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ppropriate Packaging for the Confectionery

제과포장의 실태와 적정포장에 관한 연구

  • 김미자 (영산대학교 디자인학부)
  • Published : 2003.05.01

Abstract

Whit trade increasingly taking place on the global stale, packaging becomes even more important However, there is only a fine line between the balance of waste created by damaged goods and waste created by over-packaging. A vast quantity of material is used by the packaging industry for the reason of bringing products safely to the customers. In this research I gathered 87 samples of various kinds of confectionery to analys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appropriate packaging. As a result, the rate of the needless space excluding actual contents comes to over 60% which clearly says that the most products are over-packaged. Despite assertions from the packaging industry that all packaging is necessary in reducing product waste, the research shows us the fact that it's over-packaged. What needs to be questioned, here, is the level of materials we use in packaging our products, and how we can continue to decrease that amount and recycle what we do use. In the future where materials and resources become more scarce, and therefore more expensive, and the methods of disposal become more costly and accountable, designers and manufacturers constantly need rethink and improve methods of packaging.

포장의 중요성이 점차 크게 부각되면서 포장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인식하고 사회 환경에 대응하는 적절한 포장이 무엇인가를 생각할 필요가 있다. 특히 오늘날 자연 및 에너지의 소비 에 대한 관심이 높아 가면서, 생활폐기물 전체 중량의 32%, 용적으로 50%를 차지하고 있다는 포장폐기물이 공해와 대기오염 등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점의 하나로 인식되기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전체 포장폐기물에서 60%의 비율을 차지하는 지류포장재가 적정포장의 개념을 바탕으로 현재 우리나라 포장의 실태를 분석하여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모색해 본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제과업체 중 가장 대표적인 4개 기업의 제품 8$\ulcorner$종을 중심으로 각각의 수집된 샘플들의 지기 포장용적과 내용물의 용적, 그리고 내용물 용적을 제외한 공간의 용적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적정포장 실태를 분석한 결과, 포장용적에 대하여 내용물을 제외한 평균 공간 용적률은 60.46%에 이른다. 과자류의 경우 우리나라에서는 제품대비 포장 공간 비율을 20%로 제한하고 있다는 것을 볼때, 포장의 공간용적비가 지나치게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으로 우리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적절한 포장 즉, 포장의 적정화에 의한 폐기물의 감량화, 폐기물의 재자원화, 포장재와 완충재의 사용을 합리화하는 환경을 배려한 포장디자인을 개발하는데 관심을 두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