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rying of Plasticized Pasta

가소화(可塑化)된 파스타의 건조(乾燥)

  • Published : 1981.03.31

Abstract

Cooked spaghetti soaked in 10%, 20%, and 40% aqueous glycerine solutions for ten minutes absorbed sufficient glycerine to plasticize that spaghetti during and after subsequent drying. The plasticizing action of the glycerine prevented fissuring(checking) and surface corrugation of the spaghetti at elevated drying temperature and large wet-bulb dry-bulb temperature difference. The drying temperature and the wet-bulb dry-bulb differences up to which such protection was provided as the glycerine soak concentration increased. Despite the reduction in drying rate, the drying time required to produce spaghetti with a water activity of 0.65 (the level normally required for stability) decreased as glycerine content increased. At high frying temperatures glycerine addition increased the extent of browning and shortened the period required to induce detectale browning, but in all instances browning started well after the product $a_w$ reached the 0.65 value required for the completion of drying. Because glycerine addition reduced drying times at any given set of drying conditions and permitted the use of higher drying temperatures, relatively low levels of glycerine addition (e.g. 0.15 kg glycerine/kg dry spagetti) can shorten spagnetti drying times by roughly 80% and perhaps by as much as 93%.

삶은 스파게티를 10%, 20%와 40% 글리세린 수용액에 10분간 담가둔결과 차후의 건조 과정에서 가소화(可塑化)시키는데 충분한 글리세린을 흡수했다. 글리세린의 가소화작용으로 높은 건조온도와 건습구온도의 큰차에서도 스파게티가 균열되고 표면에 주름지는 것이 방지되었다. 그러한 보호가 가능한 건조온도와 건습구온도차는 글리세린의 농도가 높을수록 높아졌다. 건조속도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스파게티의 수분활성도를 0.65로(저장안정성에 필요한 수준) 내리는데 필요한 건조시간은 글리세린양이 증가함에 따라 짧아졌다. 글리세린의 첨가로 늪은 건조온도에서 스파게티의 갈변화 정도가 심해졌고 갈변화를 유도하는 기간이 짧아졌으나 갈 변화는 모든 경우에 스파게티의 수분활성 가 건조완성에 필요한 0.65에 도달한 훨씬 후에 시작되었다. 글리세린의 첨가로 건조시간을 단축하고 더 높은 온도에서 건조할 수 있기 때문에 약간의 글리세린을 (0.15 kg glycerine/ kg dry spaghetti) 첨가함으로써 스파게티의 건조시간을 약 80%에서 93%까지 단축시킬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