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and interpretative study by quantitative analysis on modern and post modern ceramic's product design (Centering around form description by applying analysis model)

모던과 포스트모던 도자 제품디자인의 정량적분석에 의한 비교 및 해석에 관한 고찰 (분석모델을 적용한 형태기술을 중심으로)

  • 손연석 (광주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과)
  • Published : 1997.08.0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omparative and interpretative study by quantatitative analysis (by applying information value's calculating rule that Shannon has developed) about modem and postmodem ceramics product design centering around form description among many evaluating and analyzing elements by applying analysis model that Hong ik university' professor, Kim Bock Young, has researched and developed

본 연구는 도자 제품의 디자인분석에서 종래의 주관적 감성적 디자인분석이 아닌 정량 적, 객관적인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모던 디자인에서 그로피우스의 찻주전자와 포스트모던 디자인의 솟사스(Sottsass)의 화병을 분석샘플로, 선정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의 김복영 교수가 연구 개발한 분석 모델을 적용하여 산술적 비례산출을 한 후에 정보이론 미학자인 세넌(Shannon)의 정보 값 산출 방정식에 대입해서 정량적 분석 절차에 의해 정보 값을 산출하고 정량 화하여 모던 디자인과 포스트모던 디자인의 양식 적 특성을 형태 기술을 중심으로 객관적, 정량적으로 비교 및 해석 기술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참고로 고대 그리스의 화병을 두 양식과 비교해보기 위해 분석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분석모델과 분석절차가 도자 제품 디자인 과정에서 디자인의 조형요소 중 형태에 대하여 소비자 행동조사와 연계해 신제품 개발이나 출시된 기존 제품의 형태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도록 검증하는 연구가 계속된다면 평가도구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