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rception of Undergraduat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Students of Hangu University on Their Career Prospect and Career Preparation

항구대학교 환경교육과 학생들의 진로전망인식과 진로준비 고찰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career development of under-graduat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students. More specifically, it intends to understand how they perceive their career prospect, how they prepare for they career and what kind of career development assistance they receive from their school. For most of college students, a primary purpose for attending college is to prepare for a career, but often academic preparation in college is not enough to get the job they aspire. Career preparation becomes even more complex when their major does not dictate any specific career path or when the major does dictate a specific career path but it does not provide sufficient and quality job opportunities. Undergraduat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re typical examples of the latter. To illuminat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surrounding undergraduat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student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ough an instance message software program from August 17th, 2007 to August 20th, 2007.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 undergraduate students and 2 graduates of Hangu University (a tentative name). Each participant was interviewed once or twice for about 2 hours each interview.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y maintain a positive attitude regarding the career outlook and the career decision but it is not well founded. Second, career search and career preparation are conducted individually, and their school does not provide much systematic career assistance. Third, they did not see the relevance of the curriculum of their program to their future career. A few preliminary implications for practices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may be drawn from the findings reported in this study. First, undergraduate students i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appear to be in need of comprehensive career development assistance ranging from exploration of job opportunities related to majors, to development of job-seeking skills, to general issues of career preparation and choice. Experiential modes of career exploration seem to be helpful in clarifying their interest and aptitude in the area of environmental education. Second, career development assistance for these students should start at early college years. Third, these students may need help in exploring diverse opportunities related to their major as well as other academic areas. Finally, it is recommended to create more careers in the area of environmental education.

이 연구의 주요한 목적은 환경교육과 학생의 진로 발달을 고찰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그들의 진로 전망 인식, 진로 준비 과정, 대학의 진로발달지원을 이해하는데 있다. 대부분의 대학생에게 학교를 다니는 주요한 목적은 진로를 준비하는 것이지만 대학의 교육은 그들이 원하는 직업을 얻기에 충분하지가 않다. 전공이 특정한 진로경로를 가지고 있지 않거나 또는 전공이 특정한 진로경로를 가지고 있지만 흡족하고 질 높은 직업을 제공하지 않을 때 진로 준비는 더 복잡해진다. 학부 환경교육과 프로그램이 최근의 전형적인 예이다. 학부 환경교육과 학생들과 그들을 둘러싼 환경을 이해하기 위해 2007년 8월 17일부터 8월 20일까지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해 항구대학교(가칭) 환경교육과 학부, 졸업생 6명에 대하여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는 연구 참여자 한 사람 당 $1{\sim}2$회, 1회 2시간 정도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들은 진로 전망, 진로 결정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지만 잘 발견되지는 않았다. 두 번째, 진로 탐색, 진로준비는 개인적으로 수행되며, 학교는 많은 체계적인 진로 지원을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세 번째, 프로그램의 교과과정과 그들의 미래진로는 관련을 보이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대학에서 진로 발달과 관련된 몇 가지 주요한 함의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환경교육과 프로그램의 학부 학생들은 전공과 관련된 직업 기회의 탐색으로부터 직업 탐색 스킬의 개발에 이르기까지의 종합적인 진로 발달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경험적인 진로 탐색이 환경교육이 자신의 적성과 흥미에 적합한지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이들 학생들을 위한 진로 발달 지원은 대학교 저학년부터 실시해야 한다. 세 번째, 이들 학생들은 다른 학문적 영역뿐만 아니라 그들의 전공과 관련된 다양한 기회를 탐색하는 데 있어서 도움을 필요로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