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mantic parsing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2초

Semantic parsing 기반 지식 베이스 질의응답 시스템의 어휘-의미 패턴 질의 템플릿을 통한 보완 (Assisting semantic parsing-based QA system with lexico-semantic pattern query template)

  • 심효섭;박선영;이근배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4년도 제26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255-258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semantic parsing과 사전 정의된 어휘-의미 패턴 질의 템플릿 방법론을 결합하여 자연어 질의로부터 RDF 지식베이스에 질의하기 위한 SPARQL 쿼리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semantic parsing 접근법은 문장의 표현과 분리된 형식적 의미표현만을 포착해내므로, paraphrase 혹은 의미 변화와 무관한 어순의 변화에 강인하지만, 일부 자연어 질의문장에는 단순한 의미 및 구조를 갖는 문장도 적합한 형식적 의미표현을 생성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순한 문장에 있어서는 사전 정의된 질의 템플릿을 사용하여 적합한 쿼리를 생성하되, 적합한 템플릿을 선택하는데 있어 해당 질의문장의 어휘-의미적 유형을 포착하고 해당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주 방법론의 약점을 보완하는 제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부분 구문 분석 결과에 기반한 두 단계 부분 의미 분석 시스템 (Two-Phase Shallow Semantic Parsing based on Partial Syntactic Parsing)

  • 박경미;문영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7B권1호
    • /
    • pp.85-92
    • /
    • 2010
  • 부분 의미 분석 시스템은 문장의 구성 요소들이 술어와 갖는 관계를 분석하는 것으로 문장에서 술어의 주체, 객체, 도구 등을 나타내는 의미 논항을 확인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부분 의미 분석 시스템은 두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데, 먼저 부분 구문 분석 결과로부터 의미 논항의 경계를 찾는 의미 논항 확인 단계를 수행하고 다음으로 확인된 의미 논항에 적절한 의미역을 부착하는 의미역 할당 단계를 수행한다. 순차적인 두 단계 방법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서, 학습 성능 저하의 주요한 원인인 클래스 분포의 불균형 문제를 완화할 수 있고, 각 단계에 적합한 자질을 선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PropBank 말뭉치에 기반한 CoNLL-2004 shared task의 데이터 집합 및 평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단계가 시스템의 전체 성능에 기여하는 정도를 보인다.

Deep Facade Parsing with Occlusions

  • Ma, Wenguang;Ma, Wei;Xu, Shibia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2호
    • /
    • pp.524-543
    • /
    • 2022
  • Correct facade image parsing is essential to the semantic understanding of outdoor scenes. Unfortunately, there are often various occlusions in front of buildings, which fails many existing method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nd-to-end deep network for facade parsing with occlusions. The network learns to decompose an input image into visible and invisible parts by occlusion reasoning. Then, a context aggregation module is proposed to collect nonlocal cues for semantic segmentation of the visible part. In addition, considering the regularity of man-made buildings, a repetitive pattern completion branch is designed to infer the contents in the invisible regions by referring to the visible part. Finally, the parsing map of the input facade image is generated by fusing the results of the visible and invisible results. Experiments on both synthetic and real datase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method outperforms state-of-the-art methods in parsing facades with occlusions. Moreover, we applied our method in applications of image inpainting and 3D semantic modeling.

절 경계와 트리 거리를 사용한 2단계 부분 의미 분석 시스템 (A Two-Phase Shallow Semantic Parsing System Using Clause Boundary Information and Tree Distance)

  • 박경미;황규백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5호
    • /
    • pp.531-540
    • /
    • 2010
  • 본 논문은 최대 엔트로피 모형에 기반한 두 단계 부분 의미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의미 논항의 경계를 인식하고, 그 다음 단계에서 확인된 논항에 적절한 의미역을 할당한다. 두 단계 부분 의미 분석에서는 두 번째 단계인 논항 분류가 논항 확인 단계의 결과에 기반하여 수행되기 때문에 논항 확인의 성능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논항 확인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논항 확인의 전처리 단계에 구문 지식을 통합한다. 구체적으로, 절 인식 결과로부터 술어의 인접절 및 상위절들을 확인하고, 구문 분석 결과로부터 술어의 부모 노드로부터 구문 구성 요소의 부모 노드까지의 트리 거리를 추출하여 전처리 단계에서 활용한다. 실험을 통해, 구문 지식을 활용하는 것이 부분 의미 분석 성능에 기여함과 제안하는 두 단계 방법이 한 단계 방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낼 수 있음을 보인다.

확률적 문법규칙에 기반한 국어사전의 뜻풀이말 구문분석기 (A Parser of Definitions in Korean Dictionary based on Probabilistic Grammar Rules)

  • 이수광;옥철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8권5호
    • /
    • pp.448-448
    • /
    • 2001
  • The definitions in Korean dictionary not only describe meanings of title, but also include various semantic information such as hypernymy/hyponymy, meronymy/holonymy, polysemy, homonymy, synonymy, antonymy, and semantic features. This paper purposes to implement a parser as the basic tool to acquire automatically the semantic information from the definitions in Korean dictionary. For this purpose, first we constructed the part-of-speech tagged corpus and the tree tagged corpus from the definitions in Korean dictionary. And then we automatically extracted from the corpora the frequency of words which are ambiguous in part-of-speech tag and the grammar rules and their probability based on the statistical method. The parser is a kind of the probabilistic chart parser that uses the extracted data. The frequency of words which are ambiguous in part-of-speech tag and the grammar rules and their probability resolve the noun phrase's structural ambiguity during parsing. The parser uses a grammar factoring, Best-First search, and Viterbi search In order to reduce the number of nodes during parsing and to increase the performance. We experiment with grammar rule's probability, left-to-right parsing, and left-first search. By the experiments, when the parser uses grammar rule's probability and left-first search simultaneously, the result of parsing is most accurate and the recall is 51.74% and the precision is 87.47% on raw corpus.

