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roficiency test of pH measurements

pH 측정의 숙련도 시험에 대한 연구

  • Lee, Hwashim (Organic analysis group,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
  • Kim, Myungsoo (Organic analysis group,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
  • Choi, Jongoh (Organic analysis group, Korea Research Institute of Standards and Science)
  • 이화심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유기분석그룹) ;
  • 김명수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유기분석그룹) ;
  • 최종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유기분석그룹)
  • Received : 2000.06.17
  • Published : 2001.06.25

Abstract

In general, the pH measurement follows calibration of glass electrode system using pH standard solution. When pH is measured at constant temperature, uncertainty factors are mainly related to the accuracy of pH standard solution and the accuracy and precision of glass electrode. Participants in this proficiency test were the volunteers trying to know the distribution of the measured pH values for the same sample and the sources of error through 1998 and 1999. The samples for proficiency test are phosphate salt standard solutions specially prepared in KRISS, of which pH values were 6.860, 7.415(at $25^{\circ}C$), and the stability test was performed for the same periods of proficiency test. The results of the proficiency test were plotted according to Youden plot, which shows whether the error is random or systematic. The results of Youden plot showed that the source of error was from the systematic effect of laboratories in each year. This shows that the source of error is the standard solutions used in laboratories.

일반적인 pH의 측정은 유리전극을 사용한 pH 측정기를 pH 표준용액으로 검정한 다음, 시료용액의 pH를 측정하는 절차를 따른다. 일정 온도의 pH 측정에서 불확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pH 표준용액의 불확도와 유리전극의 정확도 및 재현성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동일한 시료에 대해 각 실험실에서 측정하고 있는 pH 측정값이 어떠한 분포를 보이며, 오차 발생 시 주된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기 위해 pH 표준용액 시료를 사용하여 자원하는 국내의 실험실을 대상으로 98, 99년에 걸쳐 숙련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숙련도 시험 시료는 $25^{\circ}C$에서 pH 6.860, 7.415의 값을 가지는 인산염 표준용액을 제조하여 사용하였고, 숙련도 시험 기간내의 안정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안정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숙련도 시험 결과를 Youden plot하여 측정 결과의 오차가 우연효과에 의한 것인지 계통효과에 의한 것인지를 파악하였을 때, 두 해 모두 오차를 갖는 실험실들이 계통효과에 의한 오차만을 나타내었다. 이는 각 실험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표준용액이 오차의 원인임을 말해 주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Anal. Chem. v.63 no.18 H.B. Kristensen;A. Salomon;G. Kokholm
  2. NBS special publication v.260 Koch W.F. (ed.)
  3. J. Anal. Chem v.356 P. Spitzer;R. Eberhardt;I. Schmidt;U. Sudmeier;Fresenius
  4. J. Electroanal. Chem v.368 Bauche F.G.K.
  5. KS M 0011-1993 수용액의 pH 측정 방법
  6. J. Kor. Chem. Soc. v.42 no.4 이화심;김명수;이진복;오상협
  7. Guide to the Expression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 (1st ed) BIPM;IEC;IFCC;ISO;IUPAC;OIML
  8. Quantifying Uncertainty in Ana-lytical Measurement, ISBN 0-948926-08-2 EURACHEM Guide
  9. J. Res. of NBS v.91 no.1 W.F. Koch;G. Marinenko;R.C. Paule
  10. J. Res. of NBS v.91 no.1 R.C. Paule;G. Marinenko;M. Knoerdel;W. F. Koch
  11. J. Res. of NBS v.91 no.1 R.C. Paule;G. Marinenko;M. Knoerdel;W.F. Koch
  12. J. Res. of NBS v.91 no.1 G. Marinenko;R.C. Paule;W.F. Koch;M. Knoerdel
  13. J. Kor. Chem. Soc. v.44 no.1 이화심;김명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