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peroxide anion radical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3초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 화학과 응용 (Superoxide Anion Radical: Principle and Application)

  • 권범근;윤제용
    • 공업화학
    • /
    • 제20권6호
    • /
    • pp.593-602
    • /
    • 2009
  • 오랫동안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superoxide anion radical)은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 화학종으로서 물리화학적 기초 연구에서부터 생명과학(혹은 생명공학) 분야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관심의 대상이었다. 최근에는 고도산화공정(advanced oxidation processes, AOP, 혹은 advanced oxidation technologies, AOT)을 이용하는 오염물 제어 분야뿐만 아니라 나노물질에 의한 유해성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이 중요한 화학종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부족하여 관련 연구자들 사이에서 불필요한 논쟁과 혼동을 일으키고 있으며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의 물리화학적 성질에 대한 오해를 가중시키고 있다. 이 글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행해진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그 반응성에 대해 정리하였고 고도산화공정, 나노물질 및 생명공학 분야 등에서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라디칼이 갖는 중요성을 서술하였다.

냉이(Capsella bursa-pastoris)로부터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물질의 정제 및 이화학적 성질 (Purifica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er from Capsella bursa-pastoris)

  • 곽재혁;권미향;나경수;성하진;양한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84-189
    • /
    • 1996
  • 냉이(Capsella bursa-pastoris)로부터 산소독성에 영향을 미치는 superoxide anion radical에 대하여 소거작용을 하는 물질을 분리하고 이 물질의 이화학적 성질을 검토하였다. 냉이를 에탄올로 추출한 후 용매분획과 각종 column chromatographies (Amberlite XAD-2, Sephadex LH-20, Bio gel P-2, ODS)를 통해 정제하였고, 최종적으로 FPLC (Fast protein liquid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활성의 단일물질을 얻었다. 냉이 에탄올추출물 100 g으로부터 0.25 g의 정제물질을 얻었으며, superoxide anion radical을 50% 소거하는 농도$(IC_{50})$$0.58\;{\mu}g$이었다. 이 물질에 대해 각종 이화학적 성질을 검토한 결과 phenol성 화합물의 배당체로 추정하였다.

  • PDF

CHEMILUMINESCENCE STUDIES ON THE BIOLOGICAl, INTERACTION BETWEEN SUPEROXIDE ANION RADICAL AND NITRIC OXIDE PRODUCED BY PHORBOI, ESTER-STIMULATED RAW264.7 MACROPHAGES

  • Lee, Hong;Pae, Hyun-Ock;Jun, Chang-Duk;Kwak, Hyun-Jeong;Park, Rae-Kil;Yoo, Ji-Chang;Lee, Seog-Jae;Kim, Myung-Sun;Kim, Hae-Song;Choi, Byung-Min;Chung, Hun-Taeg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4권2호
    • /
    • pp.31-34
    • /
    • 1997
  • The rapid and spontaneous interaction between superoxide anion radical and nitric oxide to yield the potent oxidants. peroxynitrite artion and peroxynitrous acid, was investigated in phorbol myristate acetate(PMA)-stimulated RAW264.7 macrophases by means of lucigenin- or luminol-enhanced chemiluminescence method. When RAW264.7 macrophages were stimulated by PMA. peroxynitrite-induced chemiluminescence was clearly observed. To prove observed chemiluminescencc due to the reaction between superoxide anion radical and nitric oxide produced by RAW264.7 macrophases, N-nitrosoglutathione (GSNO), a nitric oxide-releasing compound. superoxide dismutase(SOD), an enzyme removing superoxide anion radical by dismutating superoxide artion radical to hydrogen peroxide, and N-acethyl cysteine(NAC), a scarvenging reagent both superoxide artion radical and nitric oxide, were added in the cell system. Peroxynitrite- induced chemilumincscence was increased by exogenous addition of GSNO. whereas observed chemiluminescence was decreased by SOD and NAC. These results suggest that PMA-stimulated RAW264.7 macrophages produce both superoxide anion radical and nitric oxide to form peroxynitrite.

  • PDF

Antioxidant Effects of Salicornia bigelovii Seed Extracts

  • Kim, Ran
    • KSBB Journal
    • /
    • 제32권2호
    • /
    • pp.140-145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tioxidant effects of different extracts of Salicornia bigelovii se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helating activity of ferrous, superoxide anion radical-scavenging activit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were measured for different extracts. Ethanol extract (10 mg/mL) was found to have the maximum DPPH radical scavenging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65.26 and 62.36%, respectively). However, hot water extract (10 mg/mL) showed the highest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nd chelating activities (51.50 and 53.24%, respectively).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 contents in the ethanol extract were 522.8 and $480.35{\mu}g/mg$, respectively. They were 401.51 and $352.60{\mu}g/mg$, respectively, in the hot water extrac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of S. bigelovii seed have good potential to be used as a new source of antioxidants for functional foods, cosmetics, and pharmaceuticals.

