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ace Business and Applications of Vacuum Technology

우주개발과 진공기술의 응용

  • 이상훈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환경시험팀) ;
  • 서희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환경시험팀) ;
  • 유성연 (충남대학교 BK21 사업단)
  • Published : 2008.07.30

Abstract

Vacuum is any air or gas pressure less than a prevailing pressure in an environmental or, specifically, any pressure lower than the atmospheric pressure and is used by a wide variety of scientists and engineering - including clean environment, thermal insulation, very long mean free path, plasma, space simulation[1]. The space environment is characterized by such a severe condition as high vacuum, and very low and high temperature. Since a satellite will be exposed to such a space environment as soon as it goes into its orbit, space environmental test should be carried out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satellite on the ground under the space environmental conditions. A general and widely used method to simulate the space environment is using a thermal vacuum chamber which consists of vacuum vessel and thermally controlled shroud. As indicated by name of vacuum chamber, the vacuum technology is applied to design and manufacture of the thermal vacuum chamber. This paper describe the vacuum technology which is applied to space business.

진공이란 공간의 기체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상태, 즉 분자밀도가 약 $2.5{\times}10^{19}$분자/$cm^3$ 보다 적은 상태를 의미하며, 극청정환경 제공, 단열효과, 입자의 장거리 비행가능, 증발과 승화작용, 안정된 플라즈마를 유지, 생화학 반응 억제, 우주환경 제공 등의 특성으로 인해 오늘날 전 산업분야 및 과학기술 분야에 응용이 되고 있다. 우주환경은 이러한 고진공 환경과 태양 복사열에 의한 고온 환경 및 극저온이 반복되는 가혹한 환경으로 특징지어지는데, 위성체는 지상에서 발사되어 우주궤도에 진입한 순간부터는 계속해서 우주환경에 노출된다. 위성체가 이러한 가혹한 우주환경에 노출될 경우 주요부품에 기능장애가 초래되기도 하며 이는 결국 임무의 실패로 이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위성체는 지상에서 우주환경시험을 거쳐 기능 및 작동상태를 점검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우주환경을 모사 할 수 있는 우주환경 모사장비가 필요하다. 우주환경모사장비라 함은 우주환경의 주특징인 고진공상태와 극저온 환경을 모사할 수 있는 지상장비를 말하며, 장비의 설계 및 제작에는 기본적으로 진공기술이 응용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보유하고 있는 인공위성의 개발에 필수 장비인 우주환경모사장치들을 소개하고, 최근 발달된 국내 진공기술로 국산화 제작에 성공한 유효제원 ${\varphi}8m{\times}L10\;m$ 급의 대형열진공챔버를 통하여 우주개발에 응용되는 진공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Marsbed H. Hablanian, HIGH-VACUUM TECHNOLOGY, 2nd ed. (Marcel Dekker, 1997), chap. 1
  2. Sang-Hoon Lee, Hee-Jun Seo, Hyokjin Cho, Guee-Won Moon, Seok-Weon Choi, Seong-Yeon Yoo "Development of Large Thermal Vacuum Chamber (8 m $\times$ L10 m)", 6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Environmental Testing for Space Programmes, 2007
  3. 이상훈, 서희준, 문귀원, 최석원, 한국진공학회, Vol.11, No.2, 2002, pp.87-96
  4. 서희준,조혁진,이상훈,문귀원,조창래,최석원,한국항공우 주학회 2006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733-736, KSAS06-2954
  5. 조혁진, 문귀원, 이상훈, 서희준, Calvin Winter, 대한기 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1236- 1240

Cited by

  1. A Study of Non-uniform Pressure Distribution in Vacuum Chamber during Dynamic Gas Flow vol.18, pp.6, 2009, https://doi.org/10.5757/JKVS.2009.18.6.403
  2. A Study on the PZT Application for Spacecraft Components under Space Environment vol.21, pp.6, 2012, https://doi.org/10.5757/JKVS.2012.21.6.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