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eriencing Design Foundation in On-Line Education - By Using The Basic Graphic Tools -

디지털 학습 환경에서의 기초디자인 교육 - 기초디자인 훈련 도구(Basic Graphic Tools)의 개발을 중심으로 -

  • 이은주 (충청대학 컴퓨터그래픽디자인학부)
  • Published : 2005.05.31

Abstract

The development of personal computers and the Internet led to changes of instructor-student and student-student relationships in design education. New resources of design education with proper materials and tools have to be offered for teaching and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Basic Graphic Tools(BGTs) on screen that help students to practice the design principles, and to evaluate the BGTs' usability to enhance the credibility of extra tools for online design learning. The BGTs has to be developed to minimize the gap between the online and traditional classroom settings and to maximize the diverse advantage of lecture content driven from technology. Students were given certain design requirements to explore BGTs and a learning guide/performance test after the lecture to evaluate the tools. The test was performed under the e-learning program serviced by C college. This research has presented some encouraging results and raises questions toward future work: how do BGTs impact the feasibility of an online design lecture.

개인용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달은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의 관계변화를 야기하였으며 대표적으로 전통적인 학습방법으로서의 일대일, 면대면 수업방식은 디지털 기반의 학습모형으로 변화를 죄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는 새로운 교육 정보로서의 적절한 디자인 도구와 재료의 등장이 교수와 학습, 모두의 입장에서 필요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 기반에서의 효과적인 기초디자인 수업을 위하여 새로운 형식의 그래픽 툴(Basic Graphic Tools)을 개발하는 데 있다. 전통적인 학습 환경과의 차이는 최소화하면서 디지털 기술에서 가능한 재료와 도구의 다양성을 최대로 이끌어내는 것이다. Basic Graphic Tools(이하 BGTs)는 학생들의 선수 지식 유무와 학습 기술의 편차, 전통적인 훈련 방식과 첨단의 방식이 공존하는 상황에서 학습자에게는 기초디자인 과정에서 요구되는 디자인 원리를 학습하고 시야를 넓힐 수 있는 디지털 디자인 도구로서, 교수자에게는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강의를 위한 새로운 교육 도구로 개발되었다. 기초 디자인 훈련프로그램으로서의 BGTs개발과 실험을 통해 새로운 교육 도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살펴보고 기초디자인 교육과정에서 학습자로 하여금 수월성을 갖게 하는 것이다. 기초디자인 학습 툴로서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C 대학에 개설된 e강의실을 통해 디자인 작업 일부가 시행되었다. 이를 근거로 Learning Guide/Performance Test가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매우 높은 사용 가능성을 확보하였고 동시에 추후 연구과제로서 BGTs를 이용한 기초디자인 프로그램의 개발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