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stimation of Residents' Willingness-to-pay for Urban Farming in the New Development Areas: Focused on Bundang and Dongtan

신도시 내 도시농업 도입에 대한 거주자 지불의사금액 추정: 분당, 동탄신도시를 중심으로

  • 임주호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이경환 (공주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도시.교통전공) ;
  • 윤인숙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윤은주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2.09.17
  • Accepted : 2012.10.25
  • Published : 2012.10.30

Abstract

Recently multifaceted advantages of urban agriculture are emerging in civil society and related policy arena such as food safety, environment, and social welfare. This study tried an estimation of residents' willingness-to-pay for urban farming to examine feasibility of using part of urban green infrastructure as urban farm (e.g. allotment garden). A survey targeting Bundang and Dontan new-town residents was carried out and willingness-to-pay for urban farm rental was estimated by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The estimated rent was cross-checked with the rental cost and travel cost paid by hobby farm users in the outskirt of metropolitan area.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otential demand for urban farming is ample if urban farms or allotment gardens are planned within new development areas. That is, 72.6 percent of new-town residents questioned had intention of using allotment garden within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Estimated willingness-to-pay for renting a plot, $16.5m^2$ of urban farm, was about 236,000 won(KRW), which is higher than rent for a plot of allotment garden which is located out of city. Variables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estimated willingness-to-pay for urban farming were sex, age, and occupation of respondents, among other explanatory socio-demographic variables, while expected frequency and duration of visit to urban farm were insignificant.

최근 도시민의 먹거리와 관련한 환경.안전문제, 고령화로 인한 사회복지정책의 효율성 문제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시농업의 다양한 기능이 재조명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원이나 녹지, 도시농업농장 등 공공용지의 일부를 활용하여 도시텃밭을 임대하는 방안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신도시 주민들의 지불의사금액을 추정하였다. 분당과 동탄 신도시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도시농업 도입에 대한 주민들의 지불의사와 희망 이용행태를 조사하고, 도시 내 텃밭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을 추정하여 실제 도시근교의 주말농장 이용자들이 지불하고 있는 텃밭임대비용 및 교통비용과 비교하였다. 신도시 내 도시농업 도입에 대한 거주자 지불의사를 1.5양분선택형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하여 추정하고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도시 주민들을 대상으로 도시농업 이용의사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2.6%가 도시공원 또는 녹지의 일부를 도시농장으로 조성하여 임대할 경우 이용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신시가지의 거주자들에게 도시텃밭에 대한 충분한 수요가 잠재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향후 개발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도시농업 도입의 필요성을 뒷받침한다. 둘째, 도시텃밭 임대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을 추정한 결과 1구좌($16.5m^2$ 기준)당 연간 약 23만 6천원 정도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수도권의 도시근교나 외곽에 위치한 주말농장의 텃밭임대료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개발사업지구 내 도시텃밭이 조성될 경우 주민들의 지불의사금액이 기존 주말농장의 임대료 수준보다 높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설명 변수 중에서 성별과 나이, 직업이 도시농업 지불의사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다른 사회경제적 특성 변수와 도시농장 방문가능횟수, 도시농장 방문시 희망체류시간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기남, 이종근, 김기황, 이만형(2007), "텃밭을 이용한 도시농업의 활성화방안", 충북대학교건설기술연구소 논문집, 26(1): 167-176.
  2. 김옥진(2009), 도시경작지의 특성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용범(2008), 대구 도시농업활성화방안, 대구경북연구원.
  4. 김태곤, 박문호, 허주녕(2010), 도시농업의 비전과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5. 박용범, 조병의, 김수옥(2008), 생활농업으로서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 연구-도시생활농업 제도화 및 성과관리 방안, 농촌진흥청.
  6. 유승훈(2007), "1.5경계 양분선택형 모형을 이용한 도시소음 저감의 편익 추정", 자원환경경제연구, 16(3): 451-483.
  7. 윤영호, 윤은주(2010), 영구임대단지 내 도시농업 도입방안 검토,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8. 이상경, 이우종(2010), "U-Eco City 서비스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5(4): 197-207.
  9. 이윤상, 김두환, 이삼수(2006), 주민참여형 도시개발방안 연구, 한국토지공사 국토도시연구원.
  10. 이현우, 김호석, 이관규, 이윤정(2010), 도시농업의 온실가스 저감효과 및 정책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1. 임주호, 윤인숙, 윤은주, 강기남, 안태환(2011), 개발사업에서의 도시농업 도입방안, 토지주택연구원.
  12. 장동헌(2006), 생태지향형 도시농업에 관한 연구-전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최승(1998), 도시농업을 이용한 공한지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