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 인식도에 관한 연구

Degrees of Understanding Regarding Information Literacy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 이현실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사서) ;
  • 최상기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발행 : 2005.06.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에 대한 인식도를 파악하기 위해 ACRL의 기준을 근간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성별, 학교별, 학년별, 전공별과 ACRL에서 제시하는 단계간의 인식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각 단계내의 성취지침들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가 많았다. ‘요구정보의 특성과 범위 파악’ 단계에서는 <요구정보의 정의>에 관한 지침이 가장 높게 인식되었고 <정보자원의 유형 확인>이 가장 낮게 인식되었으며, '정보의 효과적 접근' 에서는 <효과적인 검색전략의 구현>이 가장 높게 인식되었다. '정보의 평가와 통합'에서는 <정보와 자원의 평가 기준 적용>이 가장 높았고 <주제영역 전문가, 실무자와의 상의를 통한 정보의 이해와 해석>이 가장 낮았으며 '정보의 이용' 단계에서는 <타인에게 효과적으로 성과 전달>과 <특정작업 계획에 이전의 정보와 새로운 정보 적용>가 높게 인식되고 있었다. '정보윤리'에서는 각 지침들간의 인식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논문에 세부항목에 대한 중요 인식도를 함께 제시하였다.

This is a survey study to measure degrees of understanding regarding Information literacy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ACRL standards. I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age, gender, major, and University. There were also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five ACRL standards. However,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performance indicators in each standard. For example in the first standard, the performance indicator 'Determines the nature and extent of the information needed', had the highest score. had the lowest score. In the second ‘Effective Access of Information', had the highest score. In the third ‘Evaluate and Incorporate Information', had the highest score>and had the lowest score. In the fourth ‘Use of Information', , had the highest score. In the last ‘Information Ethics',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This study also showed outcomes regarding the details in each standar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혜영. 2002. 정보이용능력 교육 프로그램의 비교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1): 297-320
  2. 김병주. 1998. 대학도서관 이용교육의 발전경향 연구: 미국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 9집: 138-152
  3. 이현실. 2004. 델파이 조사를 이용한 정보활용능력 교육항목 개발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1): 304-322
  4. 장덕현. 2002. 대학도서관 이용교육 연구의 동향과 논점.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3(1): 57-76
  5. American Library Association(ALA). 1989. Presidential Committee on Information Literacy
  6. Arp, Lori, and Beth S. Woodward. 2002. Recent Trends in Information Literacy and Instruction. Reference and User Services Quarterly, 42(Winter): 124-132
  7. Association of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ACRL). 2000. Information Literacy Competence Standards for Higher Education. [cited 2005. 5]
  8. Bloom, Beth and Marta Deyrup. 2003. Information Literacy Across the Wired University. Reference Services Review, 31(3): 237-247 https://doi.org/10.1108/00907320310486836
  9. Bruce, Christine. 1997. The Seven Faces of Information Literacy. Adelaide: Auslib Press
  10. Eisenberg and Berkowitz. 2001. [cited 2005. 5] Big6.
  11. Eland, Thomas. 2003. The Faculty Role in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List. August 11
  12. Gregory, David and William F. Nixon 2003. The Instruction Commons: an Information Literacy Initiative at Iowa State University. Library Review, 52(9): 422-432 https://doi.org/10.1108/00242530310501437
  13. Henderson, Martha and Anthony J. Scheffler 2003. New Literacies, Standards. and Teacher Education. Education, 124(2): 390-395
  14. Higgins, Carla and Mary Jane Cedar Face. 1998. Integrating Information Literacy Skills into the University Colloquium: Innovation at Southern Oregon University. Reference Services Review, fall/winter: 17-23
  15. Jenson, Jill D. 2004. It's the Information Age, so Where's the Information?: Why our Students can't Find It and What We can Do to Help. College Teaching, 52(3): 107-112
  16. Say, Y., and K. Ke jager. 1997. Towards an Investigation of Information Literacy in south African Students. South African Joum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65(1) : 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