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Water Quality Pollutants Proximated to sediment in Lake

호소내 퇴적물의 근접도에 따른 수질오염물질 분석(I) - COD, T-N, T-P, pH -

  • Received : 2000.09.27
  • Published : 2001.06.25

Abstract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sis of the pollutant $COD_{Mn}$, T-N, T-P for water quality proximated to sediment in lake of K river basin. water extracted from sediment showed higher $COD_{Mn}$, T-N, T-P datas than water proximated to sediment. Also, water proximated to sediment and water 5-10cm proximated to sediment showed the following data : $COD_{Mn}$, 1.2~1.9mg/L, T-N, 1.3~6.2mg/L, TP, 0.05~0.26mg/L, respectively. From this results, we have known the fact that the pollution degree of sediment have an effect on the water quality in lake and stream.

K 수계 6개 지점의 호소 퇴적물과 근접된 수질에 대해 $COD_{Mn}$, T-N, T-P, pH를 측정분석 하였다. 퇴적물로부터 분리된 수질이 퇴적물과 근접한 수질보다 COD, T-N, T-P 모두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그 다음으로 퇴적층 바로 위의 수질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직상수와 최상수의 $COD_{Mn}$, T-N, T-P에 대한 수질분석 결과는 1.2~19.0mg/L, T-N, 1.3~6.2mg/L, T-P, 0.05~0.26mg/L의 농도범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퇴적물이 호소내 수질오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분석과학 v.12 박선구;김성수;고오석
  2. 현대환경리포트 박선구
  3. 정수장진단반 박선구
  4. 호소하천 퇴적물의 조사 박선구 (외7명)
  5. 호소 및 하천의 퇴적물 조사 박선구 (외5명)
  6. Coastal Sedimentary Environments Robert B. Biggs
  7. 팔당호 시험준설 영향조사 보고서
  8. 팔당호 퇴적물 준설 타당성 검토 공청회
  9. Handbook for Sampling and Sample Preserv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Robert L. Booth
  10. 환경부 고시 제 99-208호 v.157 no.223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11. Chemistry Laboratory Manual for Bottom Sediments and Elutriate Testing Region V
  12. 日本 低質調査方法 日本環境聽 水質保全國水質管理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