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Orientation on Magnetic Tape Properties

도포형 자기기록 매체의 자성층에서 자성체의 배향거동과 배향상태에 따른 Tape 특성의 변화

  • 김상문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무기재료공학과) ;
  • 김태옥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무기재료공학과) ;
  • 신학기 (경남공업 전문대학 화학공학과) ;
  • 여운성 (LG전자 멀티미디어 사업본부 마그네테크 OBU 연구소)
  • Published : 1997.12.01

Abstract

We have observed the orientation behavior of acicular iron oxides in magnetic layer of the particular magnetic tape after magnetic paint was coated on polyester film. As results of the static orientation, orientation of iron oxides come to the maximum at the front and the back of orientation magnets, but it was a litter lower at the back than at the front, and it slowly decreases and come to the constant level after passing through the orientation magnets. In case of edge portion to be futher away from center in the coated film, the orientation of iron oxides in magnetic layer come to worse than that of the center. We think it is owing to the shape and the magnetic magnitude of orientation magnets. The results of the dynamic orientation are as follows. As the orientation of iron oxides in the particulated magnetic tape is higher, the output properties of tape come to better than ever. And the orientation of iron oxides can be changed by drying condition, as result, the output properties of tape can be also. Therefore we think the considrations of the design of orientation magnets and the control of drying condition are needed to improve output properties of the particulated magnetic tape.

폴리에스터 film 위에 자성도료를 도포 후 자성체의 배향 거동을 살펴보았다. static orientation 처리하여 평가한 결과 자성도료가 도포된 film이 배향자석을 통과할 때 배향자석의 입구측과 출구측에서 배향성이 최대로 나타나나 출구측이 약간 낮게 나타났으며 배향자석의 출구를 지나면서 static energy의 감소와 entropy의 증가에 의하여 도막의 건조과정 중 배향성은 서서히 감소되다가 완전히 건조되면서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그리고 film의 중심부보다 양쪽의 edge 부위에서의 배향성은 떨어지는데 그 원인은 배향자석의 형태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Dynamic orientation 처리하여 평가한 결과 자기 tape에서 자성도막의 배향성이 향상됨에 따라 전 대역에서의 출력 특성은 향상되었으며 건조 조건에 따라서도 tape의 배향성이 변하였다. 따라서 자기 tape의 출력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배향자석의 설계 및 자성도료의 건조 조건 등의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高分子論文集 v.37 no.1 魚谷賢二 et. al.
  2. 高分子論文集 v.3 no.5 魚谷賢二 et. al.
  3. 高分子論文集 v.41 no.5 魚谷賢二 et. al.
  4. IEEE TRANS. MAGN. v.26 no.1 A. Eling
  5. IEEE TRANS. MAGN. v.26 no.6 A. Eling
  6. IEEE TRANS. MAGN. v.17 no.6 E. KORSTER et. al.
  7. JP05318577 A
  8. JP05314457 A
  9. IEEE TRANS J MAGN JPN v.3 no.6 A. OHTSUBO. et. al.
  10. Colloid Polym Sci v.266 no.11 K. NAKAMAE. et. 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