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dentification of Autumn Phytoplankton in the Lakes of Han River system

한강수계 호수에 출현하는 가을철 식물플랑크톤의 생태적 현황 연구

  • 김윤정 (환경정책평가연구원,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
  • 김민경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 ;
  • 이상돈 (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2.05.02
  • Accepted : 2012.08.30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Han River is very important as a source of drinking water in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gure out diversity and dynamics of plankton community in the seven lakes (lakes Paro, Chunchon, Soyang, Uiam, Chungpyung, Paldang, Chungju) of Han Riversystem. A total of 76 genera and 121 species were investigated by taxonomic identification in November 2008. Cyclotella sp. and Microcystis sp. was a dominant species in lake Paro and Chungju respectively. Aulacoseira granulata was dominant in lakes Chunchon, Paldang and Chungpyung. And Fragilalia crotonesis was a dominant species in lake Soyang and Uiam. Our results can be useful when compared to the results using molecular biological method to supplement taxonomic identification.

한강은 수도권의 상수원으로써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강 수계 7개 호수 (파로호, 춘천호, 소양호, 의암호, 청평호, 팔당호, 충주호)의 식물플랑크톤의 역동성과 군집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2008년 11월 분류학적 동정에 의해 총 76속 121종이 분석되었다. Cyclotella sp. and Microcystis sp. 는 각각 파로호와 충주호에서 우점종이었다. Aulacoseira granulata 는 춘천호, 팔당호, 청평호에서 우점하였고, Fragilalia crotonesis 는 소양호와 의암호에서 우점종이었다. 같은 샘플의 분자생물학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와 비교해 보았을 때, 분류학적 동정과 분자생물학적 방법은 서로 상호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경. 2000. 일반조류학. 아카데미서적
  2. 김윤정, 김민경, 이상돈. 2012. PCR-DGGE 방법 을 이용한 북한강 수계 호수의 플랑크톤 군집 분석. 한국습지학회지(submitted)
  3. 신윤근, 김영길. 2002. 아산호의 생태학적 연구 2.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 Korean Journal of Limnolgy. 35(3):187-197.
  4. 심재형. 2003. 플랑크톤 생태학, 서울대학교 출판부
  5. 이인규. 2003. 조류생물학. 월드사이언스
  6. 정용. 1993. 한국담수조류도감. 서울, 아카데미 서적
  7. 정유경. 2007. 북한강 수계 상류호수와 하류호수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동 (파로호, 춘천호, 의암호, 청평호).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8. 한강물환경연구소. 2004. 팔당호의 식물플랑크톤 사진집, 한강물환경연구소
  9. 한강물환경연구소. 2009. 한강수계 수환경 교란에 의한 수생태 영향평가 중간보고서, 한강물환경연구소
  10. 한명수, 어운열, 유재근, 유광일, 최영길. 1995. 팔당호의 생태학적 연구 2.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의 변화. 한국육수학회지. 28(3):335-344
  11. 滋賀の理科敎材硏究委員會. 2005. やさしい日本の淡水プランクトン圖解ハンドブック合同出版
  12. 田中正明. 2002. 日本淡水産動植物プランクトン圖鑑 名古屋大學出版會
  13. Brook, A. J. 1965. Planktonic algae as indicators of lake type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Desmidaceae. Limnology and Oceanography. 10:403-411 https://doi.org/10.4319/lo.1965.10.3.0403
  14. Harper, D. 1992. Eutrophication of freshwater: principles, problems and restoration. Chapman and Hall. 327pp
  15. Hutchinson, G. E. 1975.A treaties on limnology I.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16. Shannon, C. E. and Wienn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25 pp
  17. Simpson E. 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688. https://doi.org/10.1038/163688a0
  18. Yan, Q, Yu Y. H, FengW. S, Deng W. N, Song X. H. 2007. Genetic Diversity of Plankton Community as Depicted by PCR-DGGE Fingerprinting and its Relation to Morphological Composi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Lake Donghu. Microbial Ecology 54(2):290-297 https://doi.org/10.1007/s00248-006-9200-3