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of the New Towns in Tokyo Metropolitan Area : Focusing on Self-Sufficiency and Social-Mix

동경권 신도시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 자족성 및 소셜믹스를 중심으로

  • 임철우 (한국토지주택공사 성남재생직할사업단) ;
  • 김창기 (동경대학 도시공학전공)
  • Received : 2010.12.13
  • Accepted : 2011.01.25
  • Published : 2011.01.30

Abstract

This study considers sustainability in new town development projects in the Tokyo metropolitan area. Since the mid-1980's the purpose of new Town projects in Japan changed from encouraging residential development to sustaining self-sufficiency within multi-functional cities. Nevertheless simultaneous increases in elderly population and declines in general population became the new town's key issue. Is this trend a general phenomenon in Tokyo? Has the multi-functional city policy failed? What policies can encourage new town self-sufficiency? Judging from this research, the new towns of Tokyo are relatively young areas with low aging rates and low rates of population decrease. Nevertheless, in view of the multi-functional city plan, levels of self-sufficiency and social-mix in most new towns are inadequate. Considering these, this research recommends new town plans be required to consider surrounding industries and the accessibility form CBD to encourage self-sufficiency. Moreover, The social mix plan encouraging residential diversity is important to the sustainability of the new town.

일본 신도시는 1980년대 후반 자족성 강화를 위한 복합다기능화 정책이 추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 초기개발지구를 대상으로 급격한 고령화와 시설 노후화에 따른 도시쇠퇴 문제가 대두되고, 이에따라 비영리법인을 중심으로 도시재생활동이 추진되고 있다. 아울러, 사업이 진행중인 지구는 택지처분 지난에 따른 낮은 인구정착율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과연 이러한 현상이 신도시의 일반적인 문제이며, 일본 신도시의 복합다기능화 정책은 실패한 것일까? 신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어떠한 정책이 유효할 것인가? 이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자족성과 소셜믹스를 중심으로 동경권 대규모 신도시의 지속가능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본 동경권 신도시는 일부 쇠퇴지역이 존재하나 전체적으로는 타지역에 비하여 고령화율이 낮고, 인구가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자족성지수로 살펴본 신도시는 자족성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변교외지역 보다 높다고 보기 어려워 신도시 자체의 복합다기능화 정책의 한계가 나타났다. 또한, 신도시의 소셜믹스 평가결과 연령과 직업분포 등의 다양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지구레벨의 다양성 분석결과 주택의 형태와 소유관계가 거주민의 연령과 직업의 편중에 영향이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신도시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는 도심 접근성, 주변산업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입지선택이 매우 중요하며, 계획단계에서 거주민의 다양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소셜믹스 계획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주진, 서수정, 정경일(2005), "사회통합을 고려한 임대주택정책 및 개발사례의 특성 연구", 국토계획 40(6): 159-176.
  2. 김현, 이창열, 박성호, 최열(2007), "한국의 신도시 계획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 자족기반요소에 관한 비교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2007-10): 1517-1526.
  3. 김현수(2005), "수도권 신도시의 자족기반 실태분석과 강화방안", 국토계획 40(6): 83-94.
  4. 국토연구원(2004), 택지개발사업지구의 자족기능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5. 서창규, 이우종(2006), "신도시 자족성 평가항목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6. 유성용(2006), 개발제한구역 해제예정지내 국민임대주택단지 개발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대학원박사논문.
  7. 이성룡, 김소영(2008), 택지개발사업지구 내 도시지원시설용지 실태 및 활용방안, 경기개발연구원.
  8. 이창효, 김진하, 남진(2009), "서울시 주거환경의 평가와 주택가격과의 정합성 분석", 국토계획 44(3): 109-123.
  9. 전병유(2009), "도시의 산업특성과 고영성과", 노동정책연구 9(4): 29-52.
  10. 홍성덕(2002), 신도시 자족성 확보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석사논문.
  11. 秋元孝夫(2005), ニュータウンの未来, 特定非営利活動法人多摩ニュータウン.まちづくり専門家会議.
  12. 浅見泰司(2001), 住環境評価方法と理論, 東京大学出版会
  13. 東秀紀, 風見正三, 橘裕子, 村上暁信(2001), 明日の田園都市への誘い, 彰国社.
  14. 石原香五, 高田 光雄(2002) "ソーシャルミックスの視点から見たニュータウンのコミュニケーションバリアーに関する研究" 日本建築学会大会学術講演梗概集 225-226.
  15. 加藤由利子.大家亮子(1998), "公団建替事業に伴う移転と戻り入居決定要因についての考察", 日本建築学会計画系論文集 511: 169-175.
  16. 国土交通省(2001), ニュータウン活性化方策検討調査報告書, 国土交通省 住宅局.
  17. 国土交通省(2006), 新住宅市街地開発事業等に関する調査, 国土交通省 土地.水資源局.
  18. 国土交通省(2008), "都市再生機構の現状と課題", 第1回都市再生.住宅セーフティネットのあり方検討会.
  19. 住宅.都市整備公団(1999), まちづくり技術体系1総括編, 住宅.都市整備公団 都市開発事業部.
  20. 高橋重雄など(2005), 事例で学ぶGISと地域分析 株式会社古今書院.
  21. 東北産業活性化センター(2008), 明日のニュータウン, 株式会社日本地域社会研究所.
  22. 都市基盤整備公団(2002), 筑波研究学院都市 都市開発事業の記録, 都市基盤整備公団茨城地域支社.
  23. 福原正弘(2001), 甦れニュータウン, 古今書院.
  24. 細野助博.中庭光彦.廣岡守穂(2010), オーラル.ヒストリー多摩ニュータウン, 中央大学出版部.
  25. 松川尚子(2004), "ニュータウンの高齢化:入居当時と現在の家 族構成の比較から", 日本都市社会学会第22回大会公告レジュメ, 1-6.
  26. 宮田誠(2005), 成熟期を迎えたニュータウンにおける少子高齢 化及び人口減少のメカニズムと今後の展望, 東京大学卒業論文.
  27. 山本茂(2009), ニュータウン再生, 学芸出版社.
  28. 矢作弘(2009), 都市縮小の時代, 角川書店.
  29. Jacobs, J. (1961)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Random house,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