우팅 성과 판단을 위한 기본 자료로 반영될 수 있었다. 따라서 고분해능 탄성파 반사법 탐사는 댐 모니터링을 위한 하나의 바람직한 탐사 기법으로 크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