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 scheduling

검색결과 386건 처리시간 0.028초

Scheduling with Heterogeneous QoS Provisioning for Indoor Visible-light Communication

  • Dong, Xiaoli;Chi, Xuefen;Sun, Hongliang;Zhu, Yuhong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2권1호
    • /
    • pp.39-46
    • /
    • 2018
  • Visible-light communication (VLC) combined with advanced illumination can be expected to become an integral part of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s. One of the major concerns in VLC implementation is developing resource-allocation schemes in a multi-user scenario. However, the scheduling for heterogeneous quality of service (QoS) traffic has not been studied so far, for the indoor VLC downlink system. In this paper, we creatively introduce effective-bandwidth and effective-capacity theory into the multi-user scheduling (MUS) problem, to guarantee the user's statistical delay QoS. We also take account of the aggregate interference (AI) in the indoor VLC downlink system, and analyze its impact on the user-centric MUS problem for the first time. Simulations show that the AI has a nonnegligible influence on the scheduling result, and that the proposed scheduling scheme could guarantee the user's QoS requirement under the premise of ensuring sum capacity.

Efficient Channel State Feedback Scheme for Opportunistic Scheduling in OFDMA Systems by Scheduling Probability Prediction

  • Ko, Soomin;Lee, Jungsu;Lee, Byeong Gi;Park, Daeyoung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5권6호
    • /
    • pp.589-600
    • /
    • 2013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feedback scheme called mode selection-based feedback by scheduling probability prediction (SPP-MF) for channel state feedback in OFDMA downlink system. We design the scheme such that it determines the more desirable feedback mode among selective feedback by scheduling probability prediction (SPP-SF) mode and bitmap feedback by scheduling probability prediction (SPP-BF) mode, by calculating and comparing the throughputs of the two modes. In both feedback modes, each user first calculates the scheduling probability of each subchannel (i.e., the probability that a user wins the scheduling competition for a subchannel) and then forms a feedback message based on the scheduling probability. Specifically, in the SPP-SF mode, each user reports th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MCS) levels and indices of its best S subchannels in terms of the scheduling probability. In the SPP-BF mode, each user determines its scheduling probability threshold. Then, it forms a bitmap for the subchannels according to the scheduling probability threshold and sends the bitmap along with the threshold. Numerical results reveal that the proposed SPP-MF scheme achieves significant performance gain over the existing feedback schemes.

Multi-Parameter Based Scheduling for Multi-user MIMO Systems

  • Chanthirasekaran, K.;Bhagyaveni, M.A.;Parvathy, L. Rama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0권6호
    • /
    • pp.2406-2412
    • /
    • 2015
  • Multi-user multi-input multi-output (MU-MIMO) system has attracted the 4th generation wireless network as one of core technique for performance enrichment. In this system rate control is a challenging problem and another problem is optimization. Proper scheduling can resolve these problems by deciding which set of user and at which rate the users send their data. This paper proposes a new multi-parameter based scheduling (MPS) for downlink multi-use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U-MIMO) system under space-time block coding (STBC) transmissions. Goal of this MPS scheme is to offer improved link level performance in terms of a low average bit error rate (BER), high packet delivery ratio (PDR) with improved resource utilization and service fairness among the user. This scheme allows the set of users to send data based on their channel quality and their demand rates. Simulation compares the MPS performance with other scheduling scheme such as fair scheduling (FS), normalized priority scheduling (NPS) and threshold based fair scheduling (TFS). The results obtained prove that MPS h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average BER performance with improved resource utilization and fairness as compared to the other scheduling scheme.

전이중 셀룰라 네트워크에서 아웃티지 최소화를 위한 신호 품질과 사용자간 간섭량 기반의 사용자 스케쥴링 알고리즘 (User Scheduling Algorithm Based on Signal Quality and Inter-User Interference for Outage Minimization in Full-Duplex Cellular Networks)

  • 최현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2576-2583
    • /
    • 2015
  • 전이중(full-duplex) 셀룰라 네트워크에서 상향링크 사용자는 하향링크 사용자에게 간섭을 유발하므로 같은 무선 자원을 동시에 사용하는 상 하향링크 사용자 쌍을 어떻게 결정하는 지가 시스템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서비스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아웃티지(outage) 발생의 최소화를 위한 최적화 문제를 제시하고, 낮은 복잡도를 갖는 차선의 사용자 스케쥴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스케쥴링 방식은 나쁜 신호 품질을 갖는 하향링크 사용자에게 간섭을 덜 미치는 상향링크 사용자를 먼저 선택할 수 있도록 우선권을 주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하는 사용자 스케쥴링 방식을 사용하는 전이중 시스템은 최적에 가까운 아웃티지 성능을 달성하면서 기존 반이중 모드의 셀룰라 시스템 대비 아웃티지 발생을 현저히 줄인다.

Energy Efficient Transmit and Receive Strategy for Green Communications: K users extension

  • Oh, Changy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37-42
    • /
    • 2016
  • We investigate multi user joint rate scheduling and power allocation problem for a delay sensitive CDMA systems. First, we characterize the existing two user joint rate scheduling and power allocation. We then extend the problem to the case of the multi user systems. In general, there is no simple optimum solution for the multi user scheduling problem. To that end, we propose a sub optimum solution, termed 'virtual user approach'. We show the performance of the virtual user approach to verify the benefit of complexity.

