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peramide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7초

제주산 참다래가 Loperamide로 유도된 변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Actindia chinensis on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in Rat)

  • 김동건;진영건;진주연;김상철;김성철;한창훈;이영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1-68
    • /
    • 2011
  • 참다래 동결건조물을 2.5%, 5% 농도로 사료와 혼합하여 실험동물에 투여하고 실험 5일간 loperamide(2 mg/kg/day, s.c.)로 변비를 유도하여 참다래의 변비치료 및 예방 효과를 측정하였다. Lopermide를 단독 투여한 군은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변의 개수 및 중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원위 결장 내 변 잔류의 증가 및 cecocolonic segment의 무게가 증가하였다. 참다래 동결건조물 및 loperamide를 투여한 군은 loperamide를 단독 투여한 군과 비교하여 변의 개수 및 중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원위 결장 내 잔류 변 및 cecocolonic segment의 무게도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참다래가 in vivo에서 변비 개선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변의 수분 함량에서도 loperamide로 변비를 유발시킨 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참다래 동결건조물 투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조직학적 검사에서도 참다래 동결건조물 투여군의 원위 대장관에서 crypt cell내 점액의 증가와 장관내 분변의 점액질의 증가도 관찰되었다. In vitro 실험결과, 회장 적출 절편에서 참다래 동결건조물(2.5 mg/ml)을 전 처리 시 loperamide에 의한 장력과 진폭 억제가 부분적으로 차단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참다래 동결건조물의 변비 개선효과가 장의 운동성 촉진과 대장관 내 점액분비 증가에 의한 대장관 내용물의 이동성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식이뽕잎이 흰쥐의 Loperamide로 유도된 변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Mulberry Leaf on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in Rats)

  • 이재준;이유미;정승기;김근영;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80-287
    • /
    • 2008
  • 뽕잎분말을 식이에 각각 0%(무첨가), 5%(저농도) 및 10%(고농도)로 33일간 흰쥐에게 급여하고, 실험 29-33일 사이에 5일간 1일 2회 loperamide(1.5 mg/kg/day, s.c.)를 피하투여하여 변비를 유도한 뒤 뽕잎분말의 변비 개선효과를 측정하였다. 체중증가량은 loperamide 투여 전에는 뽕잎분말을 급여한 MPL5군과 MPL10군이 뽕잎분말을 첨가하지 않고 정상식이를 급여한 NOR군과 MPL0군에 비하여 감소하였으며, 뽕잎분말 고용량을 급여한 MPL10군에서만 유의차를 보였다. 변비 유발 기간중에는 처리군 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식이섭취량은 변비유발 기간 중 loperamide만을 단독 투여한 MPL0군이 NOR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대장관내 변의 개수는 loperamide 단독 처리군(MPL0)에 비하여 뽕잎분말 병용 처리군(MPL5와 MPL10)이 용량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뽕잎분말 고용량을 처리한 MPL10군은 NOR군과 유사하였다. 장 통과시간과 통과속도는 loperamide 단독 처리군(MPL0)에 비하여 뽕잎분말을 병용 처리한 모든 군(MPL5와 MPL10)에서 감소되었다. 장의 길이는 뽕잎분말 처리군(MPL5와 MPL10)들이 정상대조군(NOR)이나 loperamide 단독 처리군(MPL0)에 비하여 유의하게 길었으며, 뽕잎분말의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장의 길이가 길었다. Loperamide 만을 단독으로 처리한 군(MPL0)은 변의 개수, 변의 중량 및 변의 수분 함량이 모두 유의적으로 저하되었다. Loperamide와 뽕잎분말을 병용 처리한 군(MPL5와 MPL10)들은 loperamide 단독 처리군 (MPL0)에 비하여 변의 개수, 변의 중량 및 변의 수분 함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정상대조군(NOR)과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또한 뽕잎분말을 급여한 군(MPL5와 MPL10)들은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 함량이 정상식이를 급여한 군(NOR와 MPL0)들에 비하여 낮은 경향이었으며,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높은 경향이었다. Loperamide 투여는 혈청 지질 농도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뽕잎분말은 실험동물에서 loperamide 처치에 의해서 감소되어진 변의 개수, 변의 중량 및 변의 수분 함량을 증가시키며, 장내 변의 개수, 장 통과속도와 통과시간을 감소시켜 변비증상을 개선하는 효과를 보였다.

