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cognition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5초

3, 4, 5세 유아의 공간기하 인지 발달 (Development of Spatial Geometry Cognition in 3-, 4-, and 5-Year-Old)

  • 김보경;이순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2호
    • /
    • pp.125-140
    • /
    • 2017
  • This study composed spatial cognition tasks within the system of geometric area to study children's spatial cognition development systematically. It surveyed children's execution of direction, rotation, symmetry, conjugation, and part/whole cognition tasks. A spatial geometry cognition task set (consisting of total 27 sub-tasks) was presented to 60 children (20 each in groups of 3-, 4-, and 5-year-old) in order to confirm how children's execution of spatial geometry cognition changed depending on children's age and sex as well as if the execution of the spatial geometry cognition showed a difference after each task area. As a result, the execution of the whole direction task and the part/whole task gradually increased between age 3 and age 5. The execution of the whole rotation task, whole symmetry task, and whole conjugation task rapidly increased between age 3 and age 4. Significant sexual difference did not appear in the execution of spatial geometry cognition tasks. The execution of the conjugation and part/whole task was high in each task area, and the execution of the direction, rotation, and symmetry task was relatively low. In addition, the difference of task execution appeared in the sub-tasks of direction, symmetry, and conjugation areas. This result suggests the theoretical discussion possibility of children's spatial geometry cognition development. In addition,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child education plans and activity compositions appropriate for child development.

자연환경 기반형 관광.휴양목적지 시설물에 대한 방문객 공간인지도 분석 - 남이섬 관광지 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Spatial Cognition of Visitors to Natural Environment-based Tourism.Resort Facilities - A Case Study of NAMI Island -)

  • 최영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96-404
    • /
    • 2013
  • 본 연구는 관광지 시설물에 대한 방문객의 공간인지도 분석을 통해 방문객의 공간인지도 향상을 위한 시설물 계획 및 관리적 측면의 개선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해 방문객의 시설물에 대한 공간인지도와 시설물 특성 및 방문객 특성 등의 공간인지도 영향요소에 대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남이섬 관광지 방문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시설물 유형, 입지 등의 시설물 특성과 성별, 연령, 안내지도 사용 등의 방문객 특성이 방문객의 공간인지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이섬의 경우에는 식 음료시설에 대한 매력성, 상징성 강화 등의 재정비가 요구되며, 종반부 시설물에 대한 정보제공 시설의 추가설치 및 재배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광지 시설물의 효율적인 계획과 관리를 위해 시설물 및 방문객 특성 등의 공간인지도 영향요소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반영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특히, 방문객의 공간인지도는 관광지의 공간적 성격과도 연관성이 있으며, 여성의 공간인지도 향상을 위해 시설물의 독특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관광지 시설물의 계획과 관리에 있어 관광지 정보제공 기능이 관광지의 공간구조의 복잡성과 관계없이 방문객의 공간인지도 향상을 위해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건축의 문맥론적 공간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extual Cognition of Space in Architecture)

  • 이용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36호
    • /
    • pp.30-3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xtual cognition of space in architecture focusing on Aldo Rossi and Michael Graves, the representative architects of spatial cognition in contextual architecture. This study on the contextual cognition of architectural space can be connected with linguistics and aesthetics's approache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s per the above mentioned aims and intentions are as follows : The concept of spatial analysis in Aldo Rossi's contextual cognition in architecture is described the Analogical Space of Speculative Aesthetics by Diachronie Restoration That of Michael Graves' contextual cognition Is defined Semiotics Space of Empirical Aesthetics by Synchronie Repeatition.

How Language Locates Events

  • 남승호
    • 인지과학
    • /
    • 제10권1호
    • /
    • pp.45-55
    • /
    • 1999
  • 본 논문은 사건/사타에 대한 공간적 인지가 수행되는 기본적인 방식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그 사건/사태에 참여하는 참가자의 위치가 가장 주요한 요인임을 주장하고, 자연언어는 공간적 인지를 표현하기 위해 비교적 "단순한" 의미유형을 사용하고 있으며, 공간표현을 해석할 때 사건/사태 전체의 위치를 지정하는 것으로 해석하지 않고, 그 참가자로 표현된 논항(arguments)의 위치를 지정하는 것으로 해석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은 장소표현이 타동사의 두 논항의 위치를 지정하는 방식을 네 가지 유형의 노항지향성(argument orientations)으로 분류하여 기술하였고, 논항지향성을 통하여 영어를 포함한 자연언어의 장소표현이 관계(relations)의 집합에서 관계의 집합으로 사상하는 교차함수(intersecting functioins)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의미해석상의 제약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 PDF

The Effects of Presented Media Types on Spatial Cognition Task Performance in Preschool Children

