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Water Environment in Retention Pond by Seawater Flocculation and Fenton Oxidation

해수 응집과 펜턴 산화에 의한 유수지 수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09.11.16
  • Accepted : 2010.04.30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gure out what would be effective to improve water environment in a retention pond which was located in Incheon. Chemical coagulation, seawater flocculation and Fenton treatment were carried out to improve water and sediment quality for the retention pond.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pH of 11 was optimum pH for seawater flocculation and the high removal rates in terms of SS and T-P can be obtained by seawater flocculation. To eliminate the pollutants from the sediments we applied Fenton oxidation process. We compared whether direct oxidizing the sediments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oxidizing them after elution. By Fenton oxidation only, the COD removal rate was 0.55 grams per one $H_2O_2$ gram. Whereas the removed COD grams per one $H_2O_2$ gram were 0.69 by Fenton oxidation after elution. It showed that the oxidizing after elution was about 25% more effective than the oxidizing without elution. Both treatments could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a retention pond from a level 6(very bad) to a level 3(normal) of Lake Water Quality Standard.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A 유수지의 효율적인 수환경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유수지 수질 및 저니질의 개선을 위해서 약품 응집과 해수 응집, 펜턴 처리 실험 등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해수 응집을 위한 최적 pH는 11이었으며, 해수 응집에 의해 SS, TP 항목 모두 높은 제거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저니토의 오염물질 제거를 위해서는 펜턴 산화 처리를 수행하였다. 저니토를 직접 펜턴 처리하는 경우와 용출 후 펜턴 처리하는 경우에 대한 처리효과를 비교한 결과, 제거-COD/$H_2O_2$는 단순 펜턴 처리하는 경우 0.55인 반면 용출 후 펜턴 처리하는 경우 0.69를 나타내어 용출 후에 산화 처리하는 방법이 처리효율 면에서 약 25%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두 처리로 유수지 수질을 호소수질기준 VI등급(매우 나쁨)에서 III등급(보통)의 수준으로 개선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훈, 오경미, 유금환, 박희경, "소규모 연못의 수질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사례연구", J. KWSQ, 한국물환경학회, 제14권, 제3호, pp.297-304, 1988.
  2. Jun, S. J., and Yim, S. S., "A Study on the Coagulation of Wastewater Containing Fine Silica Particles With the Waste Slurry from Soda Ash Manufacturing Industries", J. korean Ind. Eng. Chem., Vol. 27, No. 7, pp. 1073-1078, 1999.
  3. 오동규, "펜턴시약을 이용한 폐수 중 유기물의 산화처리",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4. 이상일, 서인석, 조항문, "바닷물에 의한 약알칼리성 산업폐수와 강알칼리성 산업폐수의 혼합처리", 한국폐기물학회지, 제8권, 제2호, pp. 145-152, 1991.
  5. 이상일, 서인석, 조항문, "Seawater flocculation of alkaline wastewater", 한국환 경공학회지, 제14권, 제1호, pp. 41-46, 1992.
  6. 전세진, 오동규, 김동훈, 고광범, 윤태일, "펜턴산화법과 철-촉매 공기 산화법을 이용한 ${NO_{2}}^{-}$함유 매립지 침출수의 처리", 대한환경공학회지, Vol. 18, No. 2, pp. 1455-1466, 1996.
  7. 환경부, 수질환경공정시험기준, 환경부고시 제2008-99호, 2008.
  8. Eaton, Andrew D. et al., "Standard Methods for Examination of Water & Wastewater", Amer Public Health Assn, 2007.
  9. Haber, F. and Weiss, J., "The catalytic decomposition of hydrogen peroxide by iron salts", Proc. Roy. Soc.(London), A 47, pp. 332-351, 1934.
  10. Yoon, J., Lee, Y. and Kim, S., "Investigation of the reaction pathway of OH radicals produced by Fenton oxidation in the conditions of wastewater treatment",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44, No. 5, pp. 15-21,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