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jection grouting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초

SIG공법에 의한 구조물기초지반에서의 복합지반개량 평가 (Evaluation of Composite Ground Improvement at Structural Foundation Ground by Super Injection Grouing)

  • 김종국;손형호;이호관;성기광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47-354
    • /
    • 2002
  • In this paper, when structures are constructed in the soft ground with poor bearing capacity at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railroad area), as for the grouting columns built In soft ground by high pressure jet grouting with Triple tube rod(super injection grouting), the effects on reinforcement and bearing capacity of ground are investigated. A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tests has been performed on the specimens sampled from the grouting columns and a mass plate bearing test has been performed on a grouting column. The test results show that super injection grouting has a sufficient effect on composite ground improved of foundation ground and reatraint of settlement of structure.

  • PDF

충적층 차수벽으로서 CJM Grouting (CJM Grouting to Reduce the Permeability in Alluvium)

  • 천병식;양형칠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53-263
    • /
    • 2005
  • There were no cases to use CJM Grouting to Reduce the Permeability of open-cut in Alluvium adjacent to Han River. In this paper, the applicability of CJM Grouting to Reduce the Permeability in Alluvium is reasonably estimated by in-situ Permeability test and coring. It is known that the range of improvement is decided by injection pressure, time of high pressure water and by slump, injection pressure of injection materials.

  • PDF

모형시험을 통한 지반보강 그라우팅의 적정주입압력 연구 (Investigation of the Optimum Injection Pressure in Pressure Grouting by Laboratory Model Tests)

  • 박종호;박용원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217-225
    • /
    • 2003
  • 지반보강 그라우팅은 대상지반의 공학적 특성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주입재 종류, 주입압력, 주입량 등을 적절히 선택해야 효율적이고 경제성 있는 시공이 될 수 있다. 특히, 압력 그라우팅 공법을 견고한 암반층이 아닌 일반 토사층에 적용시 압력이 높은 경우 수압파쇄에 의한 주입재 이탈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쉬우므로 현장조건에 알맞는 주입압력을 미리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느슨 내지 중밀 정도의 쇄석과 모래를 이용한 실험실 모형시험을 통하여 적정 주입압과 주입방법을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최적 주입압, 주입량 그리고 주입시간을 조사하기 위해 실험과정에서 주입조건을 변화시켰다. 시험결과로부터 쇄석 및 모래지반에서 압력그라우팅의 최적 주입압은3~4kg/$cm^2$ 임을 알 수 있었다.

지반 그라우팅에 의한 상부구조물의 안전성 분석 (Stability Analysis of Upper Structures by Soil Grouting)

  • 황철성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8-65
    • /
    • 2013
  • Transportation and further expansion of social infrastructure was needed along the development of urbanization and population concentration. To use the underground space due to the lack of availability of land, it is inevitable to intersect between present structure and tunnel during construction. Soil grouting is one of the ground improvement methods to reinforce weak soil around the underground structures by injection of grouting liquid. Some of central columns of an upper structure are damaged during injection of grouting liquid by injection pressure. To investigate and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tunnel, three dimensional analysis are performed with full construction stages which includes the construction of present underpass, damaging columns of the underpass, reinforcing the columns by H-pile and shear walls, and excavation and construct tunnel. The arrangement of grouting holes such as curtain and horizontal type affects largely to the stability of upper structure and horizontal arrangement diminish the shear forces which is the cause of damage of central columns. The liquid injection type of reinforcement for tunnel is not recommended while the presence of upper structure with columns. Wall type reinforcing is utilize for permant support of upper structures which is affected by grouting injection pressure. H-pile is utilize for temporary support, but not for permanent since the sharing of shear forces is not much to shear wall during tunnel construction.

압력재주입 그라우팅 방식을 이용한 보강재의 인발특성 (Pullout Characteristics of Reinforcing Body Using Pressure Re-injection Grouting Method)

  • 이봉직;김상수;윤준식;이종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10호
    • /
    • pp.25-31
    • /
    • 2010
  • 사면보강 및 기초공법으로 앵커공법, 소일네일공법 및 소구경 말뚝공법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공법은 공통적으로 보강재를 설치한 후 그라우팅을 실시한다. 국내의 경우 중력식과 가압식 그라우팅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반면, 재주입 그라우팅 방식은 시공장비와 적용 실적의 부족 및 보강효과 검증이 어려워 널리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재주입 그라우팅은 포스트 그라우팅 방식의 일종으로 그라우트체 주면의 응력을 증대시키고 정착장에 불규칙한 표면을 조성함으로써 그라우트와 지반의 저항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그라우팅 주입 방식에 따른 보강효과를 비교하고, 재주입 그라우팅 방식으로 시공된 보강재의 인발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현장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재주입 그라우팅에 따른 인발력 증대를 확인할 수 있었다.

C.G.S에 의한 기초지반보강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ound Improvement by Compaction Grouting System)

  • 천병식;여유현;최현석;오일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9년도 연약지반처리위원회 학술세미나
    • /
    • pp.1-13
    • /
    • 1999
  • The use of Compaction Grouting evolved in the 1950's to correct structural settlement of buildings. Over the almost 50 years, the technology has developed and is currently used in wide range of applications. Compaction Grouting, the injection of a very stiff, 'zero-slump' mortar grout under relatively high pressure, displaces and compacts soils. It can effectively repair natural or man-made soil strength deficiencies in variety of soil formations. Major uses of Compaction Grouting include densifying loose soils or fill voids caused by sinkholes, poorly compacted fills, broken utilities, improper dewatering, or soft ground tunneling excavation. Other application include preventing liquefaction, re-leveling settled structures, and using compaction grout bulbs as structural elements of minipiles or underpinning. The technique replaced slurry injection, or 'pressure grouting', as the preferred method of densification grouting. There are several reasons for the increased use of Compaction Grouting which can be summarized in one word: CONTROL. The low slump grout and injection processes are usually designed to keep the grout in a homogeneous mass at the point of injection, while acceptable in some limited applications, tends to quickly get out of control. Hydraulic soil fracturing can cause extensive grout travel, often well beyond the desired treatment zone. So, on the basis of the two case history constructed in recent year, a study has been peformed to analyze the basic mechanism of the Compaction Grouting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nd improvement using some test methods.

