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Contemporary Art and Super Graphic

현대미술과 슈퍼그래픽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배은미 (고신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02.05.01

Abstract

Public environment including urban circumstances has taken on importance in that it could be nation's cultural powers latent these days. Also, today's study on the field of environment design so far has mainly focused on the fields of architecture and urban panning, while its consideration as the complex of various cultural factors is not enough yet. In addition, because study on the urban super graphic which greatly servos as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environment is not enough, super graphic has not arose enough public response in reality.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ake super graphic revitalize as the meads of communication from the viewpoint of art, information arid aesthetics by looking into relationship between super graphic and contemporary art motivated in developing process. And This thesis is made studied relationship between super graphic and contemporary art divided into modernism art and post-modernism art.

오늘날 도시 환경을 비롯한 공공환경은 국가의 문화적 잠재력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또, 지금껏 국내의 환경 디자인이 건축, 도시계획의 관점에서만 주로 연구 되어져오고, 다양한 문화요소의 복합체로서 고찰된 측면은 아직 미비한 상황이다. 더욱이 사람과 환경간의 지대한 커뮤니케이션 역할을 담당하는 도시의 슈퍼 그래픽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여 슈퍼그래픽이 실제로 공공의 충분한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슈퍼그래픽에 대한 이해와 그 발전과정의 중요한 동기와 역할이 되는 현대미술과의 상관성을 고찰해봄으로서 슈퍼그래픽이 더욱 예술적, 정보학적, 미학적 관점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활성화 될 것을 연구 목적한다. 현대미술을 모더니즘 미술과 포스트모더니즘 미술로 구분하여 슈퍼그래픽과의 상관성을 연구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