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Fast Handover Scheme for Seamless Multimedia Transmission in Wireless Networks

무선환경에서 끊김없는 멀티미디어 전송을 위한 고속의 핸드오버 기법 연구

  • 송민호 (한남대학교 멀티미디어공학과) ;
  • 박병주 (한남대학교 멀티미디어공학과) ;
  • 박길철 (한남대학교 멀티미디어공학과) ;
  • 김용태 ((주)가림정보기술) ;
  • 이동철 (KT 기술연구소) ;
  • 장병윤 (아주대학교 경영학부)
  • Received : 2009.05.13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Since the use of wireless communication instruments was standardized, users expect to be provided with seamless information whenever and wherever they use the instruments. Also, some technology is required to satisfy the users' needs which will cover their mobility. To support the mobility of host, the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lETF) Mobile IP Working Group proposed a protocol called MIPv6 (Mobile IPv6). But in the case of the existing MIPv6, sometimes Mobile Node cannot receive data packet if Handover occurs although it is a temporal phenomenon. For solving these Handover problems, there are many methods like FMIPv6 (Fast Handover for Mobile IPv6) and HMIPv6 (Hierarchical Mobile IPv6) have been suggested. This paper suggested the use of Dual Buffer of Access Point and an effective way of registration as a way of reducing delayed time caused by Handover. Also, it analyzed and compare the existing MIPv6 with a proposed scheme concerning delayed time of Handover. Finally,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posed scheme that can reduce the delayed time of Handover compare to the existing MIPv6.

무선 통신기기의 보급화로 인해 사용자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방지 않고 정보를 끊김없이 제공 받기를 원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동성을 지원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호스트의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해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IETF) Mobile IP Working Group에서는 MIPv6 (Mobile IPv6) 프로트콜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기존의 MIPv6에서는 Handover시 모바일 노드가 일시적으로 데이터 패킷을 받지 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러한 Hnadover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FMIPv6 (Fast Handover for Mobile IPv6), HMIPv6 (Hierarchical Mobile IPv6)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MIPv6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Handvoer 지연시간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Access Point의 Dual Buffer 사용 및 효율적인 Registration 방법을 제안하며, MIPv6와 제안한 방법에 대해 Handover 지연시간을 비교 분석한다. 비교 분석 결과로서 제안한 방법이 기존 방법들보다 Handover 지연시간 단축 됐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D. Johnson, C. Perkins, and J. Arkko, "Mobility support in IPv6", RFC 3775, June 2004
  2. 양성진, 유인태 "Mobile IPv6의 Fast Handover에 관한 연구", 2005. 11
  3. S. Thomson and T. Nartan, "IPv6 Stateless Address Autoconfiguration," IETF RFC 2462, Dec.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