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실 조건에서 소택지, 연못형 습지의 영양염류 제거효율 평가

Nutrient Removal Efficiencies in Marsh- and Pond- type wetland Microcosms

  • 발행 : 2005.12.30

초록

습지는 생산성이 높고, 오염물질의 제거능력이 뛰어난 생태계로 이를 이용한 수질정화 방법에 대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습지의 영양염류 제거는 유기물의 침전 흡착등의 물리적 기작, 수중 이온물질과의 결합 침전되는 화학적 기작, 식물의 흡수, 미생물에 의한 영양염류의 전환 등의 생물학적 기작의 복합적 반응으로, 물리, 화학, 생물학적 기작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본 실험은 서로 다른 형태인 소택지형습지와 연못형 습지의 수질정화효과를 비교, 확인하여 영양염류 제거에 효과적인 습지의 형태와 조건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험결과, 소택지형과 연못형 습지는 호기조건과 혐기조건이 모두 상층부와 하층부로 구분도어 나타나 소택지형과 연못형 습지 모두 에서 호기성 유기물 분해과정과 탈질과정이 진행되었을 것으로 예상된다. 질산성 질소의 제거효율은 소택지와 연못형 습지에서 모두 97%, 94% 로 나타났으며, 인산염인의 제거효율도 95% 이상 높게 나타나, 습지 형태에 따른 수질정화 효과는 습지 형태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Wetlands can transform or remove pollutants from water body, such as nitrogen, phosphate, and organics. Many researches were conducted in relation to uptake process by aquatic plants in wetlands. However, water purification processes in wetlands are the results of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especially microbiological reactions. As such, understanding on microbial processes is of great importance. In this study, we used pondor marsh-type wetland microcosms for investigating the water purification capacity and microbial functions, namely, extracellular enzyme activities, 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In a pond system, removal efficiencies of $NO_3{^-}$ and $PO{_4}^{3-}$ were 96% and 100 % respectively, while those in a marsh system were 94%, 100% respectively. These high removal efficiencies appeared to be caused by high adsorption ability to soils and microbial functions in wetlan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