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rest fire risk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5초

Forest Fire Risk Zonation in Madi Khola Watershed, Nepal

  • Jeetendra Gautam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40권1호
    • /
    • pp.24-34
    • /
    • 2024
  • Fire, being primarily a natural phenomenon, is impossible to control, although it is feasible to map the forest fire risk zone, minimizing the frequency of fires. The spread of a fire starting in any stand in a forest can be predicted, given the burning conditions. The natural cover of the land and the safety of the population may be threatened by the spread of forest fires; thus, the prevention of fire damage requires early discovery. Satellite data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can be used effectively to combine different forest-fire-causing factors for mapping the forest fire risk zone.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mapping forest fire risk in the Madikhola watershed. The primary causes of forest fires appear to be human negligence, uncontrolled fire in nearby forests and agricultural regions, and fire for pastoral purposes which were used to evaluate and assign risk values to the mapping process. The majority of fires, according to MODIS events, occurred from December to April, with March recording the highest occurrences. The Risk Zonation Map, which was prepared using LULC, Forest Type, Slope, Aspect, Elevation, Road Proximity, and Proximity to Water Bodies, showed that a High Fire Risk Zone comprised 29% of the Total Watershed Area, followed by a Moderate Risk Zone, covering 37% of the total area. The derived map products are helpful to local forest managers to minimize fire risks within the forests and take proper responses when fires break out. This study further recommends including the fuel factor and other fire-contributing factors to derive a higher resolution of the fire risk map.

산림 화재감식 응용을 통한 내화림 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fforestation of Fire-Resistant Forest through an Application of Forest Fire Investigation)

  • 박영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118-129
    • /
    • 2011
  • In this study, species resistant to forest fire were extracted from high trees through an investigation of combustion mechanism. Here, the average flameless ignition temperatures of living leaves, branches and barks of oak were respectively, $365^{\circ}C$, $440^{\circ}C$ and $435^{\circ}C$, and the average flameless ignition temperatures of living leaves, branches, barks and cones of pine tree were respectively, $320^{\circ}C$, $405^{\circ}C$, $435^{\circ}C$ and $363^{\circ}C$. It shows that generally, pine tree has a lower flameless ignition temperature than oak and thus, has a relatively high risk of flameless ignition. When comparing risk of fire depending on ignition characteristics, Quercus serrata had a low risk of stem fire, and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serrata had a low risk of crown fire, as well. When analysing risk of fire depending on a duration of flame, also, Quercus dentata had a low risk of stem fire, and Quercus variabilis Blume had a low risk of crown fire too. Lastly, when comparing risk of fire, according to heat release rates, Quercus acutissima had a low risk of stem fire, and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dentata had a low risk of crown fire, as well. In conclusion, it was observed that as fire-resistant species, Quercus serrata and Quercus dentata have a low risk of ignition, Quercus variabilis Blume has a short duration of flame after discharging ignition when a forest fire occurs, and Quercus acutissima, Pinus Rigida and Antipathes japonica Brook have low heat release rates.

산불예방을 위한 감시시설 가시범위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Visibility Range of Forest Fire Detection Facilities for Forest Fire Prevention)

  • 이시영;안상현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157-160
    • /
    • 2008
  • This study analyzed on the area of Samcheok, Kangwondo about forest fire alarming area and enlargement of the area. Then, visible area by unattended watching camera and watchtower for forest fire which were run by Samcheok was cross-checked with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it could be whether effective on watching the area where the forest fire risk was high enough and also it could be expanded to larger forest fire. The result of study, the visible area by watching facilities only holds for 13.4% of the whole forest fire alarming area, but the forest fire can be observed even though it is occurred in small valley because of smoke and all the forest fire have been occurred in daytime. Therefore, it can be determined that watching area will be extended around 50.3% while the observation radii of watching facilities raise by 4km. However, Samcheok has much greater area of mountain area in compared to any other cities or counties, watching facilities should be installed and run additionally for extinguishing the forest fire from the beginning.

