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Mammal and Amphibians-Reptile Species Around Shin-Po Areas, Hamkyungbuk-Do, North Korea

북한 함경북도 신포 지역 포유류 및 양서파충류 조사 연구

  • Lee, Sang D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of Engineering, Ewha Womans University) ;
  • Gil, Joon Woo (Korea Electric Power Cooperation, 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 이상돈 (이화여자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
  • 길준우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 Published : 2007.04.30

Abstract

Fauna of Shinpo nuclear powerplant site were surveyed during Feb 27-Mar 4, 2003 as a part of ecological environmental survey. This area is well dominated by coniferous trees (Pinus densiflora) ranging 15-50 years. In the shoreline black pine (Pinus thungergii) is the dominant species and was planted for wind protection. Around Shinpo areas inside 50 km in radius was found 33 mammal species (3 orders, 15 families), and amphibian-reptiles 6 species (2 orders, 3 families) were recorded. Natural monument in the areas were estimated 6 species of mammals and one species of reptiles. Although the habitat of Shinpo area is deteriorated due to deforestation, illegal hunting, etc. the fauna seems to be rich in species. Despite the sudden halt of KEDO project the conservation efforts and continuous monitoring are required considering a continuation of the project.

북한의 함경북도 신포지구에 원자력발전소 설립에 따른 생태환경조사의 일환으로 본 조사는 2003년 2월 27-3월 4일까지 4박 5일간 수행되었다. 이 지역의 대표적인 식생은 소나무림이며 주로 15-50년생으로 나타났다. 해안가에는 곰솔이 우점하고 있으며, 주로 방풍림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이 지역의 포유류는 사업부지를 중심으로 반경 50km 내에 서식하는 포유류는 33종(5목 15과)로 나타났다. 양서파충류는 6종(2목 3과)로 나타났다. 천연기념물은 포유류 6종 및 파충류 1종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은 산림의 황폐, 밀렵 등 서식환경의 악화에도 불구하고 포유류 및 양서파충류상은 비교적 풍부한 것으로 보인다. KEDO 사업의 중단에도 불구하고 공사가 다시 시작될 수도 있는 점을 감안하면 보전대책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지역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