  • Kim, Bokyung;Pack, Yun Hyun;Yi, Soon Hyung
    • Child Studies in Asia-Pacific Contexts
    • /
    • 제7권1호
    • /
    • pp.27-38
    • /
    • 2017
  • As the use of digital media is becoming more universal and is being used in early-childhood education,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digital media on development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child performance on a spatial cognition task depends on the type of media used to present the task and if the effect of media type is different depending on child's age and sex. To do this, a spatial cognition task set (consisting of direction, rotation, symmetry, conjugation, and part/whole tasks) was prepared, and these tasks were presented to 60 3-, 4-, and 5-year-old children using paper- and tablet-based measures. Our results showed that the correct answer rate of task performance differed significantly when completing the task on a tablet than when completing the task on paper. Generally, response times when completing the tasks on a tablet was significantly shorter than when completing the tasks on paper. Although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the type of media and age, and partial interaction was found between the type of media and sex. This result implies an influence of digital stimulation on child performance on the spatial cognitive task. This study provides a basic understanding for follow-up studies to examine the consequences of exposure to digital stimulation.

젊은 성인의 성별에 따른 일화기억과 공간인지의 차이 (Sex Differences in Episodic Memory and Spatial Cognition in Healthy Younger Adults)

  • 김선겸;박진영;박진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1호
    • /
    • pp.105-114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시각자극을 사용하여 성별에 따른 일화기억과 공간인지의 차이를 확인하고 비교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에서는 시각적인 자극을 사용한 일화기억 평가와 3차원의 가상현실 기반의 공간인지검사를 사용하여 대학생 48명(남성 24명, 여성 24명)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일화기억과 공간인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모든 참가자는 사진을 사용한 시각적 일화기억 평가를 시행하였고 이를 통해 일화기억의 하위 요소인 사물, 장소, 시간 기억에 대한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가상현실에서 길 찾기 과제를 10회 진행하여 가상공간에서의 거리 오차(cm) 값의 평균값을 분석하였다. 결과 : 일화기억은 하위 요소 모두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p>.05), 공간인지의 경우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수행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성별에 따른 시각적 일화기억의 차이는 언어적 일화기억의 차이와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해마 기능이 일화기억과 공간인지를 담당한다는 것을 고려했을 때, 성별에 따른 일화기억과 공간인지의 차이에 대한 결과가 다르게 나타난 것은 두 기능이 서로 독립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지도사용의 인지적 효과 측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ment Methods of the Cognitive Effects of Map Use)

  • 조현정;신휴석;박기호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5호
    • /
    • pp.15-24
    • /
    • 2012
  • 이 연구는 공간인지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최근에 급격히 발달하고 있는 길찾기 목적의 웹지도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기본 개념과 평가틀을 설정하고 정량적 분석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특정 지도사용상황에서 길찾기 과제를 수행한 후 지도사용으로 얼마나 효과적으로 공간인지가 이루어졌는지를 측정하는 '인지적 지도사용효과'의 개념과 정확성, 신속성, 자신감의 분석항목을 기반으로 하는 평가틀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평가틀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실험조사를 실시하고, 실험 결과물인 인지지도를 2차원 회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실험결과를 계량화하였다. 분석결과, 공간을 정확하게 인식하거나 빠르게 회상하는 데에는 지도표현방법보다 사용자의 특성과 반복적인 지도사용 등의 요소가 영향을 미치며, 2차원 지도와 3차원 지도를 동시에 참조하는 경우 공간인지에 대한 자신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효과적일 것이라고 예상되는 새로운 지도표현방법이 실제로 그렇지 않거나, 사용자마다 효과적이라고 판단하는 지도표현방법이 다른 이유에 대한 근거를 제공해 준다.

풍경식 정원에 나타난 근대적 공간인식 (The Modern Spatial Cognition of the Landscape Garden)

  • 김형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846-851
    • /
    • 2009
  • 근대사회의 형성은 과거의 공간을 변화시켰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내용과 형식의 공간도 등장시켰다. 근대 사회를 통해 등장한 새로운 공간들은 건축과 도시 속으로 흡수되면서 공간에 대한 과거의 전통적인 인식에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근대 형성기의 건축과 공간은 근대건축의 원형으로서 20세기의 근대건축과 공간을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가 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 근대적 공간과 그 인식의 형성을 풍경식 정원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풍경식 정원을 주목하는 이유는 풍경식 정원이 18세기말부터 사회의 주도적인 과제가 되었던 몇 개의 주제들 중 하나로서 유럽 전체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따라서 풍경식 정원을 분석함으로써 유럽 전체에 나타나는 공통적이고 일반적인 근대적 공간인식을 파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