  • PDF

산불연료의 연소특성을 활용한 산불위험지도 작성에 관한 연구 : 강원도 삼척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Mapping Forest Fire Risk Using Combustion Characteristic of Forest Fuels : Focusing on Samcheok in Gangwon-do)

  • Lee, Haepyeong;Park, Youngju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296-30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산불발생 시 화염행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강원도 삼척시를 대상으로 산림가연물의 연소특성 DB를 구축하고, 연소특성 DB로부터 GIS를 이용하여 산불위험지도 및 위험도등급화 지도를 작성하였다. 맵핑을 위한 표준화 대상변수로는 자연발화온도, 착화시간, 화염지속시간, 총열방출량, 총연기방출량을 사용하였다. 또한, 총괄위험도 등급화는 착화위험변수(자연발화온도, 착화시간)와 확산위험변수(총열방출량, 화염지속기간, 총연기방출량)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강원도 삼척시의 산불위험도등급은 1~5등급(5단계)으로 등급화하였으며, 1등급에 가까울수록 산불위험성이 높은 구역으로 구분하였다. 삼척시의 착화위험등급은 1등급과 5등급으로 구분되어 2단계로 나타났다. 또한, 확산위험등급은 1등급, 2등급, 4등급, 5등급으로 구분되어 4단계로 나타났다. 총괄위험등급은 1등급, 2등급, 3등급으로 구분되어 3단계로 나타났으며, 산불위험등급이 가장 높은 1등급의 구역은 산불발생위험등급과 산불확산위험등급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1등급에 해당하는 구역은 삼척시의 우발리와 미로면 지역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은 산불발생 시 발열량이 높게 나타나는 소나무와 참나무 군락지로 산불발생 시 화재하중이 크게 작용하여 산불확산이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사료된다.

기계학습 기반의 산불위험 중기예보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Mid-range Forecast Models of Forest Fire Risk Using Machine Learning)

  • 박수민;손보경;임정호;강유진;권춘근;김성용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5_2호
    • /
    • pp.781-791
    • /
    • 2022
  • 산불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산불위험 예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기계학습 기반의 산불위험 중기예보(1일 후부터 7일 후까지) 모델을 개발하였다. Global Data Assimilation and Prediction System (GDAPS)의 기상예보 자료와 기 개발된 산불위험지수(Fire Risk Index, FRI)의 과거 및 현재 정보, 그리고 기타 환경요소(i.e., 고도, 산불다발지수, 가뭄지수)의 현재 정보를 반영하여 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학습을 통해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효율적인 모델 개발을 목적으로 과거 산불위험지수와 가뭄지수의 유무를 고려하여 세가지 경우(Scheme 1: 과거 산불위험지수 및 가뭄지수, Scheme 2: 과거 산불위험지수, Scheme 3: 과거 산불위험지수 변화 추세 및 가뭄지수)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산불위험예보모델은 예보기간에 상관없이 높은 정확도(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0.8, relative root mean square error <10%)를 나타냈으며, 실제 산불 발생 건에 대해서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과거 산불위험지수의 추세보다는 산불위험지수 값 자체를 입력변수로 사용하는 것이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가뭄지수 사용과 관계없이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GIS를 이용한 산불발생위험지역 구분 (Classification of Forest Fire Occurrence Risk Regions using GIS)

  • 이시영;안상현;원명수;이명보;임태규;신영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37-46
    • /
    • 2004
  • 산불로 인한 재해를 미연에 방지하고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산불발생위험지역을 사전에 파악하여 예방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불발생인자에 따른 산불발생위험지역을 구분하고자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발생한 산불피해지역에 대하여 임상, 지형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된 요인들 간 독립성 유무를 상관분석을 이용하여 산불발생과 관련 있는 7개의 주제도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주제도률 조건부확률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산불발생확률을 계산하였다. 계산된 산불발생확률을 20개 등급으로 지수화하여 산불발생위험지역을 구분하였다.

