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odorizing conditions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2초

대두유의 탈취조건과 trans 지방산 생성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Deodorizing Condition and Production of Trans Fatty Acids in Soybean Oil)

  • 김덕숙;이근보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6-170
    • /
    • 2006
  • 대두유의 탈취과정에서 탈취온도, 진공도, cycle time 및 stripping steam 주입량의 4대 요소를 조정하여 탈취를 행한 후 탈취유의 산가, 과산화물가 및 trans 지방산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즉, 탈취온도가 높을수록 AV, POV는 하락하였으나 trans 지방산 함량이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진공도는 4torr 수준이 적정하였으며, CT는 길어질수록 효과가 우수하였다. SS주입량은 2.0%(w/w) 수준이 가장 적절한 조건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볼 때, 대두유에서 trans 지방산 함량을 상대적으로 낮게 할 수 있는 탈취조건은 최고 탈취온도 $235^{\circ}C$, 진공도 4torr, CT $14{\sim}15$분 및 SS주입량 2.0%(w/w)내외의 조건에서 trans 지방산 함량 0.31% 내외의 우수한 탈취유의 생산이 가능하였다. 결과적으로 탈취과정에서 trans 지방산 생성량을 극소화하기 위하여는 탈취온도가 가장 중요하였는데, AV, POV 등 다른 품질 요인들을 동시에 고려할 때, 더 이상의 탈취온도 하락은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소취 섬유의 제조에 관한 연구 (IV) - 산화티탄(IV)을 이용한 소취 섬유의 제조 및 calcination 온도가 소취율에 미치는 영향 - (Study for the Preparation of Deodorizing Fiber (IV) - Preparations of Deodorizing Fibers using $TiO_2$ and Effects of Calcination Temperature on the Deodorant Activity -)

  • 박수민;오선화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61-167
    • /
    • 2003
  • The preparations of deodorizing fibers using $TiO_2$ have been investigated. The fibers were coated with $TiO_2$ for the purpose of deodorizing by dipping fibers into the $TiO_2$ sol solutions and calcined at $450^\circ{C}$, $500^\circ{C}$ and $750^\circ{C}$ for 1 h after coating.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coated fibers was studied with XRD on the different preparation conditions of calcination temperatures. The deodorizing function of the prepared fibers was studied by the determination of the decomposing capability for $NH_3,\;CH_3SH\;and\;CH_3CHO$. The deodorant activity(D.A.) of these deodoriBing fibers was measured by chromogenic gas detector tubes. The deodorizing effect of the prepared fibers were shown to be similar for the three model compounds; 5wt% $TiO_2$ sol solution calcined at $450^\circ{C}$ < 5 wt% $TiO_2$ sol solution calcined at $500^\circ{C}$< 5 wt% TiO$_2$ sol solution calcined at $750^\circ{C}$.

탈취온도가 옥수수기름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제1보) 탈취온도가 옥수수기름의 지방산 및 triglyceride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odorizing Temperature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 Corn Oil (I) Effect of Deodorizing Temperature on fatty Acid and Triglyceride Composition in Corn Oil)

  • 이근보;홍민;한명규;이미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89-193
    • /
    • 1997
  • 옥수수기름의 탈취온도가 탈취유의 이화학적 항수, 지방산 조성 및 triglyceride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적정 탈취온도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40{\sim}270^{\circ}C$의 탈취온도에서 산값은 $240^{\circ}C$ 처리군에서 0,07로 가장 낮았고, $250{\sim}270^{\circ}C$에서는 $0.08{\sim}0.09$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Lovibond total color는 $255^{\circ}C$에서 가장 낮은 24였으며, 과산화물값은 $240{\sim}270^{\circ}C$ 전구간에서 0을 나타내었으나 $235^{\circ}C$에서는 0.42로 과산화물이 완전 제거되지 않아 $240^{\circ}C$이상의 탈취온도가 요망되었다. 한편, 탈취온도가 증가할수록 myristic, palmitic, stearic acid 등의 포화지방산 함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탈납유에서는 존재하지 않았던 arachidic acid함량이 급속한 증가 경향을 보였다. 탈취온도에 따라 TG조성도 변화를 보여 $250^{\circ}C$ 이상 처리군에서는 $S_3$형 TG가 발견되는등 고온탈취는 탈취유의 이화학적 특성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대두유의 탈취과정에서 생성되는 Dimeric Acids (Formation of Dimeric Acids in Soybean Oil in the Deodorizing System)

