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lication of a Distributed Model for Evaluating the Effect of Sacheonman Spillway on the Flood Reduction in the Downstream of Namgang Dam

사천만 방수로가 남강댐 하류의 홍수량 저감에 미치는 영향 평가를 위한 분포형 모형의 적용

  • 최천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 최윤석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 김경탁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연구실)
  • Received : 2012.08.07
  • Accepted : 2012.08.24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Namgang Dam is located in the upstream of Nam river. Namgang Dam controls flood for the downstream of Namgang Dam using the Namgang spillway and the Sacheonman spillway with planned discharge. However, it had not been evaluated adequately that the effect of the discharge through Sacheonman spillway on the flood reduction of the downstream of Namgang Dam. This study performs runoff simulation considering the discharge from Namgang Dam and Sacheonman spillway. And modeling results are evaluated for the flood reduction effect of Sacheonman spillway on the downstream of Namgang Dam. This study uses a distributed model, GRM(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 for runoff analysis. As a result, Sacheonman spillway is assigned more discharge than Namgang Dam, and Sacheonman spillway greatly affects flood reduction in the downstream of Namgang Dam.

남강댐은 남강 상류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강댐의 일류문과 사천만 방수로를 통하여 남강댐 하류의 홍수조절을 하고 있다. 홍수유출 발생시 남강댐은 하류에 대한 홍수조절을 댐의 계획방류량에 의해 수행하고 있으나 사천만 방수로의 방류량에 의한 남강댐 하류의 홍수량 저감효과에 대한 적절한 평가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홍수유출 발생시 남강댐 하류 유역에 대하여 남강댐과 사천만 방수로의 방류량을 고려한 유출해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하여 사천만 방수로가 남강댐 하류에 미치는 홍수량 저감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유출해석에는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GRM(Grid based Rainfall-runoff Model)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사천만 방수로는 남강댐 방류량에 비해 많은 홍수량을 방류하고 있으며, 남강댐 하류유역의 홍수량 저감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4. 낙동강 유역조사 보고서.
  2. 국토해양부. 2009. 남강 하천기본계획(변경) 보고서. pp 4-15 - 4-145.
  3. 국토해양부. 2008. 2007년도 유량조사 보고서 - IV.낙동강 유량측정. pp. 136-141.
  4. 기상청. 2011. 2011년 7월 기상월보. pp. 2.
  5. 기상청. 국내기후자료. http://www.kma.go.kr 2012. 6. 27일 접속.
  6. 김성준. 2002. 수자원관리에서 분포형 수문모델링 의 역할.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5(2): 45-56.
  7. 김차겸. 2010. 진수만의 해수순환에 미치는 남강댐 방류수 영향 및 확산. 2010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p 515-518.
  8. 낙동강홍수통제소. 강우관측소 자료 및 수위관측소 자료. http://www.nakdongriver.go.kr 2012. 7. 3일 접속.
  9. 농촌진흥청. 1992. 증보 한국토양총설-토양조사 자료 13. pp 283-290.
  10. 박인혁, 박진혁, 허영택. 2011. 격자기반의 강우 유출모형을 통한 한강수계 다목적댐의 홍수유 출해석. 한국물환경학회지 27(5): 587- 596.
  11. 박진혁, 강부식, 이근상, 이을래. 2007. 레이더강우와 Vflo모형을 이용한 남강댐유역 홍수유출 해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3): 13-21.
  12. 이을래, 박진혁, 김우구, 황필선. 2006. 2006년 호우에 따른 남강댐 홍수조절 현황. 2006년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p 1609-1612.
  13. 정인균, 김성준, 박진혁, 황필선. 2007. 남강댐하류유역 분포형 강우유출모형 개발.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p 2035-2039.
  14. 지병걸, 노정환, 전경수, 이재형. 2005. 홍수시 영산강수계 댐 군의 연계운영에 관한 연구. 2005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1466-1470.
  15. 진주 인터넷 뉴스. 2011. 진주에 물폭탄 비상!-334.2mm 기록적 폭우 쏟아져. http://www.jjinews.asia/ArticleSearchView.asp?intNum =9115&ASection=001001
  16. 최윤석, 김경탁, 이진희. 2009. 댐 하류 지점에 대한 분포형 모형의 적용성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42(9): 703-713.
  17. 한건연, 최규현, 김원, 김동현. 2005. 한강수계에서의 댐의 영향을 고려한 홍수추적.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38(9): 747-760.
  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11. HyGIS-GRM User's manual. pp 1-2.
  19. 한국수자원공사. 남강댐 방류량 자료. http://www.kwater.or.kr 2012. 7. 4 일 접속.
  20. 한국수자원학회. 2009. 하천설계기준.해설. pp 262-265.
  21. Bloschl, G. and Sivapalan, M. 1995. Scale issues in hydrological modelling: a review. Hydrological Processes 9: pp 251-290. https://doi.org/10.1002/hyp.3360090305
  22. Montaldo, N., Mnacini, M. and Resso, R. 2004. Flood hydrograph attenuation induced by a reservoir system: analysis with a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Hydrological Process 18: pp 545-563. https://doi.org/10.1002/hyp.1337
  23. Takahiro Sayama, Yasuto Tachikawa, Kaoru Takara and Yutaka Ichikawa. 2005. Development of a distributed rainfallrunoff prediction system and assessment of the flood control ability or dams. 土木學論文集 ,803(II)73: pp 1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