  • PDF

동해안 산불피해 사례기반 격자체계를 활용한 산불위험분석 (Forest Fire Risk Analysis Using a Grid System Based on Cases of Wildfire Damage in the East Coast of Korean Peninsula)

  • 김구윤;이미란;곽창재;한지혜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5_2호
    • /
    • pp.785-798
    • /
    • 2023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산불 발생이 빈번해지고 있으며, 산불의 크기도 대형화가 되고 있다. 우리나라 산불은 매년 100 ha 이상 산불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최근 5년간 강원도에서 발생한 대형산불의 90%는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동해안 지역은 건조한 대기, 양간지풍 등 산불에 취약한 기후와 침엽수림의 산림 조건을 지니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산불 발생 위험성 예측, 산불 위험도 산정 등 다양한 산불 분석과 관련된 연구들이 추진되고 있다. 기상 및 산림 관련 인자를 고려하여 산림지역에 대한 위험 분석에 관련된 연구는 많이 추진되고 있으나, 산림 인접 지역을 대상으로 위험도 분석을 수행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산림 인접 지역에 대한 관리는 인명과 재산 보호를 위해 중요한 일이다. 산림 인접한 주택 및 시설물들은 산불에 의해 큰 위협을 받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지점번호를 활용하여 산림 인근 지역에서 영향을 받는 인자들을 활용하여 격자기반 산불 관련 재난위험지도를 작성하고 강릉 산불 사례 기반으로 산림 지역과 산림 인접 지역을 대상으로 위험등급 차이를 비교하였다.

의성군지역 산불발생 및 대형화 위험지역 구분 (Classification of Forest Fire Risk and Hazard Regions in Uiseong-Gun)

  • 안상현;원명수;김동현;강영호;이명보;이시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7-124
    • /
    • 2005
  • 산불관리에 있어서 산불발생위험이 높은 지역을 사전에 예측하여 효율적인 예방대책을 수립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산불이 발생한 다음 대형화되기 쉬운 지역을 미리 예측하여 진화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초동진화를 한다면 산불로 인한 피해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불관리의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GIS를 이용하여 기존에 지형, 임상 특성 등을 이용한 산불 발생위험지역을 예측한 것과 임상특성을 고려하여 산불이 대형화되는 지역을 구분한 결과를 바탕으로 산불 발생 및 대형화 위험성이 높은 지역을 구분하였다. 구분한 결과 전체면적 중 4%가 산불 발생 및 대형화 위험지역으로 구분되었다.

  • PDF

숲 가꾸기 실행 및 미실행지의 임분특성에 따른 산불위험도 분석 (Analysis of forest fire danger rating on the forest characteristic of thinning area and non-thinning area)

  • 이시영;이명욱;채희문;원명수;염찬호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217-222
    • /
    • 2007
  • Since 1973, we attain a successful achievement of nation-wide afforestation such as a thick forest and heaped-up leaves. However, the higher of the formation density in forest, the more dangerous to be a large-scale forest fire whenever fire occurs. According to the type of forest in the country, 42% of the forest is occupied by conifer forest that are highly flammable, and the distribution of forest age is in a transition period from immature forest to mature one. And the structure is too weak to the forest fire for the occurrence and spread because there are too many scrub and shrub trees in the forest. As a matter of course, it is on the increase of the thinning-forest that can shift the forest structure from a weak on forest fire to a strong one nowaday. In other words, thinning-forest has primary purposes such as the promotion of producing forest trees, production of excellent timbers, and build-up of public forest area. Furthermore, in some reports, the reduction of ladder fuel by eliminating the vertical/horizontal fuel in a forest and ensuring spaces in the forest can decrease the occurrence of forest fire and the risk of spread of burning as by-effect. Therefore, this study is designed to clarify the relation with the risk of forest fire by an on-spat-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forest composition on the thinning and the non-thinning area.

  • PDF

수치산림입지도를 이용한 산불발생위험지역 구분 (Classification of Forest Fire Occurrence Risk Regions Using Forest Site Digital Map)

  • 안상현;원명수;강영호;이명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64-69
    • /
    • 2005
  • 산불은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인명을 위협할 수 있는 국가적 재해다. 이러한 산불을 미연에 방지하고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산불발생위험지역을 사전에 판단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입지환경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산림토양특성 중 토양형, 지형, 토성, 경사, 배수 등과 산불발생지점을 가지고 각 지점별 산불발생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산불발생확률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 시 조건부확률과 GIS를 이용하였다 개발된 산불발생확률 모형의 적합성 검정을 위하여 추정모형의 예측력 비율을 검토할 수 있는 예측비곡선에 적용한 결과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적용하여 산불관리자가 손쉽게 산불발생위험지역을 파악할 수 있도록 위험지역을 구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