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New Town & Surrounding Area

대규모 신도시 및 주변지역 거주환경 비교분석 연구

  • Received : 2010.12.02
  • Accepted : 2011.01.25
  • Published : 2011.01.30

Abstract

During the 1990's, five new towns were constructed around Seoul such as Bun-Dang and Il-San. These new towns are very popular since they were created based on systemic urban planning and they provide various residential amenities. Many people consider them livable cities. Taking such advantages, other small-scale new public and private developments continued around those new towns and consequently created 'agglomerated region with new development'. The most representative area is Bun-Dang and north-western Yong-In area which are formed along the Seoul-Busan expressway. This area is a mega-community having more than one million residents in 2005.Judging from recent development trend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t is expected that the formation of other 'agglomerated region with new development' would be continued for the time being.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Bun-Dang and north-western Yong-In and find implications to the management of 'agglomerated region with new development'. The relevant existing studies have their limits, only focusing on analyzing current conditions and pointing out current problems. This study could be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analyses in that it conducted comprehensive analyses on various factors that constitute urban residential environmen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derived from diverse analyses of current development condition, residential sites, regional transportation, awareness of residents, and oversee cases.

1990년대 초반 분당, 일산 등 5개의 수도권 1기 신도시가 개발되었다. 이들 신도시는 체계적인 도시계획과 쾌적한 주거환경으로 선호도가 높아 살고 싶은 도시로 인식되고 있다. 이들 신도시 인근에는 중소규모의 택지개발이 많이 진행되었으며, 동일 생활권을 형성하기도 하는데 이들 지역은 '신개발 밀집지역'이라 불릴 수 있다. 수도권에서 이처럼 신개발이 집적된 대표적인 지역이 경부고속도로축에 입지한 분당과 용인서북부 지역이다. 이 지역은 2005년 현재 거주인구가 100만을 상회하는 대규모 생활권을 형성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당-용인서북부 지역의 거주환경 비교분석을 통해 연속적인 중소규모 택지개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신도시개발 및 주변지역 도시관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추진위원회(2005), '행정중심복합도시 보상대책 및 주변지역 관리방안'-행정중심복합도시공청회 참고자료(2005. 4. 8.).
  2. 건설교통부․대한주택공사(2004), 해외 신도시 사례연구.
  3. 국토연구원(2001), 용인시 북서부지역 종합계획수립 연구.
  4. 계기석(1997), 대도시 주변지역 관리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5. 문채(2002), 비도시지역을 대상으로 한 지구단위계획제도의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6. 박상우 외(2005), 수도권 대규모 개발사업의 집합적 파급영향 분석 및 제도개선 방안, 국토연구원.
  7. 박헌주(1998), 준농림지역의 효율적 관리방안.
  8. 성장환.조영태(2006), 신개발 집적지역의 거주환경 분석, 한국토지공사.
  9. 이상대(1997), 수도권 근교개발 촉진방안에 관한 제도 연구, 경기개발연구원.
  10. 이창무 외(2006), 분당 신도시의 성장과 상권의 변화과정, 국토계획.
  11. 조영태.여옥경(2007), 신,구도시 균형발전을 위한 연계 도시개발방안, 한국토지공사.
  12. 한국토지공사(1997), 분당신도시 개발사.
  13. 황기현(2000), 용인지역 난개발 원인과 대안.
  14. EPAMarne(2006), Report d'activite 2005 des Etablisments Publics d'Amenagement de Marne-la-Vallee.
  15. Fredric Gaschet(2002), The new Intra-urban dynamics, Papers in Regional Science.
  16. Henderson, J. V.(1972), Hierarchy models of city size, Journal of Regional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