한국어에서 의존 구문분석을 위한 구묶음의 활용 (Exploiting Chunking for Dependency Parsing in Korean)

  • 남궁영;김재훈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1권7호
    • /
    • pp.291-298
    • /
    • 2022
  • 본 논문은 한국어에 대해서 구묶음을 수행한 후에 의존구조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의존구조 분석은 단어의 지배어를 결정하는 과정이다. 지배어를 정할 때, 문법적인 지배어를 정할 것인지 의미적인 지배어를 정할 것인지가 고질적인 문제이다. 일반적으로는 문법적인 지배어를 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문장 "밥을 먹고 싶다"에서 어절 "먹고"의 지배어로 "싶다"를 정한다. 그러나 "싶다"는 보조용언으로 의미적으로 지배어가 될 수 없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구문을 분석하면 의미분석을 위해서 또 다른 변환이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문제를 다소 완화하기 위해서 구묶음을 수행한 후에 구문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구묶음은 문장을 구성성분 단위로 분할하는 과정이며 구성성분은 내용어 말덩이와 기능어 말덩이로 구성된다. 구묶음을 수행하면 구문 분석의 입력이 되는 문장 성분의 수가 줄어들므로 구문 분석 속도가 개선될 수 있으며, 문장에서 중심어를 중심으로 하나의 말덩이로 묶이므로 말덩이에 대해서만 그 의존 관계를 파악할 수 있어 구문 분석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은 세종의존말뭉치를 사용해서 성능을 분석했으며 UAS와 LAS가 각각 86.48%와 84.56%였으며 입력의 노드 수도 약 22% 정도 줄일 수 있었다.

온톨로지 파싱 속도향상을 위한 온톨로지 파서 설계 (Ontology Parser Design for Speed Improvement of Ontology Parsing)

  • 김원필;공현장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7권4호
    • /
    • pp.96-101
    • /
    • 2010
  • 시맨틱 웹에서 핵심 연구는 온톨로지 파싱의 효율성이다. 온톨로지의 효율적 파싱과 추론은 시맨틱 웹의 궁극적인 목적인 의미적인 정보검색의 기반이 된다. 그러나 기존의 온톨로지 저작도구들은 온톨로지 파싱속도에 있어 효율적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톨로지가 기술하는 모든 사실을 빠르게 추출하기 위해 2단계에 걸친 온톨로지 파서를 설계 하였다. 정확하고 빠른 파서의 설계를 위해 토큰 추출기에서 온톨로지의 구문의 토큰을 1단계로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트리플 추출기에서 Statement를 추출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 설계한 파서의 속도는 기존의 도구들의 파서보다 빠른 처리가 이루어 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연어 활용(1) : 간편한 컴퓨터 조작을 위한 한글 문장 이해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1) : Understanding of the Hangul Sentences for Simple Computer Manipulation)

  • 장덕성;이동애
    • 인지과학
    • /
    • 제3권1호
    • /
    • pp.41-60
    • /
    • 1991
  • 대부분의 PC 사용자들은 늘 사용하는 몇 가지 명령만으로 컴퓨터를 조작하고 있다. 그러나 DOS명령 대신 한글 문장으로 컴퓨터를 조작한다면, 최적의 명령어를 생성해낼수 있을뿐 아니라 사용자에게 융통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자연어로 입력되는 한글 문장을 형태소 분석, 구문분석, 의미분석, 개념분석을 통해 일련의 DOS명령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형태소 분석에서는 Tabular Parsing 이 이용되고, 구문 분석과 의미분석에서는 격문법이 이용된다. 문자의 의미는 개념망으로 표현되고 이로부터 DOS 명령어가 생성된다.

구문 제약으로 문형을 사용하는 CFG기반의 한국어 파싱 (CFG based Korean Parsing Using Sentence Patterns as Syntactic Constraint)

  • 박인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958-963
    • /
    • 2008
  • 한국어는 용언이 의미적 제약을 통해 문장을 지배하며 대부분의 한국어 문장은 주절과 내포문을 가지는 복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한국어에 맞는 구문 문법이나 구문 제약을 기술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한국어를 파싱 하면 다양한 구문 모호성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구문 제약으로 문형(sentence patterns)을 사용하는 CFG기반의 문법을 기술하여 구문 모호성을 해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내포문을 포함하는 복문도 문형으로 분류하였으며 44개의 문형을 사용한다. 그러나 한국어 특성상 문형 정보만으로는 모든 구문 모호성을 해결할 수가 없기 때문에 문형에 의미 제약(semantic constraint)을 가한 의미 지표(semantic marker)를 사용하여 파싱을 수행한다. 의미 지표는 보조사의 처리나 공동격 조사에 의해 발생되는 구문 모호성을 해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Transition and Parsing State and Incrementality in Dynamic Syntax

  • Kobayashi, Masahiro;Yoshimoto, Kei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대회
    • /
    • pp.249-258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an implementation of a gramar of Dynamic Syntax for Japanese. Dynamic Syntax is a grammar formalism which enables a parser to process a sentence in an incremental fashion, establishing the semantic representation. Currently the application of lexical rules and transition rules in Dynamic Syntax is carried out arbitrarily and this leads to inefficient parsing. This paper provides an algorithm of rule application and partitioned parsing state for efficient parsing with special reference to processing Japanese, which is one of head-final languages. At the present stage the parser is still small but can parse scrambled sentences, relative clause constructions, and embedded clauses. The parser is written in Prolog and this paper shows that the parser can process null arguments in a complex sentence in Japane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