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idroside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2초

참돌꽃 (Rhodiola sachalinensis A. Bor) 캘러스에서 elicitor와 전구체에 의한 Salidroside 생산성의 변화 (Production of Salidroside in Rhodiloa sachalinensis A. Bor Callus by the Elicitation and Precursor)

  • 이재승;김민영;김재헌;남종현;이현용;황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68-272
    • /
    • 2008
  • 참돌꽃 캘러스로부터 elicitor와 전구체가 salidroside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Elicitor로서 효모추출물, 연자성 세라믹, methyl jasmonate, jasmonic acid, ascorbic acid, 및 중금속 ($CuCl_2$/$CdCl_2$)을 캘러스 배양에 처리하였다. 효모추출물 $0.2g/\ell$농도로 처리한 결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보다 3.45배 증가시켰다. 사용된 elicitor 중 효모추출물이 가장 높은 salidroside 생산을 보여 가장 적합한 elicitor로 사료된다. 전구체로서 L-phenylalanine과 L-tyrosine을 배지에 첨가하여 4일 간 배양 처리하였다. Salidroside 함량분석 결과 캘러스로부터 전구체들은 유용물질 생합성에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캘러스 배양에 첨가 처리된 L-tyrosine의 모든 농도의 경우에는 캘러스 생장뿐만 아니라 salidroside 생산을 감소시켰다.

산겨릅나무 간 보호 화합물 salidroside의 추출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of Salidroside, Hepatoprotective Compound from Acer Tegmentosum)

  • 유귀재;최인욱;최상윤
    • 생약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202-206
    • /
    • 2022
  • Salidroside is a major phenolic glycoside of Acer tegmentosum (Aceraceae) and known to be a hepatoprotective compound. Extraction condition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save time and cost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For this reas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ptimize the extraction condition for maximum yield of salidroside. For optimization, three extraction factors such as ethanol concentration (%), extraction temperature (℃), and solvent to material ratio (mg/mL) were tested and optimized for maximum yield of salidrosid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optimal condition was obtained as an ethanol concentration of 53.4%, an extraction temperature at 67.11℃ and a solvent to material ratio (mg/mL), 195.55 mg/ml. The salidroside yield under optimal conditions was found to be 1.59 mg/g dried samples, which were well-matched with the predicted value of 1.56 mg/g dried samples. These results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about optimized extraction condi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alidroside as hepatoprotective therapeutics.

참돌꽃 (Rhodiola sachalinensis A. Bor) 현탁세포배양에서 Salidroside 생산을 위한 외재 호르몬의 영향 및 처리 농도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Treatment Concentration and Screening of Exogenous Plant Growth Regulators for Improvement of Salidroside Yield in Rhodiola sachalinensis A. Bor Cell Suspension Cultures)

  • 최혜진;김수정;황백;안준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2호
    • /
    • pp.105-109
    • /
    • 2005
  • 참돌꽃 (Rhodiola sachalinensis A. Bor) 현탁배양에서 salidroside 생산성을 개선하고자 auxin인 NAA와 cytokinin인 BA와 kinetin, 그 외에 $GA_3$, TDZ, zeatin, spermine과spermidine을 조합하여 조사하였다. NAA/BA 조합은 NAA/kinetin조합과 비교했을 때 생장과 salidroside 함량이 증가하였다. Salidroside 함량의 증가에 의한 생산성 ($64.6{\pm}8.9$ mg/L medium)은 1 mg/L. NAA와 5 mg/L BA가 첨가된 $2B_5$ 배지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최대 salidroside 의 생산성은 1 mg/L NAA, 5 mg/L BA와 1 mg/L $GA_3$이 첨가된$2B_5$ 배지에서 $90.3{\pm}8.34$ mg/L로 나타났다. 그 밖의 TDZ. zeatin, spermine과 spermidine 처리에서는 생산성에 있어서 증가를 보이지 않았으며, spermidine의 경우에 약간의 유의적인 생산성 증가를 보였다.

참돌꽃의 캘러스로부터 salidroside 생산에 미치는 배지성분의 영향 (Effect of Macro-nutrients for the Salidroside Production from Callus Cultures of Rhodiola sachalinesis A. Bor)

  • 이재승;최혜진;황백;박형재;안준철;황성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46-250
    • /
    • 2007
  • 대량 원소의 종류 및 적정 농도의 규명은 식물의 생장뿐 아니라 유용한 2차 대사산물의 생합성량 증가를 위해 필수적이다. 참돌꽃 배양조직에서 salidroside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기본 배지의 대량 원소의 농도를 달리하였을 때 $KNO_3$는 98.92 mM, $(NH_4)_2SO_4$는 1.01 mM, $NaH_2PO_4{\cdot}2H_2O$는 2.18 mM, $CaCl_2{\cdot}2H_2O$는 2.04 mM, 그리고 $MgSO_4{\cdot}7H_2O$는 1.01 mM 일 때, salidroside의 생산량이 가장 높았다. 또한 이와 같은 무기이온의 농도를 조합한 $S4B_5$배지에서 기본배지인 $2XB_5$배지에 비해 2.5배 salidroside 함량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참돌꽃에서 Salidroside의 동정 및 현탁세포배양을 통한 분리 (Identification of Salidroside from Rhodiola sachalinensis A. Bor. and its Production through Cell Suspension Culture)

  • 김수정;김광수;황성진;천상욱;김영호;안준철;황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3-208
    • /
    • 2004
  • 참돌꽃의 캘러스는 0.5 mg/l NAA와 1 mg/l BA가 조합 첨가된 1/2MS 배지에서 유도하였으며, 현탁세포배양은 0.5 mg/l NAA와 1 mg/l BA가 조합 첨가된 2B5 배지에서 확립되었다. 한편, 참돌꽃 뿌리로부터 반복된 silicagel colum chromatography와 분취 HPLC를 통하여 순수한 salidroside 결정을 얻었으며, 얻어진 결정체는 $^1H-NMR,\;^{13}C-NMR$$^1H-^1H$ COSY 등의 분광학적 분석으로 구조를 동정 확인하였다. 확립된 세포배양계에서 salidroside 함량은 원뿌리 0.17%에 비교하여 광배양(0.12%) 암배양 (0.286%) 및 sucrose 5%에서 함량이 0.41% 까지의 함량변화를 나타내었다.

