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U.K.:s design education program of the Primary school (Centered on analysing program of study in the National curicurrum)

영국의 초등학교 디자인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국가교육과정 학습프로그램 분석을 중심으로-

  • 손연석 (광주교육대학교 미술교육과)
  • Published : 2005.05.31

Abstract

Great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and Finland are having an interest in long policy subject about child design education through early design education. And they approaches and practices it systematically. The research about the design learning program instance of advanced nation of primary school's design education for various objective is necessary for use with the fundamental reference data for an elementary design education. And so, This research presented the program instance investigation and analysis result of British primary school's design education. U.K is teaching an primary design education from two subjects of Art & Design and Design and Technology which is a legal subject with national curriculum. The analysis result of design relation unit learning program of two subjects is: Design relation unit learning programs of 'Design and Technology' subject's 20 unit which except 4 food relation unit is largely scientific engineering contents that include utility function contents in part. The reason is as behavior styles based on Design process solve problems scientifically & rationally. Design relation 6 units in subject of Art & Design which except the units which relates with the pure fine arts and architecture in 19 units is aesthetic-symbolic and utility-functional contents largely. And so, the result was analyzed about relation of scientific-engineering content of 'Arts & Design' subject is insufficient comparing with 'Design and Technology' subject Specially, I think that the design relation's unit learning program instances of 'Design and Technology' subject of the British primary school which have been presented by this research paper is a possibility becoming one reference model for a program development. And so I expects that this research could be applied in the program development for the primary design education of primary teacher & education agency.

조기디자인' 교육을 장기적인 정책과제로 관심을 가지고 체계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영국을 비롯한 미국, 핀란드 등 선진국들의 다양한 목적의 초등디자인교육 학습프로그램 사례에 관한 연구는 우리나라의 초등디자인교육 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참고자료로 활용을 위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디자인교육 중에서도 영국의 초등학교 디자인교육의 프로그램사례 조사와 그 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영국은 국가교육과정으로 법정.:P.과인 '미술과 디자인', 그리고 '디자인과 기술'의 두 교과에서 초등디자인교육을 하고 있는데, 두 교과의 디자인관련 단원학습프로그램의 분석결과는 '디자인과 기술'교과의 디자인 관련 단원학습프로그램들은 4개의 식품관련 단원을 제외한 20개 단원들의 대부분이 '과학적이고 공학적인 '내용영역'을 중심으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으로 '문제해결'을 해 나가는 '과정'중심의 '디자인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행동유형'들과 관련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일부 단원은 부분적으로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내용영역'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술과 디자인'교과는 19단원 중에서 주로 '미적이고 상징적'인 '내용영역'의 순수미술과 건축 관련 단원을 제외한 직접적으로 디자인과 관련된 6개 단원은 주로 '미적이고 상징적'이거나 아니면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내용영역에 따른 '행동유형'에 비중을 두었기 때문에 '과학적이고 공학적'인 '내용영역'과의 관련성은 '디자인과 기술'교과에 비교해서 매우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것은 영국의 '디자인과정'을 기반으로 한 '과학적이고 공학적'인 '창의성 개발과'과 '문제해결' 중심의 초등학교 디자인교육은 '디자인과 기술'교과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실증하는 것으로, 특히,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 제시한 영국 초등학교의 '디자인과 기술'교과의 디자인관련 단원학습프로그램 사례들은, 우리나라의 초등교사를 비롯한 초등디자인교육에 직, 간접적으로 관련된 개인이나 교육기관 등에서 초등 디자인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하나의 기초 참고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