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unctional Assessment of Yongdam Dam-wetland by HGM

HGM을 이용한 용담댐습지의 기능평가 연구

  • 김덕길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 신한규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
  • 김재근 (서울대학교 생물교육과) ;
  • 김형수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 유병국 (인천대학교 무역학부) ;
  • 안경수 (인천대학교) ;
  • 장석원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 Received : 2011.09.13
  • Accepted : 2011.12.16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Dam as a Wetland can provide functions of ecological conservation, water quality improvement, landscape, and so on as well as. Dam's own various functions. Here we tried to assess function and value of Yongdam dam as a wetland by Hydrogeomorphic(HGM) Method which was developed by U.S. Army Corps of Engineers. In this study, the Upo wetland and Boryeong dam were selected as reference wetlands to assess the functional index of the Yongdam dam. As the results, we obtained the functional index values over 0.6 for total index of the Yongdam dam. It describes that Yong dam dam-wetland is providing over 60% functions of the Upo wetland and Boryung dam-wetland. This result suggests that dam-wetland can provide good wetland functions efficiently if we conserve and manage well.

댐 상류지역 및 주변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습지는 댐의 수질개선, 동식물의 서식처 확보 등과 같은 생태보전 및 경관 제공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댐이 지니고 있는 습지의 역할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문지형학적 방법인 HGM을 이용하여 댐습지의 기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포늪과 보령댐을 기준습지로 선정하여 용담댐의 기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전체적인 기능이 0.6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댐습지와 자연습지를 비교했을 때, 댐습지가 자연습지의 약 60%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댐에 위치하고 있는 습지의 관리와 보전이 잘 이루어진다면 보다 더 효과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우포늪의 생태치수기능 개선 방안 연구, 2007.
  2. 구본학, 반변천 습지 유형분류 및 기능평가 연구, 상명대학교 산업과학연구소 논문집, 제16권, pp.1-10, 2004.
  3. 구본학, 김귀곤, RAM(일반평가기법)을 이용한 내륙 습지 기능 평가,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제4권, 제3호, pp.38-48, 2001
  4. 양병호, 조운식, 구본학, 댐 저수지 내 습지 유형 및 기능평가 연구: 보령호를 중심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제8권, 제6호, pp.90-91, 2005
  5. 김성봉, 수자원 관리와 지속가능 발전 '습지와 환경 자원', 도서출판 월인, 2008.
  6. 람사르 홈페이지, 람사르협약 매뉴얼 제4판, http://www.ramsar.org
  7. 법률지식정보시스템, 습지보전법, http://likms.assembly.go.kr
  8. 신한규, 김덕길, 김재근, 김형수, 안재현, 유병국, 안경수, 박두호, 댐습지의 기능 및 가치평가연구(I) -HGM을 이용한 기능평가 : 보령댐을 대상으로-, 한국습지학회지, 제11권, 제3호, pp.115-132, 2009.
  9. 여준호, 댐건설과 관련된 환경.사회적 피해사례, 환경포럼, 제8권, 제9호, 2007.
  10. 한국수자원공사, 보령다목적댐 저수지 및 주변지역 생태환경조사, 2006.
  11. 한국수자원공사, 용담다목적댐 저수지 및 주변지역 생태환경조사, 2009.
  12. 환경부, 보도자료 '환경부, 람사르습지 2곳 신규등록', 자연보전국 자연정책과, 2011.
  13. Brinson, M.M., Rheinhardt, R.D., Hauer, F.R., Lee, L.C., Nutter, W.L., Smith, R.D., and Whigham, D., A Guidebook for Application of Hydrogeomorphic Assessments to Riverine Wetlands, Wetland Research Program Technical Report WRP-DE-11, US Army Corps of Engineers. 1995.
  14. Hoeltje, S.M. and Cole, C.A., Losing Function Through Wetland Mitigation in Central Pennsylvania, USA, Environ Manage, Vol.39, pp.385-402, 2007. https://doi.org/10.1007/s00267-006-0212-z
  15. Lin, J.P., A Regional Guidebook for Applying the Hydrogeomorphic Approach to Assessing Wetland Functions of Depressional Wetlands in the Upper Des Plaines River Basin, Wetlands Research Program, US Army Corps of Engineers, 2006.
  16. Mitsch, W.J. and Gosselink, J.G., Wetlands 4th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2007.
  17. Wardrop, D.H., Kentula, M.E., Jensen, S.F., Stevens, D.L., Hychka, K.C., Brooks, R.P., Assessment of Wetlands in the Upper Juniata Watershed in Pennsylvania, USA Using the Hydrogeomorphic Approach, WETLANDS, Vol. 27, No. 3, pp. 432-445, 2007. https://doi.org/10.1672/0277-5212(2007)27[432:AOWITU]2.0.CO;2
  18. Williams, H.M., Miller, A.J., McNamee, R.S., Klimas, C.V., A Regional Guidebook for Applying the Hydrogeomorphic Approach to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Forested Wetlands in Alluvial Valleys of East Texas, Wetlands Regulatory Assistance Program, US Army Corps of Engineers,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