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Relationships of Core-Self Evaluation, Work-Family Facilitati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핵심자기평가(CSE)와 일-가족 지원, 직장만족 그리고 이직의도의 관계 연구

  • Received : 2011.07.21
  • Accepted : 2011.08.24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re-self evaluation on work-family facilitation(work to family facilitation, family to work facilitati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non-regular workers in Korean food service industry. In order to examine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10.0) and AMOS(4.0). The results showed that core-self evalua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both of work to family facilitation and family to work facilitation. In the case of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facilitation and job satisfaction, only family to work facili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while there was no evidence of a significant relationship from work to family facilitation to job satisfaction. Additionally,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e article concluded with managerial implications for managerial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외식업계의 비정규직 직원을 대상으로 핵심자기평가, 일-가족 지원, 직장만족 그리고 이직의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직원의 이직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추후 이와 관련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AMOS 4.0과 SPSS 1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그리고 공분산 구조분석(covariance structur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핵심자기평가는 일-가족 방향 지원과 가족-일 방향 지원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가족 지원과 직장만족의 관계에 있어서는 가족-일 방향 지원만이 직장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장만족은 직원의 이직을 줄이는 것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