가감형방지황탕 열수 추출물이 항산화 작용에 미치는 영향 (Antioxidant Property of the Gagam-Hyungbang-Gihwang-tang Using Biochemical Markers of Carcinogenesis)

  • 한진수;박성식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04-214
    • /
    • 2005
  • Objectives : The verity extract of the Gagam-Hyungbang-Gihwang-tang (GHG) was assessed to determine the mechanisms of its antioxidant activity. Methods : The fellowing effects were measured : GHG exhibited a concentration-treatment; scavenging ${\alpha},\;{\alpha}-diphenyl-\beta-picrylhydrazyl$ (DPPH) radical, linoleic acid oxidation in a thiocyanate assay system, and superoxide anion, hydroxyl radical-induced DNA nicking. We investigated mRNA levels such as superoxide-dismutase. Results : The GHG extract showed dose-dependent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luding DPPH radicals, hydroxyl radicals, and superoxide anion, using different systems. The GHG was also found to be effective in protecting plasmid DNA against the strand breakage induced by hydroxyl radicals in Fenton's reaction mixture. Furthermore, SOD-1 mRNA expression levels increased in tat hepatoma H4IIE cells Conclusions : We expect that GHG will to helpful to the development of antioxidant activity treatments.

  • PDF

민들레 물추출물의 항산화 및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Antioxidative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ater Extract From Dandelion (Taruaxacum officinale))

  • 강미정;신승렬;김광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53-259
    • /
    • 2002
  • 민들레 잎과 뿌리로부터 물추출물을 제조하여 항산화 활성 및 라디칼 소거활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linoleic acid에 대한 과산화물 생성저해율,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 chemiluminescence를 이용한 hydroxyl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 EPR을 이용한 superoxide anion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및 hydrogen peroxide에 대한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민들레 잎의 물추출물이 뿌리의 물추출물 보다 지방산에 대한 과산화물 생성 저해율이 높았고,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superoxide anion radical 및 hydrogen peroxide에 대한 소거활성 역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약용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검색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 정성제;이진희;송효남;성낙술;이승은;백남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135-140
    • /
    • 2004
  • 현재 시판되고 있는 한약재 및 약용식물 118종에 대해서 80%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 이들의 항산화 활성을 DPPH 와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괴화 (Sophora japonica: 줄기부)의 메탄올 추출물에서 76.9%의 활성을 보였고 회수(Camptotheca acuminata Dence: 지상부)의 추출물에서는 50.9%의 활성을 보였으며 박하(Mentha arvensis: 지상부), 비파엽 (Eriobotryajaponica: 지상부), 소엽(Perilla frutescens: 줄기부), 애엽(Artemisia asiatica: 줄기부 ), 초과(Amomum. costatum: 지상부) 의 추출물과 산비장이(Serratula koreana: 잎), 살구나무(Prunus ansu: 잎)는 30% 이상의 활성을 보였다.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은 박하(Mentha arvensis), 비파엽(Eriobotrya jαponica), 초과(Amomum costatum), 희수(Camptotheca acuminata Dence)의 지상부에서 80% 이상의 활성을 보였으며 괴화(Sophora jαponica), 소엽(Perilla frutescens), 애엽(Artemisia asiatica), 순비기나무 (Vitex rotundifolia)의 줄기부 , 짚신나물(Agrimonia pilosa)의 잎, 창질경이(Plantago lanceolata) 지상부는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박하(Mentha arvensis) 와 비파엽(Eriobotrya jαponica), 초과(Amomum costatum), 희수(Camptotheca acuminata Dence)의 지상 부는 DPPH뿐만 아니라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에서도 높은 활성을 보였다.

갓김치 Chlorophylls 및 Carotenoids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Cholorophylls and Carotenoids in Mustard Leaf Kimchi Activity)

  • 송은승;전영수;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21-425
    • /
    • 2001
  • Antioxidative effects of crude chlorophylls and carotenoids extracts from mustard leaf kimchi on the lipid peroxidation in rat liver homogenate, egg phosphatidyl choline (EPC) liposome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were examined. The extracts were found to inhibit the increase of the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and show the effect of antioxidative activity on the liposomal phospholipid membrane. The oxidation index of EPC liposome was markedly decreased in the prescence of the extracts.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mustard leaf kimchi was not related with fermentation period of the kimchi. The extracts from mustard leaf showed the similar antioxidative activity of $\alpha$-tocopherol within in the given level of addition. However, the oxidation index. When the effect of the extracts from mustard leaf kimchi on free radical scavenging was observed by the determination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t had similar value to that of $\alpha$-tocopherol.

  • PDF

구절초의 부위별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Chrysanthemum zawadskii)

  • 정해정;전인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739-745
    • /
    • 2011
  • 실험에서는 구절초를 꽃, 잎 줄기, 뿌리 등의 부위별로 구분하여 메탄올로 추출하고 추출 수율,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능, 아질산염소거능, 철 이온에 대한 킬레이트 효과, 환원력 등을 측정하였다. 추출 수율은 꽃이 가장 높았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꽃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뿌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꽃과 잎 줄기가 뿌리보다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Superoxide anion radical 소거활성도 추출물의 농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여 꽃 부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DPPH나 ABTS radical 소거활성보다는 다소 낮은 수치를 보였다. 철 이온에 대한 킬레이트 효과는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꽃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뿌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환원력은 꽃과 잎 줄기에서 높게 나타났고 뿌리에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총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은 구절초 꽃이 높은 항산화활성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잎 줄기가 활성을 보임으로써 향후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