전이중 무선 셀룰라 네트워크에서 셀 용량 최대화를 위한 사용자 스케쥴링 방식 (User Scheduling Algorithm for Cell Capacity Maximization in Full Duplexing Wireless Cellular Networks)

  • 최현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2613-262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전이중(full duplexing) 모드로 동작하는 기지국과 시분할 이중(TDD: Time Division Duplexing) 모 드로 동작하는 사용자들이 통신하는 전이중 무선 셀룰라 네트워크를 고려한다. 전이중 모드 사용시 상향링크 사용자 는 하향링크 사용자에게 간섭을 유발하므로 시스템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같은 무선 자원을 동시에 사용하는 상 하향링크 사용자 쌍을 어떻게 결정하는 지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셀 용량을 최대화하기 위한 최적화 문제 를 제시하고 낮은 복잡도를 갖는 차선의 사용자 스케쥴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스케쥴링 방식은 더 좋은 신호 품질을 갖는 하향링크 사용자가 자신에게 간섭을 덜 미치게 하는 상향링크 사용자를 먼저 선택할 수 있도록 우 선권을 갖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 사용자 스케쥴링 방식을 사용하는 전이중 시스템은 최적 성 능을 달성하면서 기존 TDD 시스템의 셀 용량을 현저히 개선한다.

Packet Scheduling for Cellular Relay Networks by Considering Relay Selection, Channel Quality, and Packet Utility

  • Zhou, Rui;Nguyen, Hoang Nam;Sasase, Iwao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1권5호
    • /
    • pp.464-472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packet scheduling algorithm for cellular relay networks by considering relay selection, variation of channel quality, and packet delay. In the networks, mobile users are equipped with not only cellular but also user relaying radio interfaces, where base station exploits adaptive high speed downlink channel. Our proposed algorithm selects a user with good cellular channel condition as a relay station for other users with bad cellular channel condition but can get access to relay link with good quality. This can achieve flexible packet scheduling by adjusting transmission rates of cellular link. Packets are scheduled for transmission depending on scheduling indexes which are calculated based on user's achieved transmission rate, packet utility, and proportional fairness of their throughput. The performance results obtained by using computer simulation show that the proposed scheduling algorithm is able to achieve high network capacity, low packet loss, and good fairness in terms of received throughput of mobile users.

CDF 스케쥴링을 적용한 상향링크 NOMA 시스템의 오수신 성능 (Outage Performance of Uplink NOMA Systems with CDF Scheduling)

  • 김남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7-42
    • /
    • 2021
  • 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시스템은 스펙트럼의 효율이 높아서 차세대 이동통신 방식으로 주목을 받고 있지만,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채널을 엑세스 하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이므로 사용자 스케쥴링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스케쥴링 방식으로 PF (Proportional fairness) 스케쥴링 방식과 CDF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스케쥴링 방식이 있는데, PF 스케쥴링 방식은 셀 가장자리에 위치한 사용자는 전송기회를 갖기가 매우 어렵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사용자들의 위치와 무관하게 동일한 전송기회를 갖는 CDF 스케쥴링이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향 NOMA 시스템에 CDF 스케쥴링을 적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채널 획득확률, 사용자 수에 따른 오수신율, 그리고 송신 가중치에 따른 시스템의 오수신율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구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각각의 사용자들의 채널 획득 확률이 동일함을 확인하였고, 사용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오수신율은 감소하였다. 그리고 셀 가장 자리에 있는 사용자의 송신 가중치를 증가하여도 시스템의 오수신율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함을 알 수 있었다.

능동적 CSI 교환을 기반으로 한 MU-MIMO 유저 스케줄링 기법 (A MU-MIMO User Scheduling Mechanism based on Active CSI Exchange)

  • 이규행;김종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41권4호
    • /
    • pp.192-201
    • /
    • 2014
  • 유저 스케줄링 기법은 802.11 Wi-Fi 시스템의 전송 용량을 증대시키는 최적의 유저 집합을 선택함으로써 멀티유저 MIMO의 이득을 크게 높인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법들은 실제 시스템에서 채널정보 교환에 의한 오버헤드 때문에 이득을 얻는데 실패한다. 본 논문은 채널 정보 교환 오버헤드를 고려한 유저스케줄링 기법과 이를 위한 MAC 프로토콜 ACE를 제안한다. AP가 모든 유저의 채널정보를 얻은 후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기존의 기법들과는 달리, ACE는 채널 정보 교환과 스케줄링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즉, AP는 이미 스케줄된 유저들의 채널 정보를 알려주고, 남아있는 유저들은 그 채널정보를 기반으로 자신의 유효채널을 계산하여 그 값에 따라 AP에게 채널 정보를 전송한다. 트레이스 기반의 MATLAB 시뮬레이션을 통해 우리는 제안한 기법이 기존 프로토콜들에 비해 높은 처리량 이득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OFDMA 시스템의 다중 사용자 스케줄링을 위한 순환지연 다이버시티의 지연값 결정 (Delay Determination of Cyclic Delay Diversity for Multi-user Scheduling in OFDMA Systems)

  • 임민중;허성호;송현주;임대운;정병장;노태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3A호
    • /
    • pp.248-255
    • /
    • 2008
  • OFDMA 시스템에서 주파수축에서의 다중사용자 스케줄링의 성능은 채널의 주파수 선택적 특성과 상관이 있다. 채널이 주파수축에서 평탄하면 다중사용자 스케줄링의 이득이 줄어들 수 있으며 반대로 주파수 선택적 특성이 너무 커서 할당 대역폭 내에서 채널의 변화가 심하게 일어난다면 충분한 스케줄링 이득을 얻기 어려워진다. 다중 사용자 스케줄링 이득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순환지연 다이버시티를 적용하여 채널의 주파수 선택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할당 대역폭과 채널 특성을 고려하여 순환지연 다이버시티를 적용할 때의 최적의 지연값을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