  • 박철수;윤광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94-497
    • /
    • 1998
  • 본 연구는 대두유의 탈취과정에서 생성되는 dimeric acid의 생성추이를 조사하여 이들의 생성이 최소화될 수 있는 탈취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진행되었으며, 이 조건에서 대두유의 품질을 측정하였다. $250^{\circ}C$, 1시간 또는 $240^{\circ}C$, 2시간의 탈취조건에서부터 dimeric acid가 생성되었으며 $280^{\circ}C$에서 1시간 및 2시간 탈취시 dimeric acid의 함량은 각각 2.81%, 3.39%로 증가하였다. Dimeric acid의 생성 억제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탈취중에 첨가된 citric acid 및 catechin의 효과를 관찰한 결과 dimeric acid의 생성은 무첨가군에 비하여 탈취온도 $260^{\circ}C$까지 억제되었다. 탈취된 대두유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색조, 점도 등을 측정한 결과 $240^{\circ}C$에서 2시간 이하 또는 $250^{\circ}C$에서 1시간 이하의 탈취조건에서 가장 좋은 대두유의 성상을 나타냈다. 이상의 모든 결과를 종합하면 $240^{\circ}C$에서 2시간 또는 $250^{\circ}C$에서 1시간의 탈취조건에서dimeric acid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 조건에서 탈취된 대두유의 색조와 점도는 양호하였다.

  • PDF

탈취조건이 대두유의 색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odorizing Conditions on Color in Soybean Oil)

  • 김덕숙;이근보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27-631
    • /
    • 2005
  • 대두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대두원유를 탈검-탈산-탈색-탈취의 일반적인 정제공정을 모두 거친 것과 이들 정제공정을 생략하고 협잡물만 제거한 후 그대로 탈취하여 고유의 색상을 갖는 독특한 대두유를 얻었다. 이 때의 차이는 Sample 1은 정상 탈취유, Sample 2, 3는 협잡물만을 제거한 다음 batch type deodorizer에 주입하여 진공도, 최고온도, stripping steam 주입량, 탈취시간 등을 차등화하여 3단계 탈취를 행하였다. 얻어진 탈취유의 이화학적 특성은 Sampl 1의 경우 산가 0.034, Lovibond color 9.1Y/0.9R, 과산화물가 0의 엷은 노란색 대두유였다. 그러나 Sample 2는 산가 0.078, Lovibond color 65.0Y/18.39R/4.2B/0.1N, 과산화물가 0.7의 밝고 투명한 녹색을 나타내었다. Sample 3은 산가 0.072, Lovibond color 37.3Y/3.8R/0.1B/0.1N, 과산화물가 1.6의 짙은 검붉은 갈색을 나타내어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착색 탈취대두유는 앞으로 솔잎향미유, 들깻잎향미유 등의 다양한 향미유 제조의 원료유로 각광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적색육어류의 고도불포화지질의 이용에 관한 연구 3. 정제정어리유의 제조 (Utilization of Polyunsaturated Lipids in Red Muscled Fishes 3. The Conditions of Refining, Decoloring, and Deodorization for Processing of Refined Sardine Oil)

  • 이강호;정인학;서재수;정우진;육지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25-231
    • /
    • 1988
  • 정어리유의 고도불포화지질을 일상식생활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정제정어리건의 제조를 위한 탈산, 탈색, 탈취 등의 정제조건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어리유의 탄산은 알칼리처리가 효과적이었으며 2M NaOH용액을 $0.5\%$ 과잉첨가하고 $30^{\circ}C$, 30분처리가 적조건이었다. 일반적으로 행하는 인산처리는 탈검에 효과가 없었다. 2. 탈색은 산성백토만을 기름의 $5\%$정도로 첨가하고 감압하에서 $60^{\circ}C$ 20분간 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락적이었다. 3. 탈취는 수증기증류가 효과적이었으며 4torr 이하로 감압하면서 $180^{\circ}C$ 이하의 온도에서 하는 것이 바람직하였고 $200^{\circ}C$ 이상에서는 현저한 요오드가의 감소와 지방산조성에 변화를 초래하였다.

