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mpression and expression tendency of the sankei kanseino poster by Ikko Tanaka

타나카 잇코(Tanaka Ikko) 산케이칸세이노(산경관세능(産經觀世能)) 포스터의 인상과 표현경향에 관한 연구

  • 조형수 (큐슈산업대학 대학원 예술연구과) ;
  • 하상오 (동아대학교 조형디자인학부 산업디자인) ;
  • 카와치 토모키 (큐슈산업대학 대학원 예술연구과)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This research is accompanied with Tanaka's works in order to consider the result from the evaluation of his works through an impression analysis and his expression trendency. The nine posters are chosen for appraisal among a series of Kanseino Poster which Ikko Tanaka drew under the sponsorship of Sankei Newspaper. The reason why those posters are selected is that the structure is strong and simple comparatively. Tanaka Ikko's poster works can be generously explained with three factors through a factor analysis. Considering his works in all cluster analysis, in the first group, he makes a good use of traditional materials and his works have a powerful image. In the second group, a geometric figure is arranged simply and a modern image is strong. In the third group, the traditional materials express a modern image. As mentioned above, the mood of his work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ulcorner$His works have updated the Japanese image from traditional to modern$\lrcorner$.

본 연구는 타나카 잇코(Tanaka Ikko)씨의 작품을 통해 일반적으로 우리가 알고 있는 그의 작품 경향이 실제로 인상평가를 통해서 나타난 결과와 그로 인한 표현경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번에 평가 대상으로 선정한 포스터는 일본의 그래픽 디자이너 타나카 잇코(Tanaka Ikko)씨의 작품중 산케이신문사 주최의 칸세이노(관세능(觀世能)) 포스터 시리즈 중 9점을 선정했다. 샘플의 선정 이유는 지극히 구조적인 성격이 강하며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인자분석을 실시한 결과 3개의 인자로 일반적으로 타나카 잇코(Tanaka Ikko)씨의 포스터 작품을 설명할 수 있는 대표적인 인자로 사용가능한 결과를 얻었다. 군집분석에서 인상이 나뉜 3그룹별 포스터의 표현경향을 고찰해 보면 먼저 제1그룹의 경우는 전통적 소재를 활용하여 동양적 이미지가 강하다. 제2그룹의 경우는 기하학적 도형을 심플하게 배치하여 모던한 이미지가 강하다. 제3그룹의 경우는 전통적 소재를 모던한 이미지로 표현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타나카 잇코씨(Tanaka Ikko)의 작품 경향은 $\ulcorner$일본의 전통적 이미지를 현대적으로 발전시켰다$\lrcorner$ 고 요약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