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ies on design of forest road nets for mechanized yarding operations - Classification of forest site -

기계화(機械化) 집재작업(集材作業)을 위한 노망(路網)의 정비 - 임지(林地)의 분류(分類) -

  • Cha, Du Song (Dept. of Forest management, College of Forestry, Kangwon Nat'l. Univ.) ;
  • Cho, Koo Hyun (Dept. of Forest management, Graduate school Kangwon Nat'l. Univ.) ;
  • Ji, Byung Yun (Dept. of Forest management, Graduate school Kangwon Nat'l. Univ.)
  • 차두송 (강원대학교 임과대학 삼림경영학과) ;
  • 조구현 (강원대학교 대학원 삼림경영학과) ;
  • 지병윤 (강원대학교 대학원 삼림경영학과)
  • Published : 1993.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detailed topographic information for substantially selecting the yarding machine for mechanized yarding operations, classifying the forest site by cluster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investigating simultaneously the variables which give much influence on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site in forestry build-up region (21, 477ha) of Chunchon Gun, Kwangweon Do. Ten topographic variabl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 1) Gosung region (2, 252ha) was classified into hilly terrain (57%) and steep terrain (43%) and required the tractor prehauling system for the former one and the medium skyline system for latter one, respectively. 2) 65% of Gajung region (2,306ha) and 67% of Kwangpan region (2, 627ha) were classified into steep terrain fitted for the medium skyline system and the portion of both region showed the hilly terrain for the tractor prehauling system. 3) Jiam region (4, 591ha), consisted only of steep terrain, required the medium skyline system. 4) Gunja region (3, 400ha), Sudong region (3, 984ha) and Sinpo region (2, 340ha) were classified into steep terrain, requiring the medium skyline system, with 85%, 75%, and 75%, respectively.

본 연구는 강원도 춘천군에 위치한 임업진흥촉진지역 21,417ha를 대상으로 10개의 지형특성치를 이용, 집락분석과 주성분분석에 의하여 임지를 구분함과 동시에 판별분석에 의하여 임지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최소한의 변수를 검토하여, 실질적으로 기계화 집재작업을 위한 작업기종의 선정에 정확한 지형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성단지는 총면적 2,252ha로 중에서 57%가 완지형으로 분류되어 트랙터형 집재가 적합하고 43%가 급지형으로 중거리 가선집재형이 적합함을 보여 주었다. 2) 가정단지(2,306ha)와 광판단지(2,627ha)는 각각 65%와 67%가 급지형으로 분류되어 대개 중거리 가선형의 집재가 적합하고, 나머지 35%와 33%가 트랙터형 집재가 적합한 완지형으로 나타났다. 3) 지암단지(4,519ha)는 대부분의 지역이 급지형으로 분류되어 중거리 가선형이 적합하였다. 4) 군자단지(3,400ha), 수동단지(3,894ha), 신포단지(2,430ha)는 총면적중에서 각각 85%, 75%, 75%가 급지형으로 분류되어 중거리 가선집재형이 적합함을 보여 주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