표고버섯 추출액이 loperamide로 유도된 변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ntinus edodes Extract on the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in Rats)

  • 진영건;김동건;진주연;이영재;박민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88-93
    • /
    • 2007
  • 표고버섯 추출액을 10, 20 및 40%로 30일간 음용수에 섞어 실험동물에 투여하고 실험 28-30일에 loperamide(4 mg/kg/day, s.c.)로 변비를 유도한 뒤 표고버섯 추출액의 변비 예방효과를 측정하였다. Loperamide를 단독 투여한 군은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변의 개수 및 중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원위 결장 내 변잔류의 증가 및 cecocolonic segment의 무게가 증가하였다. 표고버섯 추출액 및 loperamide를 투여한 군은 loperamide를 단독 투여한 군과 비교하여 변의 개수 및 중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원위 결장 내 잔류 변 및 cecocolonic segment의 무게도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표고버섯 추출액이 in vivo에서 변비 개선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변의 수분함량은 실험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loperamide에 의한 변비 유발 시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표고버섯 추출액 투여군에서는 변의 수분함량 감소가 다소 완화되었다. 한편, 혈 중 WBC, RBC, HGB, HCT, PLT, MCV, MCH, MCHC치 및 혈청 ALT, AST, ALP, BUN 및 creatinine 수치는 정상 대조군, loperamide 처리군 및 표고버섯 추출액 처리군 사이에서 차이가 없었다. In vitro 실험결과, 회장 적출 절편에 표고버섯 추출액 동결건조물(0.5 mg/mL)을 전 처리 시 loperamide에 의한 장력과 진폭 억제가 부분적으로 차단되었으며, atropine에 의해 유도된 진폭의 억제도 효과적으로 차단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표고버섯 추출물의 변비 개선효과가 장의 운동성 촉진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Antidiarrheal Effect of LacteolTM-Loperamide Combination on Castor oil-induced Mice Model

  • Hwang, Se-Hee;Sung, Hee-Jin;Chung, Yong-Ho;Ryu, Jei-Man;Seong, Seung-Kyo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0권4호
    • /
    • pp.236-239
    • /
    • 2002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diarrheal efficacy of $Lacteol^{TM}$-loperamide combination against the mouse model of secretory diarrhea. Secretory dirrhea was induced in mice by p.o. administration of castor oil (0.3 ml). Antidirrheal effects of $Lacteol^{TM}$-loperamide combination were compared with each individual component. $Lacteol^{TM}$-loperamide combination was the most potent among these agents, eliminating diarrhea in 100% of mice at a dose 1360/4 mg/kg (Lacteol/loperamide, respectively). In this study, we also measured changes of bodyweight as another indicator of the dirrhea,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lower bodyweight loss represented reduced fecal passage. The bodyweight loss of $Lacteol^{TM}$-loperamide combination administered group was 4 times lower than that of vehicle control.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Lacteol^{TM}$-loperamide combination may be more potent than individual component in its antidiarrheal action, so we are going to challenge this combination for further study and clinical evaluation.

Antioxidant and laxative effects of taurine-xylose, a synthetic taurine-carbohydrate derivative, in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in Sprague-Dawley rats

  • Jo, Hee Geun;Kim, Min Ji;Moon, Bo Yeong;Cheong, Sun Hee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13
    • /
    • 2019
  • [Purpos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in vitro antioxidant activities and laxative effects of taurine-xylose (T-X), a synthetic taurine-carbohydrate derivative, in a rat model of constipation induced by loperamide. [Methods]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four treatment groups: normal untreated rats (NOR group), loperamide-treated control rats (CON group), loperamide and taurine-xylose (15 mg/kg)-treated rats (T-X group), and loperamide and commercial Dulcolax S (5.5 mg/kg)-treated rats (DS group). [Results] In the present study, T-X exhibited potent reducing power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or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and ABTS+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 6-sulfonic acid ammonium salt) radicals. The laxative effects of T-X were dependent on food, body weight, fecal properties, gastrointestinal transit (GIT) ratio, and serum metabolic parameters. In the T-X group, the number, wet weight, and water content of fecal pellets were noticeab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in the loperamide-induced group. T-X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ctivities of hepatic antioxidant enzymes, including those of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atalase (CAT), relative to those in loperamide-induced constipated rats. Furthermore, the GIT ratio and loperamide-induced metabolic parameters in serum, including gastrin (GAS), motilin (MTL), and somatostatin (SS) level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y T-X treatment.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aurine-xylose exerts antioxidant activities and laxative effects on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by promoting gastrointestinal motility.