바위돌꽃(Rhodiola rosea L.)의 촉성재배시 질소 시비에 따른 수량과 Salidroside 함량 (Comparison of Yield and Content of Salidroside with Application Rates of Nitrogenic Fertilizer under Forcing Culture of Rhodiola rosea L.)

  • 이강수;최선영;이용근;황선아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4-13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질소비료의 종류 및 처리량 차이가 바위돌꽃의 뿌리 수량 및 유효성분인 salidroside의 함량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고품질의 바위돌꽃을 생산할 수 있는 최적의 시비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요소비료와 유안비료 모두 48kg N/10 a까지는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바위돌꽃 뿌리의 건물 생산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그 이상의 처리량부터는 오히려 건물 생산량이 감소하였다. 요소비료와 유안비료 모두 화학비료 성분 처리량 48-8-20-10-10 kg/10a에서 가장 높은 salidroside 함량을 나타내었다. 곡선회귀 방정식에 기준한 요소와 유안비료의 적정 시비량은 45-8-20-10-10 kg/10 a로 나타났으나, 요소비료와 유안비료의 처리후 토양중 질소 축척과 토양 산성화, 식물체로의 질소 흡수이행량, 바위돌꽃 뿌리의 건물생산량 그리고 바위돌꽃 뿌리에 함유되어 있는 약리성분인 salidroside의 함량 등 제반사항을 고려하였을 때, 요소비료는 질소성분량으로 40 kg/10 a, 유안비료는 질소성분량으로 35 kg/10 a가 합리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Salidroside and Tyrosol from the Underground Part of Rhodiola rosea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Linh, Pham-Tuan;Kim, Young-Ho;Hong, Seon-Pyo;Jian, Jiang-Ji;Kang, Jong-Seo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349-352
    • /
    • 2000
  • A reversed-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method was developed to determine salidroside and tyrosol simultaneously in the Rhodiola rosea. The optimum condition was Nova-pak $C_18$as stationary phase, 6.5% methanol in water as mobile phase and detection at UV 225 nm. The identification was carried out by comparing the retention time and LC/MS spectrum of the relevant peaks with those of isolated standards. The contents of salidroside and tyrosol in the samples gathered from various area in China were ranged over 1.3-11.1 ${m}g/g$ and 0.3-2.2 ${m}g/g$, respectively.

  • PDF

홍경천(Rhodiola sachalinensis A. Bor)의 캘러스 배양에서 Salidroside생산 (Production of Salidroside from Callus Culture of Rhodiola sachalinensis A. Bor)

  • 김수정;황백;황성진;안준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89-94
    • /
    • 2004
  • 본 실험은 기내 배양된 홍경천으로부터 캘러스를 유도하고 가장 잘 자라는 생장조건을 찾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캘러스의 증식을 위한 배양조건은 최적배지를 조사한 결과,2B$_{5}$배지에서 생장율이 가장 좋았으며, 탄소원으로는 sucrose를 3%로 첨가했을 때 생장율이 가장 높았다. 질소원으로써는 49.6mM KNO$_3$와 2.0mM (NH$_4$)$_2$SO$_4$를 첨가했을 때 생장율이 가장 좋았으며, 인산의 농도는 2.16mM에서 높은 생장율을 보였다. 암배양과 광배양을 비교했을 때 암배양의 경우가 생장율이 높았으며,pH6에서 세포의 생장율이 가장 좋은 조건임을 확인되었다. 기내에서 배양된 캘러스와 자연산 뿌리는 TLC로 분석하여 salidroside를 확인하였으며, HPLC로 salidroside를 정량한 결과, 자연상태 홍경천의 뿌리는 건중량 당 0.17%으로 나타났으며 5% sucrose처리구에서 0.41%의 생산성을 보여, 자연산 홍경천의 뿌리에 비하여 캘러스에서 salidroside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겨릅나무에서 분리한 salidroside의 간보호 효과 (Hepatoprotective Activity of Salidroside Isolated from Acer Termentosum Max on D-galactosamine 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 김성훈;박희준;최종원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525-1531
    • /
    • 2008
  • Acer tegmentosum Max which is one of the specialized wildness medicinal herbs in gangwon province, has been widely used for hepatitis, liver cirrhosis, hepatic cancer, leukemia, diabetes mellitus, renal necrosis and edema, etc.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in vitro and in vivo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evaluate the possibility as hepatoprotective agents. Oral administration of methanol and butanol extact of Acer tegmentosum Max to d-galactosamine (D-GaIN) induced experimental liver injured rats was significantly reduced activities of marker enzymes(AST, ALT) and LDH activity in serum. Salidroside(Sal) isolated from the BuOH extract of Acer termentosum Max potenty showed the scavenzing effect on DPPH and inhibitory effect on lipid peroxidation. And significantly decrcease of MDA level in liver and activities of SOD GSH-Px and catalas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y the treatment of Sal.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Sal could afford a significant protection in the alleviation of D-GaIN-induced hepatocellular inj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