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tilizing an Office Building of Public Institution for Activating the Communities of Innovation City - Focused on the Facility Type and Scale

혁신도시 지역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한 공공기관 사옥 활용방안 - 도입시설 유형 및 규모산정을 중심으로

  • 정연우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이상준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0.08.31
  • Accepted : 2010.10.22
  • Published : 2010.10.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the introduction of the community facilities in public corporation buildings as the effort to community activation in the innovation city. The type and development condition of community facilities, and the cases of the private and public corporation buildings are studied. Moreover, the type and scale of facilities which can be established in the public corporation building that will move to the innovation city.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mmunity facilities can be classified into leisure, public administration, culture, athletics, and welfare, and the facilities are suggested at each hierarchy of living area. Secondly, the result of the case study shows that the public corporation establishes and operates various facilities include welfare, culture, and athletic facilities while the private part usually installs the cultural one. Thirdly, cultural(library, museum, performing place), athletic(soccer field, tennis court, swimming pool), welfare(day nursery, children's library) facilities are selected as the applicable ones to the public corporation building which is going to move to the innovation city. And finally, the basic unit of each facility is derived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legal standard, present condition, and literature reviews, etc., and applied to estimate the scale of the community facility in the public corporation building.

본 연구는 혁신도시 입지지역의 커뮤니티 조기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서 공공기관 사옥내 커뮤니티시설의 도입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커뮤니티시설의 유형과 조성 여건을 살펴보았고, 민간 및 공공기관 사옥을 활용한 커뮤니티시설 운영사례를 조사하였으며,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공공기관의 사옥에 설치가능한 시설유형과 규모를 산정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커뮤니티시설을 기능에 따라 크게 여가, 공공행정, 교육, 문화, 체육, 사회복지시설로 나누고, 생활권 위계에 따른 유형별 필요 시설을 제시하였다. 둘째, 민간 및 공공기관 사옥을 활용한 커뮤니티시설 도입사례 분석결과, 민간의 경우 주로 문화시설에 한정된 반면, 공공기관의 경우에는 사회복지시설, 문화 및 체육시설 등 보다 다양한 시설을 도입, 운영하고 있었다. 셋째, 혁신도시로 이전하는 공공기관 사옥내 도입가능한 시설을 선정한 바, 도서관, 박물관, 공연장 등 문화시설과 축구장, 테니스장, 수영장 등 실내외 체육시설, 직장보육시설, 어린이도서관 등 복지시설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이들 시설에 대해 법적 설치기준 및 시설현황 조사, 관련문헌 검토 등을 통해 시설별 원단위를 설정, 이를 적용하여 공공기관 사옥에 도입가능한 커뮤니티시설의 규모를 구체적으로 산정하였으며, 이들 시설의 효율적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6), 공공기관의 원활한 지방이전을 위한 계획 수립 방안연구.
  2. 건설교통부(2006), 혁신도시 계획기준(안).
  3. 건설교통부(2007),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생활권내 커뮤니티센터 구축 및 활성화 방안.
  4. 국토연구원(2000), 커뮤니티 중심의 주거환경정비 연구.
  5. 국토연구원(2007a), 혁신도시 이전기관 종사자 정착방안 연구.
  6. 국토연구원(2007b), 살고 싶은 도시 만들기(II) : 커뮤니티 중심의 도시정비 활성화 방안.
  7. 권영민 외 8인(2005), 신건축계획, 기문당.
  8. 권오정․곽인숙․이경희․최재순(2001), "새천년의 주민복지를 위한 커뮤니티센터의 활동프로그램 제안", 대한가정학회지, 39(8):19-36.
  9. 문지현․김정현(2008), "국내 어린이도서관의 현황 및 분류표 적용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2):493-514.
  10. 박병주․김철수(2001), 도시계획, 형성출판사.
  11. 박지민(2002), "어린이 도서관의 실내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5), 서울시 도시공공시설의 수요․입지․용지에 관한 연구 : 주민문화복지시설을 중심으로.
  13. 서울시정개발연구원(1999), 공공문화복지시설의 복합화 방안 연구.
  14.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4), 서울시 문화시설 확충방안 연구 : 뉴타운 및 균형발전촉진지구를 중심으로.
  15. 신희진(2004), "지역문화시설 수요확대에 따른 적정입지 선정 및 규모산정 기준마련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부설산업 경영연구소.
  16. 양동양(2006), 도시․주거단지계획, 기문당.
  17. 여성가족부(2006), 보육시설 설치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18. 윤도근 외 11인(2008), 건축설계․계획, 문운당.
  19. 이중훈 (역)(2006), 그림으로 이해하는 알기 쉬운 CSR, 한국표준협회미디어(米山 秀隆, 圖解よくわかるCSR : 企業の社會的責任).
  20. 이춘희․이주형(2007), "공공시설 복합화의 적용 및 활성화 방안 연구", 국토연구, 52:59-74.
  21. 최준혁․임채진(1998), "박물관 규모계획을 위한 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 박물관 건축계획의 지표 다양성에 관한 연구(I)",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8(2):159-164.
  22. 최찬환(2000), 공유공간 구축을 위한 법제적 고찰, "밀레니엄 커뮤니티센터", 연세대학교 출판부.
  23. 한국과학재단(1992), 집합주거단지내 편익시설의 기준과 배치에 관한 연구.
  24. Carmona, M., T. Heath, Taner Oc and S. Tiesdell. (2003), Public Places-Urban Spaces, Architectural Press, 106-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