Effect of Yam Yogurt on Colon Mucosal Tissue of Rats with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 Jeon, Jeong-Ryae;Kim, Joo-Young;Choi, Joon-Hyuk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605-609
    • /
    • 2007
  • The effects of lactic acid fermented yam yogurt (Yam/YG) on colon mucosal tissue were investigated in a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rat models. Sprague-Dawley rats were fed for 6 weeks with 3 types of diets (normal, supplemented with lactic acid bacteria, and supplemented with Yam/YG), and were then administered loperamide intraperitoneally twice daily for 5 days. Administration of loperamide decreased fecal excretion and the moisture content of feces with increasing of numbers of pellets in the colon. On the histopathologic findings from hematoxylin and eosin (H& E) and alcian blue stainings, supplementation with Yam/YG resulted in the recovery of depleted goblet cells and mucin, and increased the numbers of Ki-67 positive cells, indicating restoration of colonic mucosa through cell proliferation and crypt regeneration against damages observed in crypt epithelial cells of loperamide-induced ra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Yam/YG improves evacuation and mucus production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s of constipated-induced rats.

Effects of Bifidus Enhancer Yogurt on Relief from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 Choi, Jin-Hee;Jeong, Seung-Hwan;Cho, Young-Hoon;Cho, Yun-Kyung;Choi, Hae-Yeon;Kim, Sun-Im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4-30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bifidus enhancer yogurt (BEY) on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in rats. The bifidus enhancer, made of rice-DDGS (Dried Distillers Grains with Solubles), improved proliferation of bifidobacteria (BB-12). Male SD rats were induced with constipation using loperamide and were then use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BEY in relieving constipation. The rat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normal group (NOR), loperamide-treated group (LOP), bifidus enhancer yogurt and loperamide-treated group (L-BEY), and commercial yogurt and loperamide-treated group (L-CY). Treatment of loperamide reduced the wet weight and water content of fecal pellets, but increased the number of fecal pellets in the distal colon. Meanwhile, the fecal weight of the L-BEY group showed an increase of 43% and 23% versus the LOP and L-CY group, respectively. Also, the fecal water content in the L-BEY group was 14.5% and 6.8% higher than that in the LOP and L-CY group,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L-BEY group had the fewest fecal pellets in the distal colon. In the serum lipid parameters, the LOP group had a HDL/total cholesterol ratio that was 43% lower than the NOR group, but the L-BEY group had 27% lower than NOR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bifidus enhancer yogurt has superior effects when it comes to relieving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in rats.

송기 분말이 Loperamide로 유도된 흰쥐의 변비 완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ine Inner Bark (Song-gi) Powder on Relief from Constipation in Loperamide-induced Rats)

  • 이창현;장현욱;김영;이영은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48-557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soluble dietary fibers from pine (Pinus radiata D. Don) inner bark powder (PIBP) on loperamide constipation in rats.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administered PIBP in their diets at concentrations of 5% and 10% for 4 weeks. Rats were divided in to four groups, normal diet group (Cont), a normal diet and loperamide group (Lop), 5% PIBP experimental diet and loperamide group (Lop+PIBP 5%), and 10% PIBP experimental diet and loperamide group (Lop+PIBP 10%). Constipation was induced by oral administration of loperamide (2 mg/kg, twice per day) for the last three days of the experiment. Food intake, body weight, properties of feces, gastrointestinal transit time, and serum lipid profiles were measured. When compared with the normal diet and loperamide group (Lop), there were increases in fecal pellet number (p<0.05), wet weight (p<0.001), and water content (p<0.001). Positive results were derived from relevant indicators to improve constipation. In addition, the number of fecal pellets in the colon was not significant, and decreased as PIBP content increased. PIBP had a concentration-dependent effect on reduction of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and elevation of HDL-cholestero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IBP may effectively prevent constipation.

