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ystematic TV Drama Production System

방송드라마의 체계적 제작 시스템에 관한 연구

  • 배진아 (공주대학교 영상광정보공학부 영상학)
  • Published : 2006.06.01

Abstract

In terms of creating widespread popularity and a high value added business, TV drama is recognized as an unrivaled entertainment content above any other TV program genres Although recently some broadcasting companies have been trying to set up a drama production system, it seems that a well-structured system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This study analyses the practices and mechanisms of drama producing processes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experts in the drama production fields in three major broadcasting companies. It is found that the Korean drama production system is 'a producer-director system' and that the strategies for the windowing effects are not systematically applied from the pre-production stage. For the broadcasting compani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through drama, the expert-producer system should be introduced, the production elements should be systematically managed, and the multi-use strategies should be effectively established.

방송 드라마는 대중적 인기 및 부가가치 창출의 차원에서 다른 어떤 장르의 프로그램보다 주목받는 방송영상 콘텐츠이다. 최근 들어 대규모 독립제작사의 등장 등 외부 요인으로 인하여 드라마 제작 시스템을 제대로 갖추어 보고자 하는 노력이 일부 있었으나, 아직까지 드라마 제작을 위한 체계화된 시스템은 갖추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는 드라마 제작 현장의 전문가들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서, 국내 방송3사의 드라마 제작 관행 및 시스템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드라마 제작 시스템은 소규모 프로그램 제작에 적합한 프로듀서-디렉터 시스템이었으며, 부가수익 창출을 위한 노력이 제작 전 단계에서부터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방송사가 드라마를 통해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문 프로듀서 제도를 도입하고, 제작 요소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멀티 유즈 전략을 적극적으로 수립하는 등의 노력이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