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ifferences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Grade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Foodservice and Culinary Arts Majors - Focused on the Four-year Universities in Chungcheong Province -

외식조리 관련 전공자의 학년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의 차이분석 - 충청도에 위치한 대학교를 중심으로 -

  • Na, Tae-Kyun (Dept. of Hotel & Foodservice Culinary Arts, Youngdong University) ;
  • Jung, Yang-Sik (Dept. of Food, Nutrition and Cookery, Keimyung College)
  • 나태균 (영동대학교 호텔외식조리학과) ;
  • 정양식 (계명문화대학 식품영양조리학부)
  • Received : 2011.07.26
  • Accepted : 2011.09.17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oodservice and culinary arts majo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grad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levels. Toward this end, 250 students majoring in foodservice and culinary arts were selected as a sample from three universities located in Chungcheong province. A total of 217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after excluding 33 cop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pper-grade students were more actively engaged in career exploration, information collection, experiencing behavi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an lower-grade students. Second, the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group with high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as higher than the other with low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the interactive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grad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rove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us,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hould be improved and the foundation of structured career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according to grade.

본 연구의 목적은 외식조리 관련 학과 전공자의 학년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른 진로준비행동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충청도에 소재한 4년제 3개 대학의 외식 조리 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25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33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총 217명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준비행동 수준은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진로를 준비하기 위하여 진로탐색, 정보수집, 체험활동 및 취업준비 노력이 시도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진로준비행동 수준은 전공자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학년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년에 따른 구조화된 진로교육의 틀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