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Editorial Design of Magazine, Its New Concept & Advancement

디자인 전문지 <에미그레(Emigre)> 편집디자인의 혁신과 진보

  • 이옥수 (명지전문대학 커뮤니케이션디자인과)
  • Published : 2000.11.01

Abstract

issued in the U.S is a magazine specialized in graphic design, which has a totally different style from commercial magazines such as show case. The main motive why Rudy VanderLans, the publisher, first issued this magazine in the early 1980s is his assertion that there is no design paradigm of universial concept in the aspect of viaual communication design. Also, it started from his recognition that a medium for letting a new generation's show their liberal thinking and experimental expressions. This study looks at theologies and assertions on new graphic concept, which is called the New Wave of graphic design by classifying the plans of into form and contents, and analyzes its specialty in design. Also, this study examines the overall trends of non-Grid editorial design since the modern style. By doing so, I could have a general look at the progressive traits and their futuristic directions that become to have a shorter life cycle with the advent of the 21st century's information era, high-tech media and the change of production environment by digital technology.

현재 미국에서 발간되고 있는 <에미그레(Emigre)>지는 기존의 쇼 케이스(show case)와 같은 상업잡지와 그 유형이 전혀 다른 그래픽디자인 전문지이다. 발행인 루디 반더란스(Rudy VanderLans)가 80년대 초 이 잡지를 발간했던 주요동기는 시각디자인 문화의 영역에 있어 보편적인 개념에 의한 전형(paradigm)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가설과, 이에 동조하는 새로운 젊은 세대의 디자이너들의 다양하고 자유로운 사고와 실험적 표현방법을 검증받게 하기 위한 매체가 필요하다는 인식 때문이었다. 모더니즘 그래픽디자인 방법으로 통칭되었던 스위스 국제양식의 편제 스타일에 있어 감성적, 개성적 표현의 한계에 의문을 가졌던 반더란스는 컴퓨터를 활용한 디지털 폰트개발의 선두주자인 그의 아내 주자나 리코(Zuzana Licko)와 함께 <에미그레> 잡지를 기획함에 있어 전통적 포맷방식에서 벗어나 잡지의 특별기획기사와 관련내용을 시각적으로 연관시킨 편집 디자인으로 매호마다 디자인계에 논란을 불러 일으킴과 동시에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본 논문은 <에미그레> 잡지의 기획을 내용과 형식으로 분류하여 그래픽디자인의 새로운 물결(New Wave)로 일컬어지고 있는 새로운 그래픽 컨셉에 대한 주의 주장들을 콘텐츠별로 살펴보고 그 디자인적 특수성을 분석해 보았다. 그리고 모더니즘 편제방법 그 이후의 탈 그리드 편집디자인의 제 경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21세기 정보화시대의 만개와 더불은 하이테크 미디어의 출현,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의한 제작여건의 변화와 함께 라이프 사이클이 점점 더 짧아지는 다양한 그래픽 개념들의 새로운 변화와 그 미래지향적 방향에 대해 추론해 볼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