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osition mechanism of $Bi_4Ti_3O_{12}$ films on Si by MOCVD and property improvement by pulse injection method

MOCVD $Bi_4Ti_3O_{12}$ 박막의 실리콘 위에서의 증착기구 및 유기 금속원료의 펄스주입법에 의한 박막 특성 개선

  • 이석규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
  • 김준형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
  • 최두현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
  • 황민욱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
  • 엄명윤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
  • 김윤해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
  • 김진용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
  • 김형준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 Published : 2000.12.01

Abstract

There was a great difference in the formation kinetics of $TiO_2$ and $Bi_2O_3$ on silicon, but the growth of bismuth titanate (BIT) thin film was mainly limited by the formation of $TiO_2$. As a result, the BIT film was easy to be lack of bismuth. The pulse injection metalorganic chemical vapor deposition (MOCVD) process was introduced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by recovering the insufficient bismuth content in the film. By this pulse injection method, bismuth content was increased and also the uniform in-depth composition of the film was attained with a abrupt $Bi_4Ti_3O_{12}/Si$ interface. In addition, the crystallinity of $Bi_4Ti_3O_{12}$ thin film prepared by pulse injection process was greatly improved and the leakage current density was lowered by 1/2~1/3 of magnitude. Clockwise hysteresis of C-V was observed and the ferroelectric switching was confirmed for $Bi_4Ti_3O_{12}$ film deposited by pulse injection method.

실리콘 기판 위에서 $TiO_2$$Bi_2O_3$의 박막 성장은 반응속도론 측면에서 커다란 차이를 보였지만, $Bi_4Ti_3O_{12}$(BIT) 박막의 성장은 주로 $TiO_2$ 성장 거동에 의해 지배를 받았다. 그 결과 BIT 박막은 bismuth가 부족한 조성을 가지게 되었다. 박막 내에 부족한 bismuth의 양을 보충해줌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펄스 주입 유기 금속 화학 기상 증착(MOCVD)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펄스 주입법에 의해 bismuth의 양은 증가하였고 또한, 박막의 깊이 방향으로의 조성이 균일해졌고 $Bi_4Ti_3O_{12}$과 Si사이의 계면이 향상되었다. 게다가, $Bi_4Ti_3O_{12}$ 박막의 결정성은 크게 향상되었고 누설 전류 밀도는 연속 주입법에 비해 1/2에서 1/3정도 낮아졌다. 시계 방향의 C-V 이력 곡선이 관찰되었고 이로 인해 펄스 주입법에 의해 증착된 $Bi_4Ti_3O_{12}$ 박막은 강유전성에 의해 스위칭이 됨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J. Appl. Phys. v.39 S. E. Cummins;L. E. Cross
  2. IEEE Trans. Electron Devices v.ED-21 S. Y. Wu
  3. J. Appl. Phys. v.46 K. Sugibuchi;Y. Kurogi;N. Endo
  4. Jpn. J. Appl. Phys. v.33 R. Muhammet;T. Nakamura;M. Shimizu;T.Shiosaki
  5. Jpn. J. Appl. Phys. v.34 K. Yoshimura;M. Ishinabe;S. Okamura;T. Tsukamoto
  6. Jpn. J. Appl. Phys. v.35 T. Kijima;S. Satoh;H. Matsunaga;M. Koba
  7. Jpn. J. Appl. Phys. v.38 T. Kijima;M. Ubhikubo;H. Matsunaga
  8. Appl. Phys. Lett. v.71 Shinji Migita;Yuji Kasai;Hiroyuki Ota;Shigeki Sakai
  9. Appl. Phys. Lett. v.72 C. D. Theis;J. Yeh;D. G. Schlom
  10. Thin solid films v.253 J. H. Sone;S. O.Kim;K. J. Kim;H. S. Kim;H. J. Kim
  11. Appl. Phys. Lett. v.72 Ho Jin Cho;Hyeong Joon Kim
  12. Instabilities in Silicon Devices: Silicon Passivation and Related Instabilities P. Hesto;G. Barbottin(ed.);A. Vapaill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