  • PD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Lactic Acid Bacterial Strain KJ-108 and Its Capability for Deodorizing Malodorous Gases Under Anaerobic Culture Conditions

  • KIM, JEONG-DONG;JUNG-HOON YOON;YONG-HA PARK;DAE-WEON LEE;KYOU-SEUNG LEE;CHANG-HYUN CHOI;WON-YEOP PARK;KOOK-HEE K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2호
    • /
    • pp.207-216
    • /
    • 2003
  • A number of different sources, such as composts, leachates, and pig fece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different pig farms in Korea, and several microorganisms were screened for their ability to deodorize the malodorous gases. Consequently, a novel malodorous gases-deodorizing bacterial strain, KJ-108. was isolated, because it was highly abundant in nitrate-supplemented minimal medium ($MM-NO_3^-$) under anaerobic culture conditions. Airtight crimp-sealed serum bottles containing $MM-NO_3^-$ , medium were inoculated with KJ-108. Nitrate concentration was decreased rapidly after 20 h of incubation, and incubation was carried out until nitrite production reached almost zero. Taxonomic identification, including 16S rDNA base sequencing and phylogenetic analysis, indicated that the isolate had $100\%$ homology in its 165 rDNA base sequence with Lactobacillus pentosus. Among the volatile fatty acids, acetic acid contained in large amounts in fresh piggery slurry was decreased by about $40\%$ after 50 h incubation with strain KJ-108. n-Butyric acid, n-valeric acid, and isovaleric acid were gradually decreased, and isobutyric acid and capronic acid were dramatically eliminated at theinitial period with the treatment. Moreover, NH, removal efficiency reached a maximum of $98.5\%$ after 50 h of incubation, but the concentration of $H_2S$ was not changed.

대두유의 탈취과정에서 생성되는 trans 지방산의 정량 (Effect of Deodorizing Conditions on Formation of trans-Fatty Acids of Soybean Oil)

  • 박철수;윤광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12
    • /
    • 1998
  • Trans 지방산의 생성은 탈취온도 $240^{\circ}C$에서 2시간 탈취시부터, $250^{\circ}C$에서 1시간 탈취시부터 생성되었으며, 검출된 함량은 각각 0.70%, 2.15%이었다 한편 이들 trans 지방산을 GC-MS 의하여 동진한 결과 $C_{18:2}\;{\Delta}9-cis,\;{\Delta}12-trans,\;C_{18:2}\;{\Delta}9-trans,\;{\Delta}12-cis,\;C_{18:2}\;{\Delta}9-cis,\;{\Delta}12-cis,\;{\Delta}15-trans,{\;},C_{18:3}\;{\Delta}9-trans,\;{\Delta}12-cis,\;{\Delta}15-cis,\;C_{18:3}\;{\Delta}9-cis,\;{\Delta}12-trans,\;{\Delta}15-cis$로 추정하였다. Trans 지방산의 생성 억제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첨가된 citric acid및 catechin의 효과를 관찰한 결과 trans 지방산의 생성 억제에는 효과가 없었다. 탈취된 대두유의 품질을 평가하기 위하여 산값, 과산화물값 등을 측정한 결과 $240^{\circ}C$에서 2시간 이하 또는 $250^{\circ}C$에서 1시간 이하의 탈취조건에서 가장 좋은 대두유의 성상을 나타냈다. 이상의 모든 결과를 종합하면 $240^{\circ}C$에서 2시간 또는 $250^{\circ}C$에서 1시간의 탈취조건에서 trans 지방산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 조건에서 탈취된 대두유의 품질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나주배 적과(摘果)중 유과(乳菓)의 염색성 (Dyeing Properties of Young Superfluous Fruits of Naju Pear Trees)

  • 이상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7-33
    • /
    • 2004
  • Natural dyeing means coloring with dyes extracted from plants, minerals or animals found in nature. Natural dyeing provides calm and natural colors; it has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qualities; and the dyeing process is environmentally friendly. This study extracted natural dyes from young fruit by thinning out the superfluous fruits of Naju pear trees, and then examined its dyeing properties, the optimal dyeing conditions, and its color fastness for practical use. The results indicated that dyeing is ideal when it had Cu mordant treatment (5% concentration at 9$0^{\circ}C$, pH 4) for 50 min. The color fastness of natural dyes with Cu mordant treatment was very excellent after rubbing and dry cleaning, and also good after exposure to perspiration, light and washing.

  • PDF

A Development of Polyester-based Non-woven Fabric Filter for Air Purifier Treated with Self-actuated Photocatalyst

  • Choi, Sei Young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1권3호
    • /
    • pp.226-232
    • /
    • 2016
  • We studied the photocatalytic functionality such as deodorant, antibacterial, fine dust collection efficiency of polyester-based non-woven fabric filter treated with self-actuated photocatalyst. According to UV/visible result, the UV-visible peak of visible-light responsive photocatalyst was found to be red shift at 420 nm sensitive in the visible light region. The deodorizing performance was shown to be reduced more than 80% even without dark conditions. Fine dust particles collection efficiency was shown to be excellent at the size of not only $2.5{\mu}m{\sim}10.0{\mu}m$ but also less than $2.5{\mu}m$. Also antimicrobial and antifungus was shown to be reduced more than 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