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relation Analysis of Vegetation Index and Drought Index

식생지수와 가뭄지수의 상관성 분석

  • Kim, Kyung Tak (Water Resources Research Division,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Park, Jung Sool (Water Resources Research Division,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김경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부) ;
  • 박정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부)
  • Published : 2006.03.30

Abstract

Drought is an natural phenomenon which effects greatly on our society. It has various time scale and it is difficult to define the beginning and the end. So we can't aware it quickly and the damage of drought become severe. To cope with these problems, it needs to construct drought monitoring system. And it is required that the definition of drought which is objective and can be applied widely and proper drought index for drought monitoring. Meteorology and hydrology have developed drought index for drought monitoring. There are many attempt to interpret the drought using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or LST(Land Surface Temperature) in remote sensing. In this study, drought index and precipitation is used to find drought severity of last ten years in South Korea. NDVI and VCI is applied to perceive the state of drought. Finally, the possibility of drought monitoring and evaluating drought depth is estimate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vegetation Index and drought index.

가뭄은 인간이 극복하기 힘든 자연재해로 시간규모가 다양하고 누적된 효과가 천천히 나타나기 때문에 인지가 어려우며 이로 인해 피해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최영진, 1995). 가뭄에 적절히 대처하기 위해서는 가뭄의 감시(Monitoring) 체계가 필요하고, 객관적이고 널리 적용될 수 있는 가뭄의 정의와 가뭄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지표가 필요하다. 기상학 및 수자원에서는 가뭄 감시를 위해 현 상태에 대한 정량적인 가뭄심도를 나타내는 가뭄지수를 사용하고 있으며 원격탐사 분야에서는 다중시기의 식생지수 및 지표면 열지수 등을 활용하여 가뭄여부를 판단하는 노력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10년간 남한의 가뭄시점에 대한 가뭄지수 분석을 통하여 가뭄의 심도를 파악하였고, 정규식생지수(NDVI)와 식생상태지수(VCI)를 활용하여 가뭄현황을 판별하였다. 또한, 식생지수와 가뭄지수의 상관성분석을 통하여 식생지수를 이용한 정량적인 가뭄분석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