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utilization of agricultural waste products -Part 3. Separation of phytin from defatted rice bran-

농업부산물(農業副産物)의 이용성향상(利用性向上)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3보(第3報) 탈지미강(脫脂米糠)부터 phytin 분리(分離)-

  • Shin, Jai-Doo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신재두 (서울대학교 농과대학 생화학교실)
  • Published : 1968.04.30

Abstract

Defatted rice bran is mixed with diluted acid solution, the mixture is agitated some hrs. at constant temparature. After the mixture is filtered, thus filtrate is obtained. This filtrate is phytin extract solution. (Test-1) The alkali is added to this filtrate and filtered out, then the precipitation of phytin is obtained. (Test-2) At the test-1, the effect of kind of acid, conc. of acid, amount of extract sol'n., time of extraction, temp. of extraction, to the extract amount of phytin is tested. Consequently, the following facts are known. 1. Amount of phytin extract is greater HCI extraction than $H_{2}SO_4$ extraction. 2. At 0.3% HCI, the amount of phytin extract is greatest of all HCl extraction. 3. The sufficient amount of acid solution is 8-10 times of amount of defatted rice bran. 4. The time of extraction at room temperature is sufficient 8-12 hrs. 5. When extract temperature is $20-30^{\circ}C$, the amount of phytin extraction is greater of all temp. 6, When defatted rice bran 20 g is shanken with 160 ml of 0.3% HCl for 10 hr. at room temp., in this case the amount of phytin extract is 11.34% of defatted rice bran, it is 93% of theoretical yield. At the test-2 the effect of kind of precipitation agent, degree of nutralization to the amount of phytin prcipitation is tested. 1. Degree of nut. is best at pH 6.8-7.0. 2. When use of $Ca(OH)_2$ the amount of phytin precipitation is more than use of KOH, NaOH, or $NH_{4}OH$. 3. At pH 6.0-7.2, the solubility of phytin is followed. K-phytate > $NH_{4}-phytate$ > Na-phytate > Ca-phytate 4. When phytin extract solution is nutralized with $Ca(OH)_2$ to pH 7.0, the amount of phytin precipitation is 94.78% of theoretical yield.

1) 생미강(生米糠)을 n-hexane으로 탈지(脫脂)한 탈지미강(脫脂米糠)에 희(稀) HCl 또는 희(稀) $H_{2}SO_4$를 혼합(混合)하고 가끔 저어주면서 $8{\sim}12$ 시간(時間)동안 두어서 phytin을 침출(浸出)시키고 여과(濾過)하여서 침출액(浸出液)을 얻었다 .다음에 침출액(浸出液)을 염기(鹽基)로 중화(中和)하여서 phytin을 침전(沈澱)시키고 여과(濾過)하여서 phytin을 분리(分離)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서 탈지미강(脫脂米糠)으로부터 phytin을 분리(分離)함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조건(條件)에 관(關)하여 기초(基礎) 실험(實驗)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2) 침출용(浸出用) 산액(酸液)으로써는 0.3% HCl이 좋았다. 탈지미강(脫脂米糠)에 희산(稀散)을 작용(作用)시키면 phytin 이외(以外)로 희산(稀散)에 가용성(可溶性)인 단백질(蛋白質) 당류(糖類), Vitamin B 군(群), 색소(色素)등도 상당량(相當量) 즉 탈지미강(脫脂米糠)의 $18{\sim}19%$가 침출(浸出)되어 나온다. 0.3% HCl 때 침출고형물(浸出固形物)은 탈지미강(脫脂米糠)의 30%이다. 탈지미강중(脫脂米糠中)의 염기성(鹽基性) 물질(物質)의 침출(浸出) 속도(速度)는 phytin의 그것과 차이(差異)가 있다. phytin은 탈지미강(脫脂米糠)과 희산액(稀酸液)을 혼합(混合)한 후 $1{\sim}5$시간(時間) 사이에서 주(主)로 침출(浸出)되어 나온다. 3) 침출용(浸出用) 산액량(酸液量)은 탈지미강(脫脂米糠)의 $8{\sim}10$ 배량(倍量)이 좋고 침출(浸出) 시간(時間)은 실온(室溫)에서 $8{\sim}12$ 시간(時間)이면 충분(充分)하다. 침출(浸出) 온도(溫度)는 $20{\sim}30^{\circ}C$가 좋고 그 이상(以上)이 되면 phytase의 작용(作用)이 활발(活潑)하여지므로 침출량(浸出量)이 저하(低下)된다. 4) 침출용(浸出用) 산(酸)으로써는 HCl를 사용(使用)할 때가 $H_{2}SO_4$를 사용(使用)할 때보다도 phytin 침출량(浸出量)이 많다. 0.3% HCl를 탈지미강(脫脂米糠)의 8배량(倍量) 쓰고 실온(室溫)에서 12시간(時間) 침출(浸出)시키였을때 phytin 침출율(浸出率)은 11.34%로써 이론치(理論値)의 93%였다. 5) phytin를 침전(沈澱)시키기 위한 침출액(浸出液)의 중화제(中和劑)로써는 포화(飽和) $Ca(OH)_2$ 용액(溶液)이 좋다. 침출액(浸出液)을 포화(飽和) $Ca(OH)_2$ 용액(溶液)으로 pH 7.0까지 중화(中和)하였을 때에 phytin 침전율(沈澱率)은 이론치(理論値)의 94.77%였다. 중화제(中和劑)로써 NaOH, KOH, $NH_{4}OH$를 쓸 때는 중화도(中和度)에 관계없이 침전(沈澱)이 대단히 불충분(不充分)하였다. 중화도(中和度)는 pH $6.8{\sim}7.0$이 좋다. 중화제(中和劑)로써 $NH_{4}OH$를 썼을 때가 phytin 침전(沈澱)이 제일 희고 여과(濾過)도 비교적(比較的) 쉽게 잘 되었다. 6) pH $6.0{\sim}7.2$에서 각(各) 용해도(溶解度)는 다음과 같다. K-phytate〉$NH_{4}-phytate$ > Na-phytate > Ca-phytate.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