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Determines the Emotional Quality of Homepage\ulcorner - from the emotion, users and designers perspectives

무엇이 홈페이지의 감성 품질을 결정하는가\ulcorner -감성 측면과 디자이너의 측면 그리고 사용자 측면을 중심으로

  • Published : 2002.11.01

Abstract

As users environments change, users primary needs for homepages also change more complicatedly. Today, users do not only want usability for homepages, but also to feel appropriate emotional experiences. Despite users needs, users do not always experience appropriate emotions that are conveyed by designers through homepage. I In this research paper, we analyzed the related factors with the emotional quality, which means the degree that users feel target emotions intended by designers. For analyzing factors related with the emotional quality, three hypotheses were verified; the factor of an emotion, the factor of users and the factor of designers. As the factor of emotions, the first hypothesis is that unclear emotional dimensions in users minds are related with the emotional quality. The second hypothesis, as the factor of users, is that the diversity of users experiences by same homepage is related with the emotional quality. The third hypothesis, as the factor of designers, is that the appropriate selection of design elements is related with the emotional quality. In the previous research, we selected the basic 13 emotional dimensions and 30 representative emotional words based on the statistical results and evaluations by professional designers. For this research, we conducted an experiment and user survey. In the experiment, we asked 30 designers to design homepages focusing on the typical emotion that was presented by a researcher. Based on the designing process and user evaluation, we performed statistical analyses: ANOVA with Tukey post hoc method and Factor Analysis. We found the discrepancy between the emotions that designers intend and the actual emotions that users experienced from homepages. From the result of analysis, we know that the factor of users and the factor of designers related with the emotional qualities, but the factor of emotions did not. The definiteness of emotions did not relate with the emotional quality. However, the diversity of emotions that users feel seeing the same homepages and design elements that designers chose for conveying target emotion related with the emotional quality.

인터넷 환경이 변함에 따라, 웹사이트 사용자의 욕구는 한층 다양하고 복잡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오늘날의 사용자들은 웹에서 단지 빠른 시간 안에 편하게 정보를 찾는 사용성 뿐 아니라 적절한 감성적 경험 또한 원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적으로 사용자들이 디자이너가 전달하고자 하는 감성을 언제나 경험하는 것은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홈페이지와 관련한 어떤 요소가 디자이너가 의도한 특정 감성을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지, 즉 홈페이지의 감성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감성차원 측면, 사용자 측면, 그리고 디자이너 측면의 3가지 가설을 검증하였다. 첫번째 가설은 감성차원 측면에 관한 것으로 감성 차원 자체가 명확하지 않아 디자이너가 의도한 특정 감성이 사용자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못할 것이라는 가설이다. 두 번째는 사용자의 측면으로 같은 홈페이지더라도 각각의 사용자에 의해서 느끼는 감성의 차이가 디자이너가 의도한 감성 품질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가설이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디자이너의 측면으로 동일한 감성이라도 디자이너가 구현하는 디자인 요소에 따라서 사용자가 경험하는 감성품질이 상이해질 것이라는 가설이다. 사전 연구로 웹페이지를 통해서 일반적으로 느끼는 기본 13개의 감성 차원과 이에 해당하는 30개의 대표 감성어휘를 선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본 실험에서는 전문디자이너들에게 각각 13개의 감성 차원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홈페이지를 차원별로 각 4개씩 디자인하도록 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총 52개의 홈페이지에 대해서 515명의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제 디자이너들이 의도한 감성을 사용자들이 얼마만큼 경험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 감성 품질은 감성차원이 얼마나 명확하게 정의되었는가 하는 감성 차원 측면의 요인과는 관련이 없으며, 반면 동일한 홈페이지에 대해서 사용자 개개인이 느끼는 감성이 얼마나 다양한가 하는 사용자 측면의 요인과 디자이너가 어떤 디자인 요소를 선택하는가 하는 디자이너 측면의 요인이 감성 품질과 밀접함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