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ewing Method and Composition of Traditional Kochuzang (Red Pepper Paste) in Junrabook-do Area

전라북도지방(全羅北道地方) 전통(傳統)고추장의 제법조사(製法調査)와 성분(成分)

  • Published : 1981.03.31

Abstract

Brewing method and quality of 15 samples of traditional Kochuzang in Junrabook-do area were investigated. Average combination ratio of glutinous rice: Meju (soybean Koji): red pepper powder was 2 : 0.7 : 1.1. In order to improve the taste of Kochuzang, some amount of natural soysauce was added in the Kochuzang at early stage of fermentation. Average content of sodium chloride was 7.32%; amino nitrogen, 123.3%; total sugar, 31.9%; reducing sugar, 19.4%; ethyl alcohol, 1.13% and the activity of acid protease was 0.07; liquefying amylase, 9.67 and saccharogenic amylase was 15.82. Five samples were selected as excellent Kochuzang through sensory evaluation. These samples were similarly strong in hot and sweet taste with alcoholic flavor, glossy surface and brownish red color.

전북지방(全北地方)의 전통적(傳統的)인 재래식(在來式) 고추장의 제법(製法)을 조사(調査)하고 15종(15種)의 시료(試料)를 채취(採取)하여 성분분석(成分分析)과 관능시험(官能試驗)으로 품질(品質)을 평가(評價)하였다. 고추장용 메주는 주로 멥쌀과 콩츨 혼합(混合)하여 제조(製造)하고 고추장 담금비는 메주가루에 대한 찹쌀의 비율이 80% 이상(以上)으로 전분질원(澱粉質源)의 배합비(配合比)가 높고 고춧가루의 사용량(使用量)이 많은것이 특징(特徵)이다. 또 고추장의 맛을 좋게 하기 위(爲)하여 부원료(副原料)로 적량(適量)의 간장등(等 )을 첨가(添加)하여 주(主)로 자연숙성방법(自然熟成方法)으로 고추장을 제조(製造)하고 있다. 고추장의 성분(成分)은 식염(食鹽)과 아미노질소(窒素) 함량(含量)이 낮고 총당(總糖), 환원당(還元糖)과 ethyl alcohol 함량(含量)이 대체(大體)로 높으며 효소력(酵素力)은 미약(微弱)한 편이었다. 관능시험결과(官能試驗結果) 선정(選定)된 5종(5種)의 우량(優良)고추장은 달고 매운맛이 강(强)하고 메주취(臭)나 납두취(納豆臭)가 거의 없는 alcohol성(性)의 향긋한 향기(香氣)와 윤기있는 붉은 색상(色相)의 고추장으로 감평(鑑評)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