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ediction of the Interior Luminous Effect using Computer Graphic Method

CG를 이용한 실내공간 조명연출효과의 예측- 건축화 조명을 중심으로 -

  • 홍승대 (동주대학 실내디자인과)
  • Published : 2001.02.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apartment residents'satisfaction and preferences and their environments on purpose to provide useful data for developing new apartment environment based on resident's needs and wants. this research was execu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1) Preference of large space of apartment dwelling is still prevailing. The older people have the tendency to prefer orientation to vista. (2) Among environmental factors of livingroom, size is mostly ranked higher than vista and orientation. Result of higher ranking of vista than orientation can be explained with the change of life cycle and patterns based on social environmental change and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control systems. (3) The highest concern about interior design is targeted to livingroom, and quality of finish materials is preferred at the highest.

과반수 이상의 국민이 살게 된 아파트 환경은 거주자의 요구 특성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한 상황에서 물량공급적 측면만이 강조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조만간 주택보급률이 100%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되고 전반적인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수요자의 다양한 거주 환경에 대한 욕구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거주자의 욕구 특성을 파악하고 현 거주 환경에 대한 만족도 및 선호경향의 변화를 분석해 보는 것은 거주자의 주요구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서 바람직한 주거환경 창조를 위한 필수 선행과제이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아파트 거주자들을 중심으로 아파트 주거환경에 대한 만족도 및 선호도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거주자 요구충족을 중심으로 한 아파트 공간계획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