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timization for the Process of Ethanol of Persimmon Leaf(Diospyros kaki L. folium)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감잎(Diospyros kaki L. folium) 에탄올 추출물의 최적화

  • Bae, Du-Kyu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
  • Choi, Hee-Jin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
  • Son, Jun-Ho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
  • Park, Mu-Hee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
  • Bae, Jong-Ho (Department of Confectionery Decoration, Taegu Future College) ;
  • An, Bong-Jeon (Department of Faculty of Life Resource & Engineering, Kyungsan University) ;
  • Bae, Man-Jong (Department of Faculty of Life Resource & Engineering, Kyungsan University) ;
  • Choi, Cheo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 Technology, Yeungnam University)
  • 배두경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 최희진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 손준호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 박무희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 배종호 (대구미래대학) ;
  • 안봉전 (경산대학교 생명자원공학부) ;
  • 배만종 (경산대학교 생명자원공학부) ;
  • 최청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Published : 2000.08.31

Abstract

The efforts were made to optimite ethanol extraction from persimmon leaf with the time of extraction$(1.5{\sim}2.5\;hrs)$, the temperature of extraction$(70{\sim}90^{\circ}C)$, and the concentration of ethanol$(0{\sim}40%)$ as three primary variables together with several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leaf as reaction variables. The conditions of extraction was best fitted b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rough the center synthesis plan, and the optimal conditions of extraction were established. The contents of soluble solid and soluble tannin went up as the concentration of ethanol went up and the temperature of extraction went down, and the turbidity went down as the concentration of ethanol went down. Electron donation ability was hardly affected by the extraction temperature and had the tendency to go up as the concentration of ethanol went up. The inhibitory activity of xanthine oxidase(XOase) had the tendency to go up as both the concentration of ethanol and the temperature of extraction went up. The inhibitory activity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ACE), the significance of which still was not recognized, showed the maximum when the concentration of ethanol was 27%. In result, the optimal conditions of extraction was the extraction time of two hours, the extraction temperature of $75{\sim}81^{\circ}C$, and the ethanol concentration of $33{\sim}35%$.

한국산 감잎(Diospyros kaki L. folium)을 이용하여 추출시간$(1.5{\sim}2.5\;hrs)$, 추출온도$(70{\sim}90^{\circ}C)$ 및 에탄올농도$(0{\sim}40%)$등 세가지 조건을 요인변수로 하고 감잎의 몇가지 기능적 특성을 반응변수로 하여 중심합성계획에 의한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으로 감잎의 추출조건을 최적화하였다. 감잎의 추출조건 최적화 실험에서 요인변수 중 가장 영향력이 낮은 추출시간을 2시간으로 고정하고 반응표면을 실시한 결과, 수용성 고형분 함량과 수용성 탄닌의 함량은 에탄올의 농도가 높고 추출온도가 낮을수록 증가하였고, 탁도는 에탄올의 농도가 낮고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높은 투과도를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은 추출온도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고, 에탄올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XOase 저해율의 경우 에탄올의 농도와 추출온도가 모두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ACE 저해율의 경우에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나 에탄올의 농도 27%에서 최고값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 탁도, 수용성 탄닌의 함량, 전자공여능, XOase 저해율, ACE 저해율 등을 모두 만족시키는 추출조건을 예측하여 보았을 때 추출시간 2시간, 추출온도 $78{\sim}81^{\circ}C$, 에탄올 농도 $33{\sim}35%$로 나타났다. 회귀식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예측된 추출조건의 임의 최적점 (추출시간 2시간, 추출온도 $80^{\circ}C$, 에탄올 농도 34%)에서 3회 반복으로 실제 추출실험을 실시해 본 결과, 각 반응변수들의 예측값과 유사하게 나타났다.u}mol$까지로 증가를 하다가 $8.2\;{\mu}mol$ 크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TEX>${\alpha}-D-glucose$, maltose, D-mannose, D-raffinose, stachyose, sucrose등의 이용성이 있었다. B16의 형태학적, 생리학적인 특징의 결과, Bacillus megaterium의 특징과 일치하였다. 그러나, 균체 지방산은 Paenibacillus marcerans의 균종과 유사하여 B16은 더 자세한 동정방법과 분류체계를 통해 명확한 동정이 필요하리라 사료되었다. 따라서 B16은 잠정적으로 Bacillus megaterium B16이라 명명하였다.X>$GDL+CaSO_4$ 첨가구는 0.3%에서, 그리고 $Ca-gluconate+CaSO_4$ 첨가구는 0.4%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0.3% $GDL+CaSO_4$ 첨가구가 적당한 경도를 가지면서도 부드럽고 고소한 맛이 강하여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cids은 $190^{\circ}C$까지는 $2.51{\sim}4.41$ ppm으로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다가 $210^{\circ}C$에서 18.92 ppm으로 급증하였고, 이후 $220^{\circ}C$에서 7.20ppm, $230^{\circ}C$에서 5.56 ppm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nonano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등이 고온가열에 의해 생성되었다가 이들이 열분해로 소실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평균치는 34점이었으며 여윔에서는 너무 살찜으로 갈수록 사회적 체형불안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후쿠오카 지역의 체형 불안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