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ationalization of Public Forest Management - A Model Analysis of Taebaek City Area -

공유림(公有林) 경영합리화(經營合理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 태백시(太白市) 공유림(公有林)을 중심(中心)으로 -

  • Kim, Tong Ju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angwon Nat'l Univ.) ;
  • Seo, Yeong Wan (Graduate School, Kangwon Nat'l Univ.) ;
  • Choi, Jong-Cheon (Dept. of Forest Management, College of Forestry, Kangwon Nat'l Univ.)
  • 김동주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 서영완 (강원대학교 대학원) ;
  • 최종천 (강원대학교 임과대학 삼림경영학과)
  • Published : 1993.05.31

Abstract

The situation and the problems of the management of public forest owend by Kangweon provincial and Taebaek municipal govenments were investigated throughout literature and field surve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Kangweon provincial forest is 25,896ha and Taebaek municipal forest is 550ha, which consists of Kangweon provincial forest, 470ha and municipal forest, 80ha. Taebaek city is responsible for the management of the province-owned forest in its administrative district in addition to its own forest. 2. Except San 1-2Changjookdong (443ha) which is leased by Dai Han Coal. Coporation for mining coal, the remaining forest (107ha) consists of 32 scattered, small-area forest lands. 3. Due to small area and dispersal of municipal forest, the management base for forest production is not sound and the management at present is nearly absent. Based on these actual condition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provided for the rationalization for the municipal forest management. First, scattered, small-scale forests should be gathered to prepare a management complex. Second, the sustaining production of timber should be attained through the estblishment of systematic management plan. Third, the reasonable system for forest land utiliztion shoule b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recreational use of public forest.

본 연구는 강원도(江原道) 도유림(道有林)과 태백시(太白市) 시유림(市有林)의 경영상태(經營賞態)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강원도(江原道) 도유림(道有林)은 25,896ha, 태백시(太白市) 공유림(公有林)은 550ha였으며, 태백시(太白市) 공유림(公有林) 중 도유림(道有林)은 470ha, 태백시(太白市) 사유림(私有林)은 80ha로서 그의 관리는 태백시(太白市)에서 담당하고 있다. 2. 태백시(太白市) 공유림(公有林) 550ha를 현지 조사한 결과 창죽동 산 1-2번지의 443ha를 제외하고 나머지 107ha는 32개 지역으로 소규모(小規模)로 분산(分散)되어 있었다. 3. 창죽동 산 1-2번지에 소재하고 있는 산림의 경우 석탄공사에서 대부를 받아 석탄을 채취하고 있으며, 나머지 공유림(公有林)은 소규모(小規模)로 분산(分散)되어 있어 산림경영(山林經營) 생산기반(生産基盤)이 취약하고 경영관리(經營管理) 상태는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은 점을 고려해 볼 때 태백시(太白市) 공유림(公有林)의 합리적(合理的)인 경영(經營)을 위해서는, 첫째, 소규모(小規模)로 분산(分散)되어 있는 공유림(公有林)을 단지화(團地化) 할 필요가 있고, 둘째, 체계적(體系的)인 경영(經營) 계획(計劃)을 수립하여 지속적인 목재생산(木材生産)이 가능하도록 유도하여야 하며, 셋째, 자연휴양림(自然休養林) 조성(造成)을 고려한 합리적(合理的) 산지이용(山地利用) 체계(體系)를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