약선효소 분말식이가 Loperamide의 투여로 유발된 변비 쥐의 장 운동과 지질 함량 및 혈액학적 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cinal Enzyme Powder on Intestinal Mobility, Lipid Level, and Blood Parameters of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in Rats)

  • 박찬성;박경수;김미림;공현주;양경미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28-236
    • /
    • 2013
  • 변비는 일상생활에서 식욕저하와 복부 팽만을 일으키며 더 나아가서 피부 노화, 두통, 피부 질환, 그리고 대장암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정상식이에 비해 약선효소 분말식이가 loperamide로 유도된 변비 쥐의 장 운동과 간 기능, 지질상태, 그리고 혈액학적 성분에 개선에 대한 효능을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3일 동안 loperamide 투여로 유발된 변비 쥐의 일일 체중증가와 사료효율은 높았으며, 이때 효소식이의 공급으로 일일 체중 증가량이 조절되었다. 또한 변비 쥐의 변 개수, 변 중량 및 수분함량, 그리고 장 운동은 정상 쥐에 비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효소식이를 공급시켰을 때 장 운동이 증가되었다. 간 기능 지표인 GOT와 GPT 활성도는 정상식이 섭취군에서는 변비로 인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활성도를 보였다. 그러나 효소식이 섭취군에서는 변비유도로 GOT 활성도는 증가 된 반면에, GPT 활성도는 감소되었다. 변비 쥐의 혈액 내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효소식이에 의한 저하효과는 없었으나, HDL-콜레스테롤과 동맥경화 및 심혈관계 지수에 대해서는 효소식이가 보호효과를 보였다. 혈액학적 성분으로 단백질 농도는 변비와 식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변비로 인하여 저하된 헤모글로빈 농도와 헤마토크리트치는 효소식이 공급으로 증가시킬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는 loperamide로 유도한 변비 쥐에서 장 운동성 저하, 동맥경화와 심혈관계지수, 그리고 헤모글로빈농도와 헤마토크리트치 등에 대해서 약선효소 식이가 다소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향후 만성적 변비에 대한 약선효소 식이효과에 대한 보다 심층적이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변비에 대한 약선효소 분말과 같은 천연물질의 기능성식품으로 연결된 산업화로 경제적 이익 창출과 변비의 예방으로 심혈관계 질환과 암의 발병률을 줄이고 변비 대한 식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해계(解谿)(ST41) 유침 및 전침의 전.후처치가 loperamide로 억제된 흰쥐의 장운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upuncture and Electro-acupuncture at ST41 on Experimentally-induced Intestinal Hypo-motility in Rats: Comparison between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 김경민;이현;임윤경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0-32
    • /
    • 201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upuncture and electro-acupuncture (EA) of low and high frequencies at Haegye (ST41) in rats. Methods: The intestinal motility of rats was experimentally suppressed with loperamide. Acupuncture, low frequency EA and high frequency EA were carried out before the loperamide administration in the pre-treatment group, and after the loperamide administration in the post-treatment group. The rats were fed charcoal and the travel rate of charcoal in the gastrointestinal track was measured to analyze the effect of acupuncture, low frequency EA and high frequency EA on the intestinal hypo-motility. Results: 1. None of acupuncture, low frequency EA or high frequency EA at ST41 showed significant influences on intestinal motility of rats in normal status. 2. Pre-treatment with acupuncture at ST41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stinal hypo-motility induced by loperamide in rats. 3. Pre-treatment with low frequency EA and high frequency EA at ST41 significantly reduced the suppression of intestinal motility by loperamide in rats. 4. Post-treatment of acupuncture, low frequency EA and high frequency EA at ST41 had no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intestinal hypo-motility induced by loperamide in rats.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ow and high frequency EA at ST41 may be effective to prevent gastric disorders such as intestinal hypo-mot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