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With the purpose of identifying significant risk factors in poststernotomy sternal wound infection and mediastinitis, we underwent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whole patients operated on at the our department of cardiovascular surgery for the two years. Material and Method: From March 200f to March 2003 at the depart-ment of cardiovascular surgery, medical school of Soonchunhyang University, major sternal wound infections had been developed in 12 (9.76%) of 123 consecutive patients. These patients underwent open-heart procedure through a midline sternotomy and survived long enough for infection to appear. For this group of patients, we evaluated possible risk factors such as age, sex, diabetes mellitu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obesity, interval between hospital admission and operation, type of surgical procedure, elective or emergency surgical procedure, reoperation, duration of surgical procedures, duration of cardiopulmonary bypass, amount of blood transfused, post-operative blood loss, chest reexploration, rewiring of a sterile sternal dehiscence,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and days of stay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d analyzed these factors. Result: Analysis represented that age, sex, diabetes mellitus, type and mode of surgical procedure, reoperation, duration of operation, duration of cardio-pulmonary bypass, and interval between hospital admission and operation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wound infection. For all other predisposing factors, p-values of less than .05 were demonstrated. Eight emerged as significant: early chest reexploration (p=0.001), sternal rewiring (p< 0.0001),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0.0001), blood transfusions (p<0.05), postoperative bleeding (p=0.008), days of stay in the intensive care unit (p< 0.0001), duration of mechanical ventilation (p=0.001), and obesity (p=.003). Conclusion: Contamination of pa-tients may occur before, during, and after the operation, and any kind of reintervention may predispose the patient to wound infection.
흉골절개술 후에 발생하는 흉골 감염과 종격동염의 유의한 위험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지난 2년간 본원에서 개심술을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방법 뜻 대상: 2001년 3월부터 2003년 3월까지 본원 흉부외과에서 정중 흉골 절개술을 이용하여 개심술을 시행받은 123명의 환자 중 12명의 환자에게서 흉골 감염 및 종격동염이 발생하였으며 이에 대한 위험인자들을 분석하였다. 환자들을 연령, 성별, 당뇨, 만성 폐쇄성 폐질환, 비만의 유무로 나누었고 입원 후 수술까지의 기간, 수술 술기의 종류, 응급 수술의 여부, 재수술의 여부. 수술 시간, 체외 순환 시간, 수혈량, 수술 후 출혈량, 응급 재개흉의 여부, 흉골 재봉합의 여부, 기계 호흡 보조 시간, 그리고 중환자실 재원일수를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환자의 나이, 성별, 당뇨의 유무, 수술 술기의 종류, 재수술의 여부, 수술 시간이나 체외 순환 시간, 그리고 입원 후 수술까지의 기간 등은 창상 감염과는 유의한 연관이 없었다. 그 외 다른 변인들은 p-value가 .05 이하로 유의한 인자로서 나타났다. 조기에 응급 재개흉을한 경우, 흉골의 재봉합, 환자가 비만이거나 만성 페쇄성 폐질환을 진단 받은 경우, 수술 후 출혈량과 수혈량, 기계호흡 보조시간과 중환자실 재원일수 등의 나머지 인자들은 수술 후 감염과 유의한 연관이 있었다. 결론: 창상오염은 수술 전, 수술 중 그리고 수술 후에 발생할 수 있으며, 수술 후 환자에게 부수적인 수술적 처치를 시행하는 것은 환자의 수술 후 창상 감염에 유발 인자로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