  • PDF

Evaluation of the grouting in the sandy ground using bio injection material

  • Kim, Daehyeon;Park, Kyungho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2권5호
    • /
    • pp.739-752
    • /
    • 2017
  • This study was intended to evaluate the improved strength of the ground by applying the bio grouting method to a loose sandy ground. The injection material was prepared in the form of cement-like powder, with the bio injection material produced by microbial reactions. The grouting test was conducted under the conditions similar to the field where the bio injection material can be applied. In addition, the injection materials (cement and sodium silicate No. 3) used for Labile Waterglass (LW) method and the conventional grouting methodwere prepared through a two-solution one-step process. The injection into the specimens was done at a pressure of 150 kPa and then, with a bender element, their moduliof elasticity were measured on the 7th, 14th, 21st and 28th curingdays to analyze their strength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curing. It was confirmed that in all injection materials the moduli of elasticity increased over time. In particular, when 30% of the bio injection material was added to 100% cement, the modulus of elasticity tended to increase by about 15%. This confirmed that the applicability became higher when the bio injection material was used in place of the conventional sodium silicate.

자동화 그라우팅 기법의 현장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eld Application of Automatic Grouting System)

  • 도종남;박정환;최동찬;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63-74
    • /
    • 2012
  • 국내에서 그라우팅은 대부분 전문성 있는 지식이나 이론적인 연구에 의한 방법이 아닌 경험적인 방법에 의해 설계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라우팅이 적용되는 건설현장에서 자동화 그라우팅 기법의 품질관리기술과 방법에 대한 것을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제한적인 물주입시험에 의한 최적주입압 결정과 관련된 방법은 그라우팅 전.후에 대한 평가만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라우팅재료가 지반내에서 확산하는 동안 주입압력(p)~주입속도(q)~침투시간(t) 차트 분석을 통해 주입압, 주입속도, 침투시간의 특성을 평가할 경우 그라우트 압력에 의한 지반의 파쇄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주입압력(p), 주입속도(q)와 침투시간(t) 곡선을 분석하여 적합한 값을 도출하면 효과적인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차트분석기법은 기존의 종이롤에 기록되어 지는 주입압력(p)과 주입속도(q)를 정리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통합유량계는 정확한 수량을 기록할 수 있으나 기록된 주입압력은 초기, 중급 및 최종 지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 통합유량계 및 그라우팅 대상 지반의 특성의 상관관계가 규명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자동화 그라우팅 기법은 주입압력과 그라우팅 대상 지반의 특성간의 신뢰성 있는 상관관계를 설명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한 그라우팅 품질관리 기술을 발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미세균열 그라우팅 주입성능 및 재료의 점도 측정방법 평가 (Evaluation of the Groutability through Microcrack and Viscosity Measurement Methods for Grouting Materials)

  • 진현우;유병현;이장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9호
    • /
    • pp.23-34
    • /
    • 2017
  • 도심지 지하공간 개발을 위해서는 안정성 확보를 위해 암반 또는 암주의 미세균열까지도 보강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그라우팅 재료의 점도 및 입경, 주입압력, 균열 폭 등을 고려한 미세균열 그라우팅의 주입성능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미세균열 보강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그라우팅 재료는 용액형인 약액형 그라우팅 재료와 현탁액형인 시멘트계 그라우팅 재료가 있다. 약액형 그라우팅 재료와 시멘트계 그라우팅 재료의 주입성능은 공통적으로 점도에 영향을 받으며, 시멘트계 그라우팅 재료의 주입성능은 추가적으로 주입 재료의 입경에 영향을 받는다. 실내실험을 통해 점도를 역계산하여 재료별로 적합한 점도 측정 방법을 제시하였고, 균열 폭과 재료의 입경 간의 관계를 이용한 groutability ratio로 시멘트계 그라우팅 재료의 그라우팅 가능여부를 평가하였다.

지반주입재 종류별 주입특성 및 환경적 유해성에 관한 연구 (The Injection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Effects for Grouting Materials)

  • 천병식;이재영;하광현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3권4호
    • /
    • pp.37-4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고내구성 및 환경에 대한 안정성이 높은 주입재료를 주입재 형태별로 즉 현탁액형, 용액형 주입재에 배합설계를 실시하여 주입압, 지반조건에 따른 주입효과와 환경적 유해성을 분석 검토하고자 한다. 주입재 특성 및 주입효과에 대한 연구결과, 현탁액형 주입재에서는 초미립자시멘트가 보통시멘트에 비하여 상당히 높은 침투성 및 고결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고 용액형 주입재에 사용된 인산과 탄산수소나트륨의 경우 초미립자시멘트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주입된 고결체의 압축강도 시험결과, 현탁액형 주입재의 초미립자시멘트가 상당한 고강도를 나타났으나 용액형 주입재의 경우 현탁액형 주입재에 비하여 매우 낮은 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주입재가 가지고 있는 환경적 유해성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대상시료를 주입재의 원재료 및 주입재의 고결시편의 양생일수에 따라 중금속 용출시험을 실시한 결과, 선정한 약액조합 및 고결체의 중금속 함